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날 짜 : 2013년 3월 16일(토)
* 날 씨 : 구름 조금
* 산 행 지 : 밀치 - 작은황매산 - 황매산 - 상봉 - 구름재 - 두심 삼거리 - 정지골재
* 산행거리 : 17.2km(기맥거리 17.2km)
* 산행시간 : 6시간 50분(운행시간 5시간 20분 + 휴식시간 1시간 30분)
* 산행속도 : 약간 빠른 걸음
* 산행인원 : 2명(진주산적, 선함)
* 산행일정
08:30 밀치(503m, 거창 신원면 - 산청 차황면)
09:00 갈밭재(550m)
09:33 - 09:40 작은황매산(843m)
09:57 - 10:00 떡갈재(665m)
10:28 - 10:31 장박마을 갈림길 봉우리(960m)
10:33 967m봉
10:58 진양기맥 갈림길 봉우리
11:00 - 11:08 황매산 황매봉(1113m)
11:10 - 11:13 진양기맥 갈림길 봉우리
11:20 - 11:23 황매산 삼봉(제1봉)
11:33 1103.5m봉(△ 산청 23)
11:36 - 12:11 황매산 상봉(1110m)
12:15 황매산 중봉(1072m)
12:21 - 12:24 황매산 하봉(993m)
12:29 - 12:32 할미산성 돌탑봉
12:42 909m봉
12:53 황매산 장군봉(830m)
13:04 박덤 사거리(668m)
13:25 구름재(470m)
13:58 - 14:08 두심 삼거리(392m)
14:19 473m봉
14:31 480m봉
14:53 - 15:05 496m봉 바위 전망대
15:20 정지골재(386m)
* 기맥거리(17.2km)
밀치 - 2.1km - 갈밭고개 - 1.1km - 작은황매산 - 1.3km - 떡갈재 - 3.0km - 황매산 -
3.2km - 황매산 상봉 - 2.4km - 구름재 - 1.4km - 두심 삼거리 - 2.7km - 정지골재
국도 59선이 지나는 거창 신원면과 산청 차황면을 잇는 밀치에다 차를 세우고선,
작은황매산 - 황매산 - 황매산 중봉 - 황매산 하봉 - 구름재 - 두심 삼거리를 지나,
지방도 1041호선이 지나는 월계고개까지 가기로 하고 진양기맥 제6구간 산행에 들어가는데,
마지막에 착오를 일으키는 바람에 뜻하지 않게 정지골재에서 발걸음을 멈추게 되고(08:30)
밀치 소룡마을 버스정류소에서 바라본 소룡산
밀치 수준점
밀치에서 콘크리트 포장임도를 따라 제 6구간 산행에 들어가고
20m 남짓 포장임도를 따르다 오른쪽 산길로 붙고
(08:34)
묵은 헬기장 봉우리(08:42)
밀치에서 20분 만에 오른쪽으로 100m 거리의 강섭산 갈림길 봉우리를 지나고,(08:50)
이어지는 내리막길로 거창 신원면 와룡리 소야마을과 산청 차황면 장박리 장박마을을 잇는
포장임도가 지나는 갈밭재로 내려서고(09:00)
갈밭재에선 오른쪽으로 20m 남짓 어긋나 기맥길은 이어지고
고개 사거리에 설치된 이정표(09:06)
작은황매산으로 오르기에 바로 앞서 너덜지대를 지나고
할미산이라고도 부르는 작은황매산에는 자그마한 정상석과 이정표가 자리 잡고 있으며,
처음으로 제대로된 조망이 활짝 열리면서 눈을 즐겁게 하고(09:33 - 09:40)
작은황매산에서 밀치 부근 소룡마을과 소룡산
