기타지역권 산행기

물한계곡주차장에서 삼도봉 - 석기봉 - 민주지산 찍고 민주지산자연휴양림으로

큰집사람 2017. 1. 25. 20:39

* 날    짜 : 2017년 1월 25일(수요일)

* 날    씨 : 맑음

* 산 행 지 : 물한계곡주차장 - 삼마골재 - 삼도봉 - 석기봉 - 민주지산 - 민주지산자연휴양림주차장 

* 산행시간 : 5시간 55분(운행시간 4시간 28분 + 휴식시간 1시간 27분)

* 산행속도 : 약간 빠른 걸음

* 산행인원 : 18명(진주비경마운틴클럽 회원들과)

 

 

 


 

 

* 산행일정

11:10          영동군 상촌면 물한리 물한계곡주차장  

11:23          황룡사 출렁다리

11:36 - 11:40  민주지산(지름길) 갈림길

11:43          민주지산 갈림길

11:58          석기봉(지름길) 갈림길

12:06          음주암폭포 갈림길

12:11          음주암폭포

12:19          고갯마루 쉼터

12:41 - 13:35  삼마골재 사거리

13:55 - 14:08  삼도봉(1176m)

14:30          물한계곡 갈림길

14:37          팔각정 휴게소

14:43 - 14:47  석기봉(1200m)

15:12          물한계곡(무지막골) 갈림길 안부

15:39          물한계곡(쪽새골능선) 갈림길

15:45          물한계곡(쪽새골) 갈림길

15:50 - 16:02  민주지산(△ 영동 11, 1241.7m)

16:08          민주지산자연휴양림 갈림길

16:14          용화천 발원지(샘터)

16:33          민주지산자연휴양림 임도

17:05          영동군 용화면 조동리 민주지산자연휴양림주차장





















영동군 상촌면 물한리 물한계곡주차장,

물한계곡과 미니미골로 삼마골재로 올라 백두대간 산줄기를 따라 삼도봉을 찍고,

각호지맥을 따라 석기봉과 민주지산을 거쳐 민주지산자연휴양림으로 내려가기로,

 그전에 두어 번인가 왔지만 꽤 오랜만에 다시 찾은 셈인데,

제법 많은 눈이 내린 지 며칠 되지도 않았기에 눈으로 실컷 눈구경을 하면서,

가벼운 발걸음과 즐거운 마음으로 신나게 하루해를 보낼 수 있을 듯,

 진주에서 너무 늦게 출발하는 바람에 시간이 넉넉한 건 아니지만,

좀은 빠듯하긴 해도 해가 떨어지기에 앞서 내려갈 수야 있지 않을는지?(11:00)












































황룡사로 이어지는 출렁다리,

황룡사로 해서 올라오면 여기서 만나고(11:23)








삼도봉 4.4km를 가리키고(11:26)






물한계곡주차장 0.9km를 가리키고(11:29)






민주지산(지름길) 갈림길,

여기서 민주지산으로 올라 각호산과 도마령으로 가자는 이들도 있었지만,

그러면 삼도봉과 석기봉을 밟지 못하고 지나치게 되는 걸,

오늘의 하이라이트는 삼도봉과 석기봉이 아니던가?

어디로 가든 민주지산이야 거치게 되지만,

한동안 옥신각신하다 결국은 애당초 계획한 그대로 가자는,

당연한 걸 가지고 왜 쓸데없는 장난을 치려는 건지?(11:36 - 11:40)





민주지산 지름길은 3.0km라는데,

삼도봉(3.8km)과 석기봉(5.2km)을 거쳐서 가면 7.3km이고


가자, 삼도봉으로






목교,

민주지산(지름길) 등산로가 지나는 곳이기도





목교를 지나자마자 또 하나 나오는 민주지산 갈림길,

삼도봉 3.55km · 석기봉 5.0km · 민주지산 2.8km를 가리키고(11:43)





또 다른 목교가 하나 더 나오기도









목교를 지나자마자 길게 이어지던 상수원보호지역 철망이 끝나고



철망이 끝나자마자 물한계곡 상류인 미니미골을 건너고



잘못된 것인 듯?(11:52)



