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날 짜 : 2018년 5월 11일(금요일)
* 날 씨 : 구름 조금
* 산 행 지 : 운리마을 - 덕산 원리교
* 산행거리 : 13.9km
* 산행시간 : 5시간 40분(운행시간 3시간 57분 + 휴식시간 1시간 43분)
* 산행속도 : 보통 걸음
* 산행인원 : 8명(박만길, 황의봉, 송문영, 정봉근, 이영근, 유달수, 이완희, 조광래)
* 산행일정
09:35 운리마을
09:43 원정마을
10:18 - 10:33 쉼터
10:52 백운고개
11:33 - 12:40 백운계곡
12:52 - 13:00 용무림재
13:24 마근담 삼거리
13:28 마근담쉼터
13:47 - 14:00 손장굴 갈림길
14:30 문수암 갈림길
14:57 사리마을주차장(버스정류소)
15:15 원리교
* 운리마을 – 0.5km - 원정마을 – 0.4km - 양뻔지민박 – 2.6km -
백운고개 – 2.2km - 백운계곡 – 0.5km - 용무림재 –1.3km -
마근담 삼거리 – 0.2km - 마근담 쉼터 - 3.1km - 문수암 갈림길 -
1.7km - 사리마을주차장 - 1.4km - 원리교(13.9km)
산청군 단성면 운리 운리마을,
단성면 방목리 어천마을과 청계리 진자마을을 잇는 지방도 1001호선이 지나며,
지리산 둘레길 제7구간이 끝나고 제8구간이 시작되는 곳이기도 한데,
제7차 지리산 둘레길부턴 무리하게 진행하지 않고 각 구간별로 이어가기로,
쉬엄쉬엄 가고 그래도 시간이 남으면 부근의 명소들을 찾아보기도 하면서,
오늘은 제8구간인 운리마을에서 산청군 시천면 덕산 원리교까지만,
성심 13.4km · 덕산 13.9km를 가리키고(09:35)
넘어갈 백운고개가 잘록하게 보이고
단성면 운리 원정마을,
운리 0.5km · 덕산 13.4km를 가리키고(09:43)
양뻔지민박,
운리 0.9km · 덕산 13.0km를 가리키고(09:50)
달뜨기능선이 병풍처럼 펼쳐지고
임도 삼거리,
운리 1.5km · 덕산 12.4km를 가리키고(09:58)
양봉을 하는 듯
쉼터,
석대산을 바라보며 좀 쉬면서 목을 축이고 가기로,
덕산까진 비교적 수월한 길이 이어지는데다 그다지 멀지도 아니한데,
별스레 서두르지 않아도 되지 않을는지?(10:18 - 10:33)
운리 - 덕산(덕산 - 운리),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운리에서
산청군 시천면 사리(덕산)를 잇는 13.1km의 지리산 둘레길.
솔숲과 참나무숲이 우거져 있으며 숲길과 계곡길,
임도를 번갈아가며 걸을 수 있는 구간이다.
고령토를 운반하던 운재로가 남아 있으며,
남명 조식 선생의 무덤에 이르는 길도 만난다.
마근담계곡 따라 덕산 초입이 옛날 장터였다.
남강 지리태극 산줄기가 지나는 석대산
지리산 둘레길을 걸으면서 자연보호도 함께
여태까지 함께하던 임도에서 벗어나 산길을 따라 백운고개로 올라가는데,
그전에 백운계곡 부근에서 채취한 고령토를 실어 나르던 임도로,
운리 3.4km · 덕산 10.5km를 가리키고(10:50)
백운고개 사거리,
잠깐이나마 진양호 지리태극 산줄기와 만나는 곳으로,
운리 3.5km · 덕산 10.4km를 가리키고(10:52)
1분 남짓 함께한 진양호 지리태극 산줄기와 헤어질 수밖에는,
가야 할 길이 다른데,
운리 3.6km · 덕산 10.3km를 가리키고(10:53)
참나무 군락지,
이곳 지리산 둘레길 8길 참나무 군락지는
지리산 둘레길 22길 중에서 가장 참나무가 많은 곳입니다.
