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권 산행기

지석골(지시골)로 오른 웅석봉

큰집사람 2019. 8. 1. 13:59

 

* 날    짜 : 2019년 7월 31일(수요일)

* 날    씨 : 구름 조금 또는 많음

* 산 행 지 : 지석골 - 1066m봉 - 웅석봉 - 1034m봉 - 큰등날봉 - 사방댐

* 산행시간 : 8시간 38분(운행시간 7시간 14분 + 휴식시간 1시간 24분)

* 산행속도 : 보통 걸음

* 산행인원 : 1명(나 홀로)

 

   

 

 

 

* 산행일정

10:35          공무원근로복지시설 및 산청공무원휴양시설

10:40          지석골 들머리

11:00          지석골 + 지심골 합수지점

11:40 - 11:50  휴식

12:27 - 12:32  통천문

13:10 - 13:18  휴식   

13:38 - 13:41  지석골 + 웅성이골 합수지점

14:33 - 14:52  휴식

15:55 - 16:07  웅석봉 등산로 접속(1066m봉)

16:14          밭등

16:24 - 16:41  웅석봉(산청 25, 1099.3m)

16:50          밭등 

17:31 - 17:35  1034m봉

17:48 - 17:51  큰등날봉(999m)

18:13 - 18:16  장군바위

18:17          1420m지점

18:27          1120m지점

18:36          840m지점

18:45          500m지점

18:55          사방댐 위 큰등날봉 등산로 입구

18:58          딱밭실골 사방댐

19:03          악대실골 들머리

19:13          공무원근로복지시설 및 산청공무원휴양시설

 

 

 

 

 

 

 

산청군 삼장면 홍계리에 위치한 공무원근로복지시설 및 산청공무원휴양시설주차장,

앞에서 볼 때 왼쪽은 공무원근로복지시설이요,

오른쪽은 산청공무원휴양시설이라고 하는데,

제1잠수교에서 딱밭실골로 내려서서 악대실골 아래 지석골로 스며들어,

왕재와 밭등을 잇는 웅석봉 등산로가 지나는 1066m봉으로 빠져나가,

웅석봉을 찍고 돌아서서 다시 만나는 밭등에서 달뜨기능선을 따라가다,

1034m봉을 거쳐 큰등날봉에서 큰등을 타고 사방댐으로 내려서기로,

장마가 그치자마자 푹푹 찌는 듯한 무더위가 이어지지만,

아무리 그래 봤자 산으로 가는 발걸음을 멈출 수야,

올여름만 아닌 여름은 옛날부터 더웠다니까,

집구석에 처박혀 있으면 짜증만 날 건 불을 보듯 뻔한데,

피할 수 없으면 즐겨라는 말이 있듯이,

그 더위마저도 즐길 줄 아는,

아니 당당히 맞서면서 정면승부를 펼치는 것도 좋을 듯,

그야말로 죽기 아니면 까무러치기가 될 수도 있겠지만,

미리 겁부터 집어먹을 필요까지야 있을까?

한더위와의 맞장,

과연 어떤 결과가 나올까?(10:35)

 

 

 

 

 

 

 

 

제1잠수교

 

 

지석골 들머리가 바로 코앞에 보이는데,

딱밭실골과 악대실골 및 지석골에서 흘러 내려오건만, 

생각했던 것보단 물이 많지 않은 듯,

장마가 끝난 지 얼마나 됐다고?

 

 

 

 

 

 

 

 

 

 

 

 

 

 

 

 

 

 

 

 

 

지석골이 딱밭실골로 흘러드는 합수지점,

왼쪽으로 틀어 지석골로 스며들어 가기로 하는데,

일부 산꾼들이 지시골이라 소개하고 있지만,

지형도상으론 엄연히 지석골로 되어 있으며,

지석골 우능과 악대실골 좌능 사이에서 지석골로 흘러드는 지심골,

지석골과 지심골이 엇비슷하다 보니 헷갈려서 지시골이라 하지 않았을까?(10:40)

 

 

 

 

 

 

 

 

 

딱밭실골,

제2잠수교가 살짝 보이고

 

지석골

 

 

 

 

 

 

 

 

 

 

 

 

 

 

 

 

 

 

 

 

 

 

 

 

 

 

 

 

 

 

 

 

 

 

 

 

 

 

 

 

 

 

 

 

 

 

 

 

 

 

 

 

 

 

 

 

 

 

 

 

 

 

 

 

 

 

 

 

 

 

 

 

 

 

 

 

 

 

 