작은황매산에서 소룡산과 바랑산 그 뒤 대봉산
작은황매산에서 지리산 천왕봉과 중봉, 반야봉
작은황매산에서 반야봉과 만복대, 그 앞 삼봉산
작은황매산에서 대봉산
작은황매산에서 가야 할 할미봉과 황매산으로 이어지는 진양기맥 산줄기
작은황매산에서 황매산 일대
작은황매산에서 멀리 덕유산 산줄기와 그 앞 감악산 바로 앞 월여산
작은황매산에서 감악산과 월여산
작은황매산에서 오도산
작은황매산에서 합천호
작은황매산에서 악견산과 금성산
작은황매산을 뒤로 하고선 오른쪽으로 꺽어 내려서고
떡갈나무 연리지가 눈길을 끌기도(09:46)
억새지대를 지나가면서 지리산 천왕봉과 중봉(09:54)
억새지대를 지나가면서 소룡산과 바랑산
억새지대를 지나가면서 돌아본 소황매산
푸석거리는 절개지로 합천 대병면과 산청 차황면을 잇는 임도가 지나는 떡갈재로 내려서고선,
왼쪽으로 20m 남짓 가자 이어받는 T자로 된 포장임도 삼거리에서 오른쪽으로 가고,
다시 20m 남짓 간 황매산 등산안내도와 등산로를 가리키는 표지기가 있는 곳에서 산길로 붙고(09:57 - 10:00)
떡걀재 포장임도에서 다시 산길로 붙고
산줄기로 올라서자 떡갈재 절개지 쪽으론 등산로을 차단하다는 표지기가 있고(10:01)
960m봉 아래 암봉까진 힘든 가풀막이 이어지고
960m봉 아래 암봉 쉼터로 올라서자 가풀막이 사라지면서 밋밋한 길이 이어받고(10:25)
960m봉 아래 암봉 쉼터에서 황매산 일대
967m봉 아래 암봉 쉼터에서 할미봉
967m봉 바로 아래 쉼터가 마련되어 있는 장박마을 갈림길 봉우리(960m)에서,
목을 축이면서 숨을 고르고 조망도 즐기고(10:28 - 10:31)
장박마을로 이어지는 널따란 길과 멀리 대봉산
장박마을 갈림길 봉우리에서 웅석봉과 지리산 천왕봉 일대
장박마을 갈림길 봉우리에서 반야봉과 지리산 서북능선, 삼봉산
장박마을 갈림길 봉우리에서 황석산과 기백산 사이로 보이는 진양기맥이 분기하는 남덕유산
장박마을 갈림길 봉우리에서 악견산과 금성산, 황매산 중봉
장박마을 갈림길 봉우리를 뒤로 하고
(
967m봉(10:33)
황매평전의 철쭉 군락지가 펼쳐지고
헬기장 20m 남짓 앞의 상중마을 갈림길 삼거리를 지나고(10:38)
헬기장에서 돌아본 상중마을 갈림길 삼거리
헬기장과 황매산 일대
(10:42)
철쭉과 억새 군락지 봉우리(10:50)
돌아본 철쭉과 억새 군락지 봉우리
황매산이 빤히 보이는 널따란 공터에 둥근 쉼터가 마련되어 있는 황매봉 갈림길 봉우리로 올라서는데,
진양기맥 마루금에선 100m 가까이 벗어나 있지만 황매산 황매봉을 아니 갈 수가 없고(10:58)
황매산 황매봉
남덕유산에서 분기한 진양기맥이 기백산에서부터 뚝 떨어지면서 600m - 700m를 오르내리다,
다시 1100m가 넘게 솟구친 황매산 황매봉(1113m)으로 올라서고(11:00 - 11: 08)
황매봉에서 돌아본 황매봉 갈림길 봉우리
황매봉에서 가야 할 삼봉, 1103.5m봉, 중봉)
황매봉에서 진양기맥이 지나는 자굴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
황매봉에서 차황면 법평리 일대와 멀리 웅석봉
황매봉에서 베틀봉 - 감암산 - 부암산과 그 너머 진양기맥의 끄트머리에 자리 잡은 집현산과 광제산