다시 한 번 미니미골을 건너고(11:55)






석기봉(지름길) 갈림길,

삼도봉 3.0km · 석기봉 4.5km · 물한계곡 2.3km이며,

지름길로 해서 석기봉은 2.3km를 가리키고(11:58)








음주암폭포 갈림길,

등산로에서 벗어나 미니미골에 숨어있는 음주폭포로,

비경과 나랑 둘이서만 아무런 발자국도 없지만(12:06)


한겨울이라 꽁꽁 얼어붙은 음주암폭포,

한여름이면 더욱 좋았을 것을(12:11)





돌탑이 있는 쉼터에서 음주암폭포 위를 건너는 등산로에 합류하자,

이제 삼도봉은 2.0km를 가리키고(12:16)





고갯마루 쉼터,

이제 삼도봉은 1.5km를 가리키고(12:19)








삼마골재가 얼마 남지 않은 듯



백두대간 산줄기로 올라서는 삼마골재 사거리에서 점심을 먹고 가기로,

늦게 시작하는 바람에 얼마 가지도 못했지만 배가 슬슬 고파지기에,

어차피 먹을 것이요 어느새 이미 때도 되지 않았던가?(12:41 - 13:35)


삼마골재 이정표,

삼도봉 0.8km · 석기봉 2.2km · 황룡사 3.5km · 해인리 2.3km · 밀목령 2.1km를 가리키며,

삼마골재에서 삼도봉까진 짧게나마 백두대간 산줄기를 따르게 되고








가야산이 잘도 보이고















삼도봉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 산줄기,

나무 사이로 석기봉이 살짝 보이고 


부항령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 산줄기,

그 뒤엔 대덕산과 초점산 및 삼봉산과 덕유산 일대가 보이고





백두대간과 헤어지고 각호지맥으로 갈아 타게 되는 삼도봉(三道峰),

각호지맥이란 백두대간 삼도봉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석기봉(1200m) - 민주지산(1241.7m) - 각호산(1176m) - 도마령(800m)을 건너,

천만산(960.1m) - 삼봉산(930.4m) - 상촌산(794.8m) - 백마산(534m) - 무량산(426.5m)을 지나,

영동군 심천면 초강리에서 금강으로 빠지면서 맥을 다하는 약 52km의 산줄기이며,

삼도봉은 김천시 부항면과 영동군 상촌면 및 무주군 설천면에 걸쳐 있는 봉우리로,

우리나라에 삼도봉이란 이름은 여기 말고도 두 개가 더 있지만,

이곳이야 말로 경상도와 충청도 및 전라도가 만나는 진짜배기가 아닐까?(13:55 - 14:08, 1176m) 


삼마골재로 이어지는 산줄기



언젠간 가게 될 부항령과 와 대덕산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 산줄기



가야산이 다시 한 번 손짓을 하고



가야 할 석기봉이 뾰족하게 솟았고



평강공주


















삼도봉 이정표,

석기봉 1.4km · 민주지산 4.3km · 해인리 0.9km · 황룡사 4.4km를 가리키고














선함
























삼도봉 헬기장에서 바라본 석기봉












돌아본 삼도봉



물한계곡 갈림길,

물한계곡주차장 4.0km · 삼도봉 1.0km · 석기봉 0.5km를 가리키는데,

아까 만난 석기봉 지름길이 이리로 이어지고(14:30)





팔각정 휴게소(14:37)












앞을 가로막는 석기봉 바위지대,

바위지대는 석기봉을 지나서까지 꽤 길게 이어지고























돌아본 삼도봉



대덕산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 산줄기






물한계곡이 내려다보이고






충북 영동군과 전북 무주군에 걸쳐 있는 석기봉,

쌀겨처럼 생겼다 하여 쌀개봉이라 부른데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우뚝 솟은 바위 봉우리가 빼어난 산세를 자랑하는 건 말할 것도 없고, 