 

 

 

 

 

 

 

 

 

 

 

 

 

 

 

 

 

 

 

 오른쪽에서 꽤 큰 계곡이 흘러드는데,

지형도상에 나오는 지심골이라던가?(11:00)

 

 

 

 

 

 

 

 

 

 

 

 

 

 

 

 

 

 

 

 

 

 

 

 

 

 

 

 

 

 

 

 

 

 

 

 

 

 

 

 

 

 

 

 

 

 

 

 

 

 

 

 

 

 

 

 

 

 

 

 

 

 

 

 

 

 

 

 

 

 

 

 

 

 

 

 

 

 

 

 

 

 

 

 

 

 

 

 

 

 

 

 

 

 

 

 

 

 

 

 

 

 

 

 

 

 

 

 

 

 

 

 

 

 

 

 

 

 

 

 

 

 

 

 

 

 

 

 

 

 

 

 

 

왜 쌓은 걸까?(11:24)

 

 

 

 

 

 

 

 

 

 

 

 

 

 

 

 

 

 

 

 

 

 

 

 

 

 

 

 

 

 

 

 

 

 

 

 

 

 

 

 

 

 

 

 

 

 

삶은 감자로 요기를 하면서 좀 쉬었다 가기로,

첨벙거리면서 계곡치기를 하니 더위는 덜하지만,

그 대신 체력 소모는 좀 더 되지 않을까?(11:40 - 11:50)

 

 

 

 

 

 

 

 

 

 

 

 

 

 

 

 

 

 

 

 

 

 

 

 

 

 

 

 

 

 

 

 

 

 

 

 

 

 

 

 

 

 

 

 

 

 

 

 

 

 

 

 

 

 

 

 

 

 

 

 

 

 

 

 

 

 

 

 

 

 

 

 

 

 

 

 

 

통천문,

왕시루봉 아래 나무골 통천문보단 좀 못한 편이지만,

이 정도만 해도 눈요깃거리론 충분하다고나?(12:27 - 12:32)

 

 

 

 

 

 

 

 

 

 

 

 

 

 

 

 

 

 

 

 

 

 

 

 

 

 

 

 

 

 

 

 

 

 

 

 

 

 

 

 

 

 

 

 

 

 

 

 

 

 

 

 

 

 

 

 

 

 

 

 

 

 

 

 

 

 

 

 

 

 

 

 

 

 

 

 

 

 

 

 

 

 

 

 

 

 

 

 

 

 

 

 

 

 

 

 

 

또 좀 쉬었다 가기로,

이번에도 삶은 감자로 입요기를 하면서,

아직도 배낭 속엔 인절미와 토마토가 들었기에 든든하다고나?(13:10 - 13:18)

 

 

 

 

 

 

 

 

 

 

 

 

 

 

 

 

 

 

 

 

 

 

 

 

 

 

 

 

 

 

 

 

 

 

 

 

 

지형도상 웅성이골과 지석골이 만나는 합수지점,

 너덜지대가 이어지는 듯한 좌골인 웅성이골은 마른 계곡이나 다름없지만,

 그나마 본류격인 우골인 지석골에는 조금이나마 물줄기가 비치는데,

상투봉 아래 호불능선 상단부로 이어지는 듯한 웅성이골이 아닌,  

보다 웅석봉에 가깝게 붙기 위해선 지석골을 골라잡을 수밖에는,

여태까지 순한 모습만 보여 주던 지석골이었건만,

우골로 들어서자마자 점점 더 거칠어지기 시작하는가 싶더니,

급기야 통암반지대가 이어지면서 골탕을 먹일 줄이야?(13:38 - 13:41)

 

웅성이골

 

 

지석골

 

 

 

 

 

 

 

 

 

 

 

 

 

 

 

 

 

 

 

 

 

 

 

 

 

 

 

 

 

 

 

 

 

 

 

 

 

 

 

 

 

 

 

 

 

 

 

 

 

 

 

 

 

 

 

 

 

 

 

 

 

 

 

 

 

 

 

 

 

 

 

 

 

 

 

 

 

 

 

 

 

 

 

 

 

 

 

 

 

 

인절미를 털어 먹으며 쉬었다 가기로,

끝없이 이어지는 통암반지대라 엄청 체력 소모가 심하지만,

아직도 배낭에는 토마토 2개가 들었는데 그 무슨 걱정,

어쨌거나 배가 고파서 허덕이지는 않을 듯,

 그나저나 언제쯤 지석골을 탈출할 수 있으려나?(14:33 - 14:52)

 

 

 

 

 

 

 

 

 

 

 

 

 

 

 

 

 

 

 

 

 

 

 

 

 

 

 

 

 

지석골에선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지리산 일대가 보이기도 하지만,

천왕봉과 중봉은 구름을 뒤집어쓰고 그 모습을 드러내지 않아 아쉬운 걸.