황매봉에서 멀리 지리산 천왕봉과 중봉
황매봉에서 둔철산과 정수산, 웅석봉
황매봉에서 멀리 반야봉과 그 앞 필봉산과 왕산
황매봉에서 멀리 대봉산과 그 앞 바랑산과 소룡산
황매봉에서 멀리 황석산과 남덕유산, 기백산
황매봉을 뒤로하고
다시 진양기맥 갈림길 봉우리로 돌아가고(11:10 - 11:13)
진양기맥 갈림길 봉우리에서 황석산과 기백산 그 뒤 남덕유산과 북덕유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
황석산과 기백산 그 뒤 남덕유산과 삿갓봉, 무룡산
감악산과 기백산 그 뒤 무룡산과 북덕유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
967m봉 - 소룡산 - 바랑산으로 이어지는 진양기맥 산줄기와 그 뒤 대봉산
진양기맥 갈림길 봉우리를 뒤로하고
돌탑지대에서 가야 할 산줄기와 합천호(11:15)
세 개의 바위 봉우리가 나란히 있어 삼봉이라 부르는 제1봉의 모습인데,
팔각정이 설치되어 있는 상봉에 삼봉이란 이정표가 있긴 하지만,
거긴 예로부터 상봉으로 불렀으니 아무래도 그건 잘못된 것으로,
이 일대의 고만고만한 암봉 셋을 묶어 삼봉이라 하는 게 맞을 것 같고(11:20 - 11:23)
삼봉 제1봉
삼봉 제1봉에서 돌아본 황매봉으로 이어지는 산줄기
삼봉 제1봉에서 제2, 3봉과 가야 할 1103.5m봉 및 상봉
삼봉 제2봉에서 내려다본 모산재(잣골덤, 11:25)
삼봉 제2봉에서 돌아본 황매봉으로 이어지는 산줄기
삼봉 제2봉에서 바라본 제3봉
삼봉 제3봉으로 올라서고(11:27)
삼봉 제3봉에서 지나온 산줄기를 돌아보고
삼봉 제3봉의 바위지대에 설치된 나무계단
1103.5m봉으로 오르면서 돌아본 황매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
1103.5m봉 삼각점(산청 23)
1103.5m봉에서 상봉은 150m 남짓 되고(11: 33)
황매산 정상인 황매봉보다도 뛰어난 산세를 자랑하는 상봉으로 올라서는데,
팔각정에서 점심을 먹으면서 이곳저곳 빙 돌아가며 멋진 조망을 즐기고(11:36 - 12:11)
상봉
상봉 팔각정
1103.5m봉 - 삼봉 - 황매봉으로 이어지는 산줄기와 멀리 천왕봉과 중봉
합천호가 눈 아래 펼쳐지고
상봉을 삼봉이라 한 건 잘못된 것이고
부암산과 감암산, 황매평진
모산재와 집현산, 광제산
언젠간 가야 할 자굴산으로 이어지는 진양기맥 산줄기
자굴산
베틀봉 뒤로 둔철산과 정수산, 웅석봉
합천호반에 자리 잡은 악견산과 금성산
악견산과 금성산
점심을 먹고선 황매산 상봉을 뒤로하고
조망이 활짝 열리는 하봉으로 내려서고(12:21 - 12:24)
하봉에서 돌아본 상봉과 중봉
하봉에선 진양기맥이 분기하는 남덕유산이 잘도 들어오고
멀리 덕유산 산줄기와 감악산, 월여산
악견산과 금성산
합천호 너머에선 오도산이 오라는 손짓이고
하봉에서 20m 남짓 내려선 삼거리 이정표에서 독립가옥과 임시주차장으로
할미산성 돌탑 봉우리에 이르고(12:29 - 12:32)
할미산성에서 돌아본 상봉과 중봉
할미산성에서 황매산 뒤로 보이는 지리산 천왕봉과 중봉
할미산성에서 황매평전과 베틀봉
