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권 산행기

유평마을에서 무제치기폭포 올라 새재마을 거쳐 돌아오기

큰집사람 2020. 9. 4. 20:16

 

 

 

 

 

* 날      짜 : 2020년 9월 4일(금요일)

* 날      씨 : 맑고 구름 많음

* 산  행 지 : 유평마을회관 - 한판재 - 용수동 삼거리 - 무제치기폭포 - 현수샘 - 용수동 삼거리 - 새재마을 - 유평마을

* 산행시간 : 6시간 30분(운행시간 5시간 05분 + 휴식시간 1시간 25분)

* 산행속도 : 보통 걸음

* 산행인원 : 1명(나 홀로)

 

 

 

 

 

* 산행일정

10:20            유평마을회관(유평 삼거리, 지리 07 - 01지점, 421m)

10:32            지리 07 - 02지점(515m)

10:42            지리 07 - 03지점(581m)

10:56            아치형 나무다리(지리 07 - 04지점, 688m)

11:02 - 11:11  한판골 최고의 폭포

11:21            나무다리(지리 07 - 05지점, 807m)

11:43            지리 07 - 06지점(967m)

11:45            한판재

11:53            지리 07 - 07지점(972m)

12:07 - 12:37  앵골 최고의 전망대(지리 07 - 08지점, 987m)

12:50            지리 07 - 09지점(1024m)

13:06            용수동 삼거리(지리 08 - 07지점, 1123m)

13:08            지리 07 - 10지점(1099m)

13:21            무제치기교

13:26 - 13:36  무제치기폭포

13:40 - 13:43  무제치기폭포 위 나무계단 이정표

13:46 - 13:56  무제치기폭포 상단 전망대

13:58 - 14:04  현수샘(나무다리)

14:11            지리 07 - 11지점(1177m)

14:13            무제치기교

14:26            지리 07 - 10지점(1099m)

14:28            용수동 삼거리(지리 08 - 07지점, 1123m)

14:40 - 14:43  지리 08 - 06지점(1032m)

14:52            지리 08 - 05지점(948m)

15:05            지리 08 - 04지점(861m)

15:16 - 15:19  지리 08 - 03지점(825m)     

15:22            비둘기봉 갈림길(고갯마루 공터 사거리)

15:30            지리 08 - 02지점(772m) 

15:35 - 15:38  조개골 출렁다리

15:41 - 15:46  새재마을(지리 08 - 01지점, 704m)

16:09            새재교

16:28 - 16:31  삼거리마을

16:50            유평마을회관(유평 삼거리)

 

 

 

 

 

 

산청군 삼장면 유평리에 자리한 유평마을회관,

최근에 세운 것으로 보이는 유평마을 및 등산로 안내도가 날 반기고,

지리산 유평리 표지석 각자(刻字) 작업을 한창 진행하고 있는데,

내가 돌아올 즈음이면 마무리가 되어 있지 않을까?

 

 

 

 

 

 

 

유평 삼거리

 

 

* 상선약수(上善若水) : 가장 좋은 것은 물과 같다.

                             몸을 낮추어 겸손하며 남에게 이로움을 주는 삶을 비유하는 말이다.

* 도행지이성(道行之而成) : 길은 원래 존재하는 게 아니라 걸어 다니면서 만들어지는 것이다.

 

유평 삼거리 이정표,

치밭목대피소 6.2km · 새재마을 3.7km · 대원사 1.5km · 대원주차장 3.5km를 가리키며,

이정표에는 없지만 지리산 천왕봉은 10.2km이고

 

 

 

유평 탐방로

 

 

 

 

지리 07 - 01지점(421m)

 

 

지리산 동부능선

 

 

삼거리,

유평 삼거리에서 곧장 올라가는 길과 무릉도원을 경유하는 길이 만나는 곳이고

 

 

 

 

 

지리 07 - 02지점(515m)

 

 

 

 

지리 07 - 03지점(581m)

 

 

아치형 나무다리,

한판골로 흘러드는 지계곡을 가로지르는 다리로,

건너자마자 지리 07 - 04지점(688m)이고

 

 

 

 

 

한판골 최고의 폭포,

볼거리가 변변찮은 한판골에선 제일가는 눈요깃거리라고나?