 

 

 

 

 

 

 

 

 

 

 

 

 

 

 

 

 

 

 

 

 

 

 

 

 

 

 

 

 

 

 

 

 

 

 

 

 

 

 

 

 

 

 

 

 

 

 

 

 

 

 

 

 

사그라드는 마지막까지 물줄기가 비치는 지석골,

여태까지 수많은 계곡을 다녔지만 이런 경우는 드물 듯,

요 위로도 골짝 같지도 않은 마른 골짝이 좌우로 잠깐 이어지긴 하지만,

어디로든 상관없을 것 같아 좌우 골짝 사이로 올라가고(15:35)

 

 

 

 

 

얼마 올라가지 않아 좌우의 마른 골짝이 사라지면서 흐릿한 길이 나오는데,

미역줄나무가 극성을 부리는 정면은 돌파가 어려울 것 같아 포기하고,

보다 웅석봉에 가깝게 붙기 위해서 오른쪽으로 나아가,

지석골과 악대실골 사이의 두루뭉술한 지능선에서 희미한 길을 만나,

요리조리 잡목을 피하면서 왕재와 밭등을 잇는 웅석봉 등산로로 올라가고 

 

1066m봉 바로 아래 웅석봉 등산로로 올라서자,

이럴 수가?

지난 4월 25일 악대실골에서 올라가 걸어 둔 표지기가 반기는데,

골짝이 다른데 어떻게 빠져나가는 데가 똑같을 수 있단 말인가?

참으로 불가사의한 일이 아닐 수가?

어쨌거나 토마토 2개를 마저 비우고 웅석봉으로,

생각했던 것보다 좀 더 많은 시간이 걸리긴 했지만,

어두워지기에 앞서 끝낼 수 있지 않을까?(15:55 - 16:07)

 

 

 

 

 

 

 

 

 

밭등 삼거리,

웅석봉을 찍고 다시 돌아와 달뜨기능선을 타고 가야 하는데,

홍계 9.5km · 다물평생교육원 8.1km · 웅석봉 0.4km · 밤머리재 4.9km를 가리키고(16:14)

 

웅석봉 헬기장,

곰골과 청계 갈림길이기도 하며,

웅석봉 0.3km · 밤머리재 5.0km · 내리 5.0km · 청계 8.1km · 우물 50m를 가리키고

 

 

 

 

 

웅석봉 삼거리,

내리 5.3km · 어천 2.5km · 청계 8.4km · 밤머리재 5.3km를 가리키고

 

 

 

 

 

웅석봉,

지난 7월 5일에 이어 26일 만이요,

올해 들어선 나완 열 번째 만남인 셈인가?

웅석봉은 1983년 12월 23일 산청군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지리산 천왕봉에서 흘러내린 산줄기가 중봉과 하봉으로 이어져,

쑥밭재 ~ 새봉 ~ 새재 ~ 외고개 ~ 왕등재 ~ 깃대봉 ~ 도토리봉을 거쳐,

국도 59호선이 지나는 밤머리재에서 경호강으로 스러지기에 앞서 우뚝 치솟은,

그 옛날 곰이 떨어져 죽었다는 전설을 간직한 봉우리라던가?

웅석봉으로 올라서는 것과 때를 같이하여 안개가 몰려드는데,

눈요기 좀 하고 가면 어디가 덧나는 걸까?

왜 이리 심술을 부리는지?(16:24 - 16:41, 1099.3m)

 

 

 

 

 

안개가 덮고 있는 천왕봉과 중봉을 비롯한 지리산 일대

 

 

 

 

 

 

???