할미산성을 뒤로하고
909m봉으로 오르기에 앞선 삼거리에서,
바로가 아닌 임시주차장을 가리키는 오른쪽으로 꺾어 오르고(12:39)
909m봉에서 내려서는 바위지대 아래 이정표(12:45)
(12:45)
(12:50)
그전엔 삼봉이라 부르던 펑퍼짐한 봉우리,
장군봉이란 낯선 이정표가 날 맞고(12:53)
독립가옥을 가리키는 오른쪽으로 꺾어 내려서고(12:55)
연꽃설습지를 보호하기 위해 등산로는 왼쪽으로 돌아가고
연꽃설
(12:59)
연꽃설에서 400m 남짓 내려선 박덤 사거리
불당골을 가리키는 왼쪽의 비포장임도로 내려서는데,
이정표 뒤쪽으로 2분 가까이 올라 왼쪽으로 꺾는 게 정상적인 마루금이지만,
얼마 안 가 비포장임도에서 다시 만나기에 좀은 수월하게 가는 셈이고(13:04)
박덤 사거리에서 비포장임도를 따라 400m 남짓 내려가자,
비포장임도가 왼쪽으로 크게 휘어지는 곳의 왼쪽으로 낮은 무덤 하나가 있는데,
여기서 비포장임도에서 벗어나 무덤 맞은편의 희미한 산길로 들어서고(13:10)
무덤 위 15m쯤 오른쪽으로 꽤 뚜렷한 길과 함께 이런 표지기가 있는데,
이곳으로 들어서더라도 넘어진 철조망을 넘어 가면 곧 두 길은 하나가 되고
비포장임도 왼쪽의 낮은 무덤(13:10)
소나무가 우거진 숲속에 헬기장(39 - 118 - 4 - 38)이 자리 잡고 있는데,
국가지원지방도 60호선이 지나는 구름재까진 650m 남짓 된다 하고(13:15)
꽤나 묵은 갑갑한 숲길을 빠져나가 밤나무단지 바로 위 무덤을 지나고(13:21)
밤나무단지에선 진양기맥에서 살짝 벗어난 허굴산이 모습을 드러내고
국가지원지방도 60호선 2차선 포장도로가 지나며,
모산재가 살짝 들어오는 구름재(470m)로 내려서고(13:25)
구름재
구름재 포장도로를 건너 넓게 조성된 무덤으로 이어지는 널따란 길로 들어서고
구름재에서 2분 남짓 가 넓게 조성된 무덤을 지나 오르고
무덤을 지나면서 돌아보자 영암사와 모산재가 들어오고
베틀봉과 황매산을 잇는 산줄기도 들어오고
황매산 황매봉도 들어오고
무덤을 지나 희미한 산길로 들어서는 곳에다 표지기 하날 달고 가는데 ,
요즘이야 그런대로 갈 수 있지만 꽤나 묵은 길에다 밤나무단지를 지나는 등,
한여름이면 길 찾기도 어렵거니와 잡목과 가시덩굴 때문에 애를 먹을 것 같고
(13:37)
(13:38)
철조망이 쳐진 밤나무단지를 지나고
(13:43)
경주최씨 부부무덤에서 살짝 보이는 포장임도로 내려서면 왼쪽으로
포장임도로 내려서고(13:44)
포장임도로 내려서서 돌아보고
포장임도에서 벗어나 밤나무단지로 이어지는 오른쪽의 비포장임도를 따르고(13:46)
밤나무단지를 가로지르는 포장임도로 내려서서 허굴산과 이동통신탑이 보이는 왼쪽으로(13:50)
(13:50)
허굴산이 다시 모습을 드러내고
두심 삼거리 황매산만남의광장에 주차된 관광버스가 보이는 고개 삼거리에서,
왼쪽으로 내려서서 2차선 포장도로를 따라 가면 좀은 수월하겠지만,
그건 아니다 싶어 이동통신탑을 바라보며 곧바로 나아가고(13:52)
(13:55)
이동통신탑을 지나 밤나무단지로 이어지는 비포장임도를 따라 지방도 1089호선이 지나는
두심 삼거리로 내려서는데, 대전의 그 유명한 산꾼인 보만식계 님을 만나게 될 줄이야!
