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권 산행기

진양기맥이 지나는 진주 광제산

큰집사람 2022. 7. 24. 21:47

 

 

 

*  산행날짜 : 2022.7.24.(일요일)

*  날       씨 : 구름 많음

*  산  행  지 : 홍지주차장 - 약샘 - 광제산 - 덕곡마을 갈림길 - 홍지주차장

*  산행거리 : 4km

*  산행시간 :  2시간 30분(운행시간 1시간 40분 + 휴식시간  50분)

*  산행인원 : 1명(나 홀로)

 

 

 

 

 

* 산행일정

14:15              홍지주차장

14:34              콘크리트 포장도로 

14:35              사군파농원 갈림길

15:00 - 15:08  약샘

15:20 - 15:23  약샘 삼거리 안부

15:28 - 16:00  광제산(419.8m)

16:08 - 16:12  덕곡마을 갈림길

16:30 - 16:33  광제서원 고려고분군 갈림길

16:45               홍지주차장 

 

 

 

 

 

홍지주차장

 

 

 

 

등산로 입구

 

 

 

 

청현재

 

 

콘크리트 포장도로

 

 

 

 

사군파농원 갈림길

 

 

 

 

 

 

 

 

 

 

 

 

 

 

 

 

 

 

 

 

약샘

 

 

 

 

 

 

 

 

 

 

 

 

 

 

자굴산

 

 

 

 

 

 

 

 

집현산,

그 뒤 한우산과 자굴산 

 

 

 

 

 

 

 

 

 

약샘 삼거리 안부

 

 

 

 

 

 

 

 

광제산

 

 

 

 

 

 

 

 

 

 

 

 

 

 

진주 광제산봉수대(晋州 廣濟山烽燧臺, 경상남도 기념물 제158호)

이 광제산봉수대는 조선 세종 때 만들어진 것으로,

아궁이와 돌로 쌓은 유적의 일부가 남아 있어 복원하였다.

봉수(烽燧)는 높은 산에서 불을 피워 밤에는 횃불(烽, 봉)로,

낮에는 연기(燧, 수)로 급한 소식을 전하던 옛날의 통신 수단이다.

 

우리나라에서 봉수제의 역사는 아주 오래되었지만,

우리나라에서도 기록상으로는 고려 중기에 이 제도가 나타나지만,

제도가 제대로 갖추어진 것은 조선 세종 때이다.

상황이 급한 정도에 따라 햇불이나 연기를 올리는 횟수를 달리했다.

평상시에는 한 번, 적이 먼바다나 국경에 나타나면 두 번,

적이 해안이나 국경에 접근하면 세 번,

적이 육지에 오르거나 국경을 침범하면 네 번,

적과 전투가 시작되면 다섯 번을 올렸다.

이 봉수대는 조선시대에 있었던  다섯 개의

 

중심 봉수로(烽燧路) 중 하나인 제2봉수로에 속하는 구간에 있었다.

즉 동래에서 서울에 이르는 봉수로를 연결하기 위해

진주 망진산봉수대의 신호를 받아 산청 입암산봉수대에 전달하는 역할을 했다.

 

* 광제산봉수대 전달 경로

대방산봉수대(남해) - 각산봉수대(사천) - 안점산봉수대(사천) - 망진산봉수대(진주)

- 광제산봉수대(진주) - 입암산봉수대(산청) - ...... - 목멱산봉수대(서울)

 

하동 금오산과 진양호 

 

 

 

 

진주 시내와 사천 와룡산 

 

 

 

 

 

 

 

 

 

 

 

 

웅석봉과 달뜨기능선

 

 

 

 

 

 

 

 

 

 

 

 

 

 

 

 

 

 

황매산

 

 

 

 

 

 

 

 

 

 

 

 

 

 

 

 

 

 

 

 

 

 

덕곡마을 갈림길

 

 

 

 

 

 

 

 

 

 

 

 

 

 

 

 

 

 

광제서원 고려고분군 갈림길

 

 

 

 

 

 

 

 

 

 

 

 

 

 

 

 

 

 

 

 

 

 

 

 

 

 

 

 

 

 

 

 

 

 

 

 

 

 

 

 

 

 

홍지주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