 

 

 

 

 

한판골 상류부를 가로지르는 나무다리,

건너자마자 지리 07 - 05지점(807m)이며,

유평마을 2.0km · 대원사 3.5km · 천왕봉 8.2km · 치밭목대피소 4.2km를 가리키고

 

 

 

 

 

 

 

 

 

 

 

 

 

지리 07 - 06지점(967m),

이제 한판재가 멀지 않았는 걸.

 

치밭목능선으로 올라서는 한판재,

대원사 4.1km · 유평 2.6km · 치밭목대피소 3.6km · 천왕봉 7.6km를 가리키고

 

장당골 상류 앵골로 흘러드는 지계곡에도 물이 철철

 

 

지리 07 - 07지점(972m)

 

 

 

 

 

 

 

 

 

 

 

 

치밭목대피소 2.8km · 대원사 4.9km · 유평마을 3.4km를 가리키는데,

오늘은 가지 않을 거지만 지리산 천왕봉은 6.8km이며,

이제 전망대가 자리한 지리 07 - 08지점이 얼마 남지 않았고

 

지리 07 - 08지점(987m),

그냥 갈 수 없잖아,

참새가 방앗간을 지나칠 수 없듯이,

전망대로 올라가 눈요기와 더불어 입요기를 하고 가기로,

앵골에선 제일가는 멋진 전망대가 아니던가?

 

 

 

삼장면 대포리로 흘러내리는 치밭목능선과 앵골,

무제치기폭포에서 흘러내린 물줄기가 앵골과 장당골을 거쳐 삼장천,

덕천강으로 이어져 진양호에서 경호강과 만나 남강을 이루어 낙동강으로 흘러가고

 

앵골 최대의 폭포지대,

앵골에선 제일가는 볼거리라고나?

 

 

 

 

 

점으로 보이는 무제치기폭포,

그 오른쪽은 비둘기봉이고

 

무제치기폭포

 

 

비둘기봉

 

 

 

 

 

 

 

 

앵골로 흘러드는 지계곡

 

 

지리 07 - 09지점(1024m)

 

 

 

 

용수동 삼거리,

지리 08 - 07지점(1123m)이기도 한데,

유평마을과 새재마을에서 치밭목대피소로 올라가는 길이 만나고,

치밭목대피소에서 내려가면 유평마을과 새재마을로 길이 나뉘는 곳으로,

이따가 무제치기폭포를 둘러보고 새재마을을 거쳐 유평 삼거리로 갈 예정이요, 

새재 3.0km · 유평마을 4.4km · 대원사 5.9km · 대원주차장 8.0km · 치밭목대피소 1.8km를 가리키며,

한판재 1.8km · 천왕봉 5.8km이기도 하고

 

 

 

 

 

 

 

지리 07 - 10지점(1099m)

 

 

무재치기교(?),

무제치기폭포라 하니까 무제치기교가 맞는 게 아닐까?

무제치기교를 건너 얼마 안 가 앵골로 붙어 무제치기폭포로 올라가고

 

 

 

무제치기폭포,

40m 정도의 3단 수직형 암반을 타고 흘러내리는 폭포수가 포말을 날려서

<스스로 무지개를 치는 폭포>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는데,

칠선계곡 대륙폭포 및 불일협곡 불일폭포와 더불어 지리산의 3대 폭포로,

앵골 상류부에 자리하는 바람에 평상시엔 물줄기가 적은 게 흠이긴 하지만,

넓고 높은 통암반지대가 빚어내는 그 웅장함에 있어선 단연 으뜸이 아닐까? 

 

 

 

 

 

길게 이어지는 나무계단 이정표,

무제치기폭포와는 100m 남짓 되는 거리이며,

천왕봉 5.1km · 치밭목대피소 1.1km · 대원사 6.8km를 가리키고,

새재마을 3.7km · 유평마을 5.1km이기도 한데,

나무계단 위 무제치기폭포 상단 전망대와 현수샘만 갔다 오기로,

욕심을 부려 치밭목대피소까지 올라갔다 오자면 1시간은 걸리겠기에,

초저녁에 약속이 있는데 무리할 필요가 있을까?

