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날 짜 : 2021년 7월 14일(수요일)
* 날 씨 : 구름 많음
* 산 행 지 : 심거마을 - 3단폭포 - 심거폭포 - 769m봉 - 815m봉 - 둔철산 - 부봉 - 시루봉 - 3단폭포 - 심거마을
* 산행거리 : 6.8km
* 산행시간 : 7시간 05분(운행시간 3시간 37분 + 휴식시간 3시간 28분)
* 산행속도 : 보통 걸음
* 산행인원 : 7명(황의봉, 정봉근, 이영근, 유달수, 이완희, 강동섭, 조광래)
* 산행일정
09:35 심거마을주차장
09:52 시루봉 갈림길
09:54 3단폭포 갈림길
09:56 - 10:19 3단폭포
10:21 3단폭포 갈림길
10:26 - 10:29 깊은골 나무다리
10:50 - 11:20 심거폭포(금정폭포)
11:45 - 12:05 전망대
12:14 능선 3거리
12:20 - 12:25 769m봉
12:38 815m봉
12:41 - 13:37 둔철산(△ 산청 24, 823.4m)
13:40 815m봉
13:44 - 14:47 둔철산 부봉(805m)
14:16 - 14:32 시루봉(700m)
14:47 684m봉
15:00 - 15:03 둔철 4지점(안부 사거리)
15:10 깊은산골옹달샘
15:29 - 15:34 시루봉 갈림길
15:36 3단폭포 갈림길
15:38 - 16:22 3단폭포
16:24 3단폭포 갈림길
16:26 시루봉 갈림길
16:40 심거마을주차장
산청군 신안면 외송리 심거마을주차장,
지난 7월 9일에 이어 닷새 만에 다시 찾은 셈인데,
그땐 나 홀로였지만,
오늘은 진주교정동우산악회원들이랑 피서산행을 하는 게 아닌가?
심거마을 위 등산로 입구,
둔철산 정상 3.04km를 가리키는데,
3.04km는 심거마을주차장에서의 거리가 아닐까?
심거마을주차장과 둔철산 정상에선 3.01km라 하더라만
시루봉 갈림길,
이따가 둔철산 부봉과 시루봉을 경유하여 내려오기로 하고선,
이번엔 3단폭포와 심거폭포를 경유하여 둔철산 정상으로 올라가기로,
심거폭포 1.06km·둔철산 정상 2.27km·심거마을 0.4km·시루봉 1.7km라는데,
여기서 심거마을은 주차장 아닌 등산로 입구를 가리키는 듯,
심거마을주차장은 0.74km가 아닐는지?
3단폭포 갈림길,
3단폭포는 하산하면서 알탕 장소로 점찍어 둔 곳이지만,
일단은 3단폭포부터 들렀다 심거폭포로 올라가기로 하는데,
심거마을 0.86km·심거폭포 0.94km·둔철산 정상 2.16km·3단폭포 0.10km를 가리키고
3단폭포 하단부
다시 돌아온 3단폭포 갈림길,
이제 심거폭포(금정폭포)로 올라가고
깊은골 나무다리,
심거폭포 0.74km·둔철산 정상 1.95km를 가리키고
심거폭포(금정폭포) 이정표,
둔철 5지점(폭포 갈림길 삼거리)이기도 하며,
둔철산 정상 1.30km를 가리키는데,
이곳저곳에 설치된 이정표를 보면 1.21km가 맞지 않을까?
심거마을주차장은 1.8km이고
전망대
시루봉
웅석봉으로 이어지는 남강 지리태극 산줄기와 달뜨기능선
능선 삼거리,
오른쪽으로 틀어 769m봉으로 올라가고
769m봉에서 바라본 웅석봉
둔철산 정상과 815m봉
815m봉,
0.15km라는 둔철산 정상으로 갔다가 다시 돌아와야 하며,
(769m봉 경유)심거폭포 1.06km·심거마을 2.86km·
(부봉 경유)심거폭포 1.05km·홍화원 5.66km를 가리키고
둔철산 정상,
진주교직원산악회에서 창립 10주년 기념으로 1988년 7월 17일 세웠다는 정상석이 있으며,
(769m봉 경유)심거폭포 1.21km·심거마을 3.01km·(부봉 경유)홍화원 5.81km요,
와석총 1.69km·정취암 3.86km·둔철생태숲공원 3.96km를 가리키고
둔철산 삼각점(산청 24)
769m봉 뒤엔 웅석봉이 구름을 뒤집어쓰고 있고
경호강과 산청읍,
그 뒤엔 왕산과 필봉산이고
정수산과 황매산
황매산
둔철산 정상을 뒤로하고 815m봉으로 되돌아가고
다시 돌아온 815m봉,
이제 부봉과 시루봉을 경유하여 3단폭포로 내려갈 거고
둔철산 부봉,
2004년 1월 4일 단성중학교산악회와 성우종합건설(주)에서 세운 둔철산 정상석이 있는데,
811.7m라는 건 실제 둔철산 아닌 지형도상에 나오는 둔철산의 높이이며,
둔철산 정상 0.41km·(시루봉 경유)주차장 4.4km를 가리키는데,
주차장 4.4km라는 건 심거마을주차장 아닌 홍화원주차장이요,
폭포 · 주차장은 각각 심거폭포와 심거마을주차장을 일컫는 거고
심거마을과 산청군 단성면 방목리 어천마을
낙타바위라던가?
끝내 정수리를 보이지 않는 웅석봉
맷돌바위 또는 밥공기바위라 한다던가?
시루봉,
기기묘묘(奇奇妙妙)한 바위들의 향연장(饗宴場)이요,
둔철산 일대에선 제일가는 전망대가 아닐까?
684m봉 정상부
처사은진송공봉신지묘(處士恩津宋公鳳信之墓)
배유인삭녕최씨지묘(配孺人朔寧崔氏之墓)
충청남도 논산 지역의 옛 지명이 은진이라는데,
은진이라는 지명은 덕은(德恩)과 시진(市津)의 두 현(縣)이 합쳐서 생긴 것으로,
1914년 4월 1일 행정구역 개편으로 은진군이 논산군에 병합되면서 은진면이 되었으며,
경기도 연천과 강원도 철원 지역의 옛 지명이 삭녕이라는데,
삭녕군은 경기도 북동부에 있었던 군으로,
1914년 4월 1일 행정구역 개편으로 군의 서남부가 경기도 연천군,
동북부가 강원도 철원군에 각각 편입되어 폐지되었다 하고
둔철 4지점(무덤옆 정상 2km전) 안부 사거리,
글자가 지워지는 바람에 뭐가 뭔지 알아볼 수도 없게 되었는데,
둔철산 정상 1.9km·외송마을 3.3km·심거마을 1.3km를 가리키고
해주정씨 문중묘원,
바로 아래 깊은산골옹달샘이란 게 있고
깊은산골옹달샘
다시 돌아온 시루봉 갈림길,
알탕을 하면서 놀기 위해 3단폭포로 가고
3단폭포 갈림길
3단폭포
심거마을주차장
'진주교정동우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청 백운계곡 쌍폭(2021.7.23. 금요일) (0) | 2021.07.24 |
---|---|
산청 백운계곡 쌍폭으로 올라가면서 (0) | 2021.07.24 |
진주교정동우회 6·25전쟁 71주년 산청호국원 참배 (0) | 2021.06.28 |
6·25전쟁(한국전쟁) 제71주년 국립산청호국원 참배(2021.6.25. 금) (0) | 2021.06.25 |
남해 금산 (0) | 2021.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