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권 산행기

합천군 삼가면 백학산(백악산)

큰집사람 2022. 5. 25. 20:57

 

 

 

* 날     짜 : 2022년 5월 21일(토요일)

* 날     씨 : 맑음

* 산  행 지 : 삼가체육공원주차장 - 백학산체육공원 - 산불감시초소 - 백학산 - 삼가중학교 - 삼가교 - 삼가체육공원주차장

* 산행거리 : 3.5km

* 산행시간 : 2시간 45분(운행시간 1시간 25분 + 휴식시간 1시간 20분)

* 산행속도 : 보통 걸음

* 산행인원 : 1명(나 홀로) 

 

  

 

 

 

* 산행일정

11:00           삼가체육공원주차장

11:08 - 11:18  백학산체육공원 백학산 등산로 입구(삼가사적비)

11:38 - 11:53  산불감시초소

11:56 - 12:17  백학산(268m, △ 경남-375호)

12:19 - 12:40  백학산체육공원(백학정)         

12:47 - 12:50  오솔길 입구

13:05 - 13:10  국도 제33호선 굴다리(삼가1터널 부근)

13:20           삼가중학교

13:25 - 13:30  만류제(백학산체육공원 입구)

13:45           삼가체육공원주차장

 

 

 

 

 

합천군 삼가면 소오리 삼가체육공원주차장,

바로 옆에 붙어 있는 삼가체육공원은 일부리이고

 

용흥길

 

 

용흥천 무지개다리

 

 

 

 

양천으로 흘러가는 용흥천

 

 

 

 

 

 

 

 

 

 

 

 

 

 

 

 

 

 

 

 

백학산 등산로 입구,

조금 아래 자리 잡은 삼가사적비를 둘러보고 오기로 하고

 

 

 

삼가사적비

 

 

 

 

 

 

 

 

 

 

 

 

 

 

 

 

 

 

다시 돌아온 백학산 등산로 입구,

이제 백학산으로 올라가고 

 

 

 

 

 

 

 

 

 

 

 

삼가면 일부리 축산단지,

이따가 저리로 빠져나와 잠수교를 건너갈 거고 

 

삼가중학교

 

 

 

 

 

 

 

 

 

 

 

 

 

 

황매산과 허굴산 일대

 

 

 

 

 

 

 

 

 

 

 

 

 

 

백학산 정상 아래 산불감시초소가 자리 잡은 봉우리

 

 

 

 

집현산

 

 

 

 

둔철산, 정수산, 부암산

 

 

 

 

 

 

 

 

 

 

 

 

 

 

 

 

 

 

 

 

 

 

 

 

 

 

 

 

 

 

산불감시초소를 지나자마자 KBS삼가TV방송중계소이고 

 

 

 

 

 

 

 

 

KBS삼가TV방송중계소 위 삼거리,

왼쪽의 너른 길은 곧장 백학산체육공원으로 이어지고,

오른쪽으로 난 산길은 백학산 정상 경유 백학산체육공원으로 이어지고

 

 

 

백학산(白鶴山, 268m),

합천군 삼가면 일부리 산 50번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형도상으론 백학산 아닌 백악산(白岳山)으로 나와 있고,

오솔길을 따라가면 삼가고등학교와 한우산으로도 갈 수가 있지만,

오늘은 그게 아닌 백학산체육공원으로 내려가기로 하고 

 

백학산(白鶴山)

()이 봉두(鳳頭)마을을 향하여 곧 날아가는 듯한 모습의

(地形)을 띄어 백학산(白鶴山)이라 칭하였다고 하며,

또한 옛 이름으로는 백악산(白岳山), 비봉산(飛鳳山)이라고도 불렸다고 한다.

산세(山勢)는 앞쪽은 면() 소재지(所在地)를 향하고,

중앙부는 움푹 들어간 삼각형(三角形)의 골짜기 산지이다.

산 밑은 양천강이 흐르고 우쪽 하편에는 "망듬"이 솟아 있고,

산정 뒤편은 고등능선으로 한우산과 자굴산(闍崛山)으로 이어지며,

정상부에는 삼국시대(三國時代)의 유물(遺物)

자연석 돌담형식의 백학산(白鶴山) 성터가 약 500m 정도 남아 있다.

 

백학산 삼각점(경남-375호)

 

 

 

 

삼가인의 아름다운 마음과 용맹스런 기상을 이 빗돌에 새기다

2012. 1. 1.