 

 

도토리봉으로 이어지는 산줄기,

그 뒤엔 왕산과 필봉산이고

 

 

 

 

 

 

 

 

 

산청읍

 

 

황매산

 

 

 

 

 

 

 

 

 

 

 

 

 

 

 

 

 

 

 

 

 

 

 

 

 

 

 

 

 

 

다시 돌아온 밭등 삼거리,

달뜨기능선을 따라 1034m봉 그리고 큰등날봉으로,

홍계 9.5km · 다물평생교육원 8.1km · 웅석봉 0.4km · 밤머리재 4.9km를 가리키고(16:50)

 

 

 

 

 

 

 

 

 

천왕봉과 중봉을 비롯한 지리산 일대

 

 

 

 

 

 

달걀버섯

 

 

원추리

 

 

1034m봉 삼거리에서 1분 남짓 갔을까,

거의 다 외면하고 지나치는 1034m봉 정상부 올라서자,

답답하던 그전과는 달리 제법 훤해졌다는 걸 알 수 있지만,

<왔다가 그냥 갑니다> 정도는 아닐지라도,

아직도 안개가 극성을 부리는 바람에 별스레 보이는 것도 없는 걸,

이 또한 내 복이려니 생각하면서 만족할 수밖에(17:31 - 17:35)

 

달뜨기능선과 웅석봉 쪽이고

 

 

 

 

 

 

삼장면 홍계리 쪽이고

 

 

 

 

 

 

큰등날봉 경유 또는 우회하는 길로 나뉘는 삼거리,

웅석봉 1.1km라 되어 있던 건 엉터리로 2.6km 정도 된다는데,

마루금을 따라 큰등날봉으로 길이 나면서 우회로는 죽은 길이 되어 버렸으며,

일부 산꾼들은 이정표만 보고선 민족다물학교 갈림길이라 잘못 소개하기도,

민족다물학교는 다물평생교육원으로 명칭이 바뀌었는 걸로,

 큰등날봉 또한 40m 아닌 100m는 되지 않을까?(17:45)

 

 

 

 

 

큰등날봉,

산청군 삼장면 홍계리로 흘러내린 큰등으로 갈림길이 있는데, 

이제 달뜨기능선에서 벗어나 큰등을 타고 사방댐으로 내려서기로,

1034m봉에 앞서 왼쪽 무릎이 뜨끔하는가 싶더니,

통증이 가라앉지 않고 기어코 말썽을 부리는 모양이지만, 

어차피 내려가야만 하는 걸 어떡하랴?

삼장면 홍계 3.3km를 가리키고(17:48 - 17:51, 999m)

 

 

 

 

 

 

 

 

 

장군바위,

부근에선 엄청난 위용을 자랑한다고나?

제대로 나온 게 없어 자료사진으로 대신하고(18:13 - 18:16)

 

1420m지점,

딱밭실골 사방댐 들머리로부터 1420m란 뜻이며,

곧장 내려서던 등산로가 왼쪽으로 팍 꺾이면서 이어지고(18:17)

 

1120m지점(18:27)

 

 

840m지점(18:36)

 

 

500m지점,

올해 4월 25일엔 바닥에 떨어져 있었는데,

어느 고마운 분이 착한 짓(?)을 했는 걸.(18:45)

 

 

 

 

 

사방댐 위 큰등날봉 등산로 입구,

홍계리에서 올라가면 딱밭실골과 큰등날봉으로 나뉘는 곳으로,

세월이 흐르면서 큰등날봉 등산안내도도 많이 낡아 버렸는데,

애당초부터 큰등날봉 아닌 큰들날봉으로 잘못 되어 있었으며,

<여기서 큰등날봉까지 2040m>란 것도 사라지고 없는 걸.(18:55)

 

자료사진

 

 

 

이건 어디로 갔는지,

곰이 물고 갔을까?

 

 

 

 

 

 

 

 

 

딱밭실골 사방댐,

둑에서의 구경은 생략하고(18:58)

 

 

 

 

 

악대실골 들머리,

언젠간 또다시 갈 날이 있겠지?(19:03)

 

 

 

 

 

 

 

 

 

 

 

 

 

 

 

 

 

 

 

 

 

 

 

 

 

 

 

 

 

 

 

 

 

 

 

 

 

8시간 38분 만에 다시 돌아온 공무원근로복지시설 및 산청공무원휴양시설주차장,

악대실골 끄트머리를 가로지르는 이름 없는 다리와 잠수교 4개를 건넜으며,

이런저런 사정으로 생각보다 시간이 많이 걸렸지만,

그나마 아직은 어두워지진 않아 다행이라고나,

2019년도 7월의 마지막 날,

전국적으로 엄청스레 더운 날씨였지만,

웅석봉과 그 변방에서 그런대로 잘 보내지 않았을까?

알탕으로 산적(?)의 흔적을 말끔히 지워 내는데,

알탕이야말로 여름산행의 백미(白眉)가 아닐까?

차에 오른다.그리곤 떠난다.

진양호 노을빛이 참 고운 내 사는 진주로(1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