우리랑 마찬가지로 밀치에서 진양기맥을 시작하여 두심 삼거리에서 끝내고선,
늦게 오는 일행을 기다리는 중이라며 동동주나 마시고 가라며 손을 이끌기에,
진주산적이랑 같이 동동주 두 잔을 연거푸 얻어마시게 되는데,
기념사진과 함께 두심 삼거리에서 이어갈 들머리까지 가르쳐 주고서야 돌아서니,
산만 잘 타는 게 아니라,
마음 씀씀이 또한 참 좋은 산 사나이임에 틀림없고(13:58 - 14:08)
보만식계, 선함, 진주산적
두심 삼거리에서 이리로 붙어도 되지만,
그건 빙 둘러간다며 보만식계 님이 화장실 옆으로 우릴 이끌고
둔내 버스정류소에서 50m 남짓 떨어진 화장실 뒤에서 밤나무단지로 올라서고
밤나무단지에서 내려다본 두심 삼거리와 모산재
밤나무단지 비포장임도를 따라 산줄기로 오르자 허굴산이 반기고(14:17)
밤나무단지 꼭대기는 삼각점이 자리 잡은 473m봉이고(14:19)
정지골재 바로 위 암봉(496m)과 정지골재로 이어지는 도로가 살짝 보이지만,
정지골재가 아닌 월계고개로 알았으니 착각을 할 수밖에 없었으며,
473m봉에서 조금 내려서자 왼쪽에서 꽤 뚜렷한 길이 합류하는데,
두심 삼거리에서 화장실이 아닌 교통표지판 앞으로 이어지는 길인 것 같고(14:21)
나무 사이로 허굴산이 바로 앞에 언뜻 보이는 펑퍼짐한 곳에서,
왼쪽으로 이어지는 뚜렷한 길에서 벗어나 오른쪽의 밤나무단지로 오르고,
희미한 길을 따라 오른 갈림길 봉우리(480m)에서 바위가 보이는 오른쪽으로 내려서고(14:31)
밤나무단지 오른쪽가로 붙어오르면서 돌아보자,
황매산 일대가 고개만 빠끔이 내밀고(14:44)
모산재와 황매평전의 베틀봉도 들어오고
금성산도 그다지 멀지 아니하고
허굴산은 손 내밀면 잡힐 듯이 아주 가깝고
밤나무단지 위에선 멋들어진 암봉이 어서 오라며 손짓이고
허굴산이 바로 앞인 바위 전망대(496m)로 올라,
막걸리로 목을 축이면서 조망을 즐기고(14:53 - 15:05)
바위 전망대와 허굴산
바위 전망대에서 허굴산
바위 전망대에서 꼭대기만 내미는 황매산 일대
암바위 전망대에서 합천 대병면 일대
바위 전망대에서 금성산과 허굴산
바위 전망대에서 자굴산으로 이어지는 진양기맥 산줄기
바위 전망대에서 바로 옆 암릉지대와 자굴산
496m봉 바위 전망대 바로 아래 암릉지대로 내려서면
암릉지대를 우회하여 산줄기를 따라 바로 내려서기 쉽지만,
그건 아니며 진양기맥은 오른쪽으로 틀어 무덤을 지나 내려서야 하고(15:07)
오른쪽으로 축사가 보이자 월계고개인 줄로 착각하고 대병택시(055 - 933 - 7633)를 호출하고선,
비포장임도를 따라 2차선 지방도 1041호선이 지나는 정지골재로 내려서고
월계고개가 아닌 정지골재로 내려서고
알고 보니 정지골재인데 월계고개로 잘못 알고 산행을 끝마치고선,
택시를 기다리며 이곳저곳 둘러보면서 다음 제7구간 들머리를 알아두고자 하지만,
산줄기로 봐선 절개지 부근으로 오르는 건 확실한 것 같아 들머리를 찾고 있는데,
택시가 오는 바람에 택시를 타고 밀치로 가면서 택시기사가 여긴 월계고개가 아니며,
30분 가까이 더 간 2차선 지방도 1041호선이 지나는 이 다음 고개가 월계고개라지만,
이미 엎지러진 물이요 쏘아버린 화살이니 무슨 소용이란 말인가?
아직은 산행을 끝낼 시간은 아니지만,
다음에 좀 더 부지런히 걸으리라 다짐을 하면서 밀치로 가는데,
내일 있을 진양기맥 제7구간 산행은 월계고개가 아닌 정지골재에서 한티재까지,
꽤 먼 거리인데다 오후 늦게 비가 온다니 이 또한 걱정이 아닐 수 없고(15:20, 택시요금 30,000원)
'진양기맥 산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덕유산에서 진양호까지 진양기맥 이어가기(제8구간 한티재에서 머리재까지) (0) | 2013.03.24 |
---|---|
남덕유산에서 진양호까지 진양기맥 이어가기(제7구간 정지골재에서 한티재까지) (0) | 2013.03.17 |
남덕유산에서 진양호까지 진양기맥 이어가기(제5구간 춘전치에서 밀치까지) (0) | 2013.03.02 |
남덕유산에서 진양호까지 진양기맥 이어가기(제4구간 개목고개에서 춘전치까지) (0) | 2013.02.24 |
남덕유산에서 진양호까지 진양기맥 이어가기(제3구간 기백산에서 개목고개까지) (0) | 2013.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