예로부터 우리 민족은 '좋은 것'을 일컬어 '참'이란 단어를 붙이고,
'나쁜 것'을 일컬어 '개'라는 단어를 붙였습니다.
이곳 산청에서 먹을 수 있는 꽃인 진달래를 '참꽃'이라 부르고,
독이 있어 못 먹는 철쭉을 '개꽃'이라고 불렀습니다.
참나무의 학명인 '퀘르쿠스'(Quercus)도 라틴어로 '진짜', '참'이란 뜻이라고 합니다.
백운계곡,
맑은 물이 흐르는 백운계곡에서 점심을 먹고 가기로,
이미 어느 정도 때도 되었거니와 상추를 씻을 깨끗한 물도 있기에,
운리 5.7km · 덕산 8.2km를 가리키고(11:33 - 12:40)
백운계곡,
이곳 백운계곡은 지리산 중에서도
남명(南冥) 조식(曺植) 선생의 체취가 가장 많이 남아 있는 계곡입니다.
백운동에 놀며(遊白雲洞, 유백운동)
천하 영웅들이 부끄러워하는 바는(天下英雄所可羞, 천하영웅소가수)
일생의 공이 유땅에만 봉해진 것 때문(一生筋力在封留, 일생근력재봉유)
가없는 푸른 산에 봄바람이 부는데(靑山無限春風面, 청산무한춘풍면)
서쪽을 치고 동쪽을 쳐도 평정하지 못하네(西伐東征定未收, 서벌동정정미수)
라는 시를 읊은 현장이기도 합니다.
용무림재 오거리,
덕산 지리태극 산줄기 및 남명 등산로와 엇갈리는 곳으로,
운리 6.2km · 덕산 7.7km를 가리키고(12:52 - 13:00)
마근담 삼거리,
운리 7.5km · 덕산 6.4km를 가리키고(13:24)
마근담쉼터,
운리 7.7km · 덕산 6.2km를 가리키고(13:28)
손장굴 갈림길,
그전에 딱 한 번 찾아나섰다가 실패한 손장굴이기도,
바쁠 것도 없는데 좀 쉬었다 가기로 하고(13:47 - 14:00)
마근담교(14:04)
마근담1교(14:26)
보암사 갈림길(14:29)
문수암 갈림길,
운리 10.8km · 덕산 3.1km를 가리키고(14:30)
사리마을주차장(버스정류소),
운리 12.5km · 덕산 1.4km를 가리키고(14:57)
남명기념관 정문인 성성문(惺惺門),
성성(惺惺)의 뜻은 깨달음이라던가?
지리산 천왕봉과 중봉이 들어오고
진양호로 흘러드는 덕천강을 가로지르는 덕산 원리교,
산청군 시천면 사리와 원리를 잇는 옛 국도 20호선 남명로가 지나며,
제7차이자 제8구간 지리산 둘레길은 여기서 이제 그만,
제8차이자 제9구간 지리산 둘레길은 6월 13일(수요일) 있을 예정이요,
남명 조식 선생이 지었다는 덕산(德山)이란 지명,
"덕을 쌓을 수 있는 땅"이라는 뜻이라나?
운리 13.9km · 위태 9.7km를 가리키고(15:15)
'지리산 둘레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9차 지리산 둘레길(위태 - 하동호) (0) | 2018.07.14 |
---|---|
제8차 지리산 둘레길(덕산 - 위태) (0) | 2018.06.14 |
제6차 지리산 둘레길(내리교 - 운리) (0) | 2018.04.14 |
제5차 지리산 둘레길(방곡마을 - 내리교) (0) | 2018.03.10 |
지리산 둘레길과 연계한 마적도사 전설탐방로 (0) | 2018.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