 

 

 

 

 

무제치기폭포 상단 전망대

 

 

 

 

비둘기봉

 

 

 

 

치밭목능선과 동부능선 뒤로 보이는 황매산

 

 

치밭목대피소가 잘록이에 자리하고

 

 

무제치기폭포 물줄기가 흘러가는 앵골

 

 

무제치기폭포 위 앵골을 가로지르는 나무다리,

무제치기교와 치밭목대피소를 잇는 등산로가 지나며,

물맛 좋기로 소문난 현수샘이 자리 잡은 곳이기도 한데,

현수샘의 물맛을 보고선 돌아서기로 하고

 

 

 

현수샘

 

 

 

 

 

 

 

 

길게 이어지는 나무계단 이정표 아래,

폐헬기장과 바람골을 거쳐 장당골로 이어지는 갈림길이 있는데,

반달가슴곰 활동지역으로 위험하다면서 출입을 금지한다는 걸,

오늘은 누가 가라고 사정을 한들 가겠는가?

 

 

 

 

 

무제치기폭포 갈림길,

출입금지 경고문 바로 아래이고  

 

지리 07 - 11지점(1177m),

중산리 망바위과 같은 높이인가?

 

 

 

 

 

지리 07 - 10지점(1099m)

 

 

 

 

용수동 삼거리,

아까 유평마을에서 올라왔으니까,

이번엔 새재마을을 경유하여 유평마을로 내려가기로 하는데,

여기서 곧장 유평마을로 내려가면 4.4km지만,

새재마을을 경유하면 2.3km가 늘어난 6.7km라던가?

 

 

 

때론 수로 역할까지 하는 등산로

 

 

 

 

지리 08 - 06지점(1032m)

 

 

심밭골로 흘러가는 지계곡에 걸친 나무다리

 

 

지리 08 - 05지점(948m)

 

 

 

 

심밭골을 가로지르는 나무다리

 

 

 

 

 

 

 

 

 

 

지리 08 - 04지점(861m),

새재마을 1.5km · 용수동 삼거리 1.5km로 중간이라고나?

 

 

 

새재마을 1.2km · 치밭목대피소 3.6km · 천왕봉 7.6km를 가리키는데,

용수동 삼거리는 1.8km인 셈인가?

 

지리 08 - 03지점(825m)

 

 

고갯마루 공터 사거리,

비둘기봉 경유 치밭목대피소 갈림길이며,

고개를 넘어서자마자 나무받침계단이 이어지고

 

 

 

 

 

지리 08 - 02지점(772m)

 

 

조개골 출렁다리,

이제 새재마을이 바로 코앞이라고나?

 

 

 

 

 

 

 

 

 

새재마을,

지리 08 - 01지점(704m)이기도 한데,

천왕봉 8.8km · 치밭목대피소 4.8km · 대원주차장 7.2km를 가리키며,

그전엔 대원주차장 아닌 대원사 5.2km라는 게 있었는 걸, 

내가 내려가야 할 유평마을은 3.7km이고

 

동부능선 새재에서 흘러내리는 물줄기

 

 

새재마을주차장

 

 

동부능선과 달뜨기능선,

웅석봉이 살짝 드러나는 걸.

 

 

 

 

 

재해문자경보시스템

 

 

새재교

 

 

 

 

 

 

 

 

 

 

대원사계곡으로 흘러가는 작은엥골

 

 

대원사계곡으로 흘러가는 큰엥골,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출입을 금지한다는 경고문이 있고

 

 

 

대원사계곡,

지도상으론 조개골 상류까지도 덕천강으로 표기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새재마을까지는 대원사계곡이라 부르고,

새재마을 위쪽에서부턴 조개골이라 부르는 게 아닐까?

 

 

 

삼거리마을

 

 

 

 

대원사계곡을 건너면 외곡마을 및 동부능선 외고개와 왕등재습지로 이어지고

 

 

 

 

 

 

 

 

 

 

삼거리마을 0.46km · 새재마을 2.70km를 가리키고

 

 

 

 

 

 

 

 

 

 

 

 

지리산 유평리 표지석,

유평마을 주민 아닌 외부인으로선 내가 제법 몇 등째로 보는 게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