가야산, 덕유산, 속리산, 금오산, 황악산, 계룡산, 지리산도 보이는 멋진 전망대이고(14:43 - 14:47, 1200m)


가야산이 보이고



신비롭게 보이는 덕유산






송비산



징검다리















한눈에 들어오는 민주지산과 각호산












돌아본 석기봉



물한계곡 일대



황악산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 산줄기






노익장을 과시하는 송비산















무지막골을 따르는 물한계곡 갈림길 안부,

삼도봉 3.55km · 석기봉 5.0km · 민주지산 2.8km를 가리키는 데로 이어지지 않을는지?(15:12)





(15:28)









쪽새골능선을 따르는 물한계곡 갈림길,

석기봉 1.8km · 민주지산 0.8km를 가리키고(15:39)





쪽새골을 따르는 물한계곡 갈림길,

민주지산 0.12km · 황룡사 3.8km · 석기봉 2.5km를 가리키고(15:45)











민주지산 바로 아래 내북마을과 불대마을 갈림길,

석기봉 2.9km · 내북마을 2.7km · 불대마을 2.5km를 가리키고


석기봉과 삼도봉으로 이어지는 산줄기



황악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



대덕산, 초점산(삼도봉), 덕유산이 한눈에 쏙이고









전북 무주군 설천면과 충북 영동군 상촌면 및 용화면에 걸쳐 있는 민주지산(周之山),

각호지맥에선 가장 높은 산이요,

崏은 산맥을 뜻하고 周는 두루 또는 둘레를 뜻하므로,

주변을 둘러봐도 산밖에 없는 첩첩산중에 자리 잡은 산이라고나 할까?(15:50 - 16:02, 1241.7m)





각호산으로 이어지는 각호지맥 산줄기



눈 아래 보이는 물한계곡



석기봉과 삼도봉으로 이어지는 각호지맥 산줄기






한눈에 들어오는 대덕산, 삼봉산, 덕유산



적상산도 보이고



희미하게 들어오는 지리산을 좀 더 가까이로
























민주지산 삼각점(영동 11)





















민주지산자연휴양림 갈림길,

민주지산 0.3km · 석기봉 2.9km · 민주지산자연휴양림 1.2km · 각호산 3.2km를 가리키는데,

이제 더 이상 각호지맥을 따르지 않고 민주지산자연휴양림으로 내려가기로,

민주지산의 새 이정표와는 거리가 맞지 않은 걸?(16:08)


한동안 쏟아지는 듯한 급한 내리막길이 이어지고












급한 내리막길이 숨을 고르는 1,000m 지점에 자리 잡은 용화천 발원지,

2007년 7월 27일 용화면사무소 직원과 이장들이 옹달샘에다 자연석으로 테두리를 만들고,

옹달샘 옆 기단(基壇) 위에 1m의 표석을 세워 용화천 발원지임을 표시하였다는데,

민주지산자연휴양림과 용화면 소재지를 지나 무주 남대천과 만나 금강으로 흘러간다고(16:14)























민주지산자연휴양림 임도로 내려서서 그걸 따라 주차장으로 내려가기로,

 아직도 휴양림은 3.6km를 가리키지만(16:33)


























아라, 칠복수, 평강공주















(16:49)





















(16:55)






























영동군 용화면 조동리 민주지산자연휴양림주차장에서 발길을 멈추는데,

따뜻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유난히 눈이 귀한 올겨울이라고는 하지만,

요 며칠 전에 민주지산을 비롯한 산간지방엔 꽤 많은 눈이 내렸기에,

눈으로 실컷 눈구경을 하면서 즐긴 멋진 산행이었다고나 할까,

차에 오른다.

그리곤 떠난다.

진양호 노을빛이 참 고운 내 사는 진주로(17:05)

'기타지역권 산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완도군 생일도  (0) 2017.03.16
완도군 금당도  (0) 2017.03.02
화순 도덕산과 용암산  (0) 2017.01.04
북덕유산 향적봉   (0) 2016.12.29
대둔산 북릉으로 마천대 올라 수락주차장으로   (0) 2016.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