백학산성보존회 일동

 

백학산 옛 정상석

 

 

 

 

 

 

한우산과 자굴산

 

 

망룡산

 

 

 

 

 

 

 

 

 

 

 

 

 

 

 

 

 

 

 

 

 

 

 

 

백학산체육공원(백학정)

 

 

 

 

 

 

 

 

백학산성(白鶴山城)의 전설

때는 서기 642년경 삼국시대 신라의 최전방 지금의 합천 대야성(大耶城)에는

김춘추(金春秋)의 사위 도독 김품석(金品釋) 장군이 지키고 있었고,

백학성에는 백제의 윤충(允忠) 장군이 마주보고 호시탐탐 기회를 노리었다.

그러던 어느 날 품석 장군이 사냥을 나가 서상리에서 묘산 방향으로 가는

안짓골 골짜기에서 사냥에 몰두하다 밤이 깊어 부하들과 길을 잃고 방황하다

겨우 인가를 찾아 숙박 중 품석 장군이 소피(所避)가 보고 싶어 밖에 나갔는데,

부하인 검일(黔日)의 처와 마주치게 되었는데,

공교롭게도 검일이 그 장면을 목격하여 품석을 원망한 나머지

서상리에서 막사(幕舍)를 몰래 빠져나와 돗골 삼거리, 진등깊은골, 널티를 경유해서

백제의 최전방 성(城) 삼가 백학산성의 윤충 진중에 와서 사정을 설명하고,

"대야성(大耶城)에 불길이 오르면 쳐들어 오라."고 내통(內通)하였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백학정(白鶴亭)

 

 

백학산성의 흔적

 

 

 

 

 

 

 

 

 

 

 

 

 

 

 

 

 

 

 

 

 

 

 

 

 

오솔길 입구,

백학산 오솔길은 2011년 11월 15일 개통했다던가?

 

 

 

 

 

 

 

밤나무단지

 

 

 

 

 

 

국도 제33호선

 

 

삼가1터널

 

 

 

 

 

 

삼가1터널 부근 굴다리로 빠져나가고 

 

 

 

 

 

 

 

 

 

 

 

 

 

 

 

 

양천 잠수교를 건너고 

 

 

 

 

 

 

가미교

 

 

 

 

 

 

 

 

가미교

 

 

 

 

 

 

 

 

 

 

 

 

삼가중학교

 

 

양천강변길

 

 

 

 

백학산 일대

 

 

돌아보자 산성산이 들어오고

 

 

백학산체육공원 입구

 

 

만류제(萬柳)

삼가제방(둑)은 삼가 지역을 홍수로부터 보호하고 공동생활권 형성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삼가인의 정서와 성격에도 영향을 끼쳤으며 제방의 길이는 약 2km 정도이다. 

 

삼가군지에는 "삼가읍이 큰 시내로 둘러싸여 있어서 땅이 낮고 습하여

성문(城門)과 관청집, 백성집 및 장터(현 하금마을)가 본래부터 물이 내려가는 길이다."라는

기록을 보면 오래전부터 방천이라는 나지막한 둑이 있기 전부터 삼가의 지세는 낮고 습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지세적인 필요에 의해 생긴 나지막한 옛둑은 본래 두겹으로 되어 있었으며,

현재의 제방 위치에 바깥둑이 있고 우체국 앞 수정정(水晶亭)이 있는 자리에 안둑이 있었는데,

큰물이 지면 홍수 피해를 입게 되는 형태였다.

 

이에 당시 삼가현감 임사준(林思準)은

농한기를 이용하여 부역군을 뽑아 옛둑(바깥제방)을 다시 견고하게 쌓고,

가구당 버드나무 한 그루씩을 심게 하였고,

죄를 지은 사람도 속죄의 뜻으로 버들을 심게 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많은 버들이 있는 제방"이란 뜻에서 만류제라 이름 짓고,

1862년(철종 13년) 8월에 지서멀(일부리)에서 삼가중학교 뒤편 오르막길 아래쪽에

표지석을 세워 일부마을의 수호신으로 보호해 왔으나,

2006년 제방 위 도시계획도로 개설로 만류제 표지석을 도로 위쪽으로 옮겨 놓았다가,

주변 환경이 산만하여 2010년 5월 마을 주민의 뜻을 모아 이곳으로 이설하게 되었다.

 

만류제(萬柳堤)

 

 

동치원년임술팔월(同治元年壬戌八月),

동치원년(同治元年)은 청나라 10대 황제 목종(穆宗)이 즉위한 해를 가리키는 걸로,

이로 미루어 1862년(철종 13년)에 세운 거고 

 

삼가면애향탑

 

 

 

 

 

 

 

 

삼가교

 

 

 

 

 

 

 

 

 

 

 

 

 

 

 

 

 

 

 

 

 

 

삼가회전교차로

 

 

 

 

삼가교

 

 

 

 

 

 

 

 

용흥길

 

 

 

 

 

 

 

 

 

 

삼가체육공원주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