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날 짜 : 2018년 1월 12일(금요일)
* 날 씨 : 구름 조금
* 산 행 지 : 장항마을 버스정류소 - 금계마을
* 산행거리 : 13.2km
* 산행시간 : 6시간 15분((운행시간 4시간 49분 + 휴식시간 1시간 26분)
* 산행속도 : 보통 걸음
* 산행인원 : 8명(황의봉, 송문영, 정봉근, 한윤갑, 이영근, 유달수, 이완희, 조광래)
* 산행일정
10:15 남원시 산내면 대정리 장항마을 버스정류소
10:43 매동마을 갈림길
10:57 서진암 갈림길
11:06 - 11:20 고목나무
11:30 지리산 길섶 갈림길
11:51 중황민박
12:01 호음교
12:07 배정교
12:08 산골짜장
12:13 - 13:07 점심
13:28 상황마을 갈림길
13:33 등구령쉼터
13:54 - 14:02 등구재
14:37 - 14:40 농산물판매장
15:09 창원마을
15:13 - 15:20 창원마을(윗당산)
16:30 함양군 마천면 의탄리 금계마을
등구재,
이곳 등구재는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창원리와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중황리에 걸쳐 있고,
옛날에는 함양에서 제안재와 오도재, 등구재를 넘어
남원의 산내와 운봉으로 왕래하였으며,
경상도와 전라도를 이어주는 길목이다.
금대암 2.9km·삼봉산 3.1km요,
인월 13.9km · 금계 6.6km를 가리키고(13:54 - 14:02)
거북등 타고 넘던 고갯길 등구재,
거북등을 닮아 이름 붙여진 등구재,
서쪽 지리산 만복대에 노을이 깔릴 때
동쪽 법화산 마루엔 달이 떠 올라
노을과 달빛이 어우러지는 고갯길이다.
경남 창원마을과 전북 상황마을의 경계가 되고
인월장 보러 가던 길,
새색시가 꽃가마 타고 넘던 길이다.
지금은 이곳을 찾는 이가 드물지만
되살아난 고갯길이 마을과 마을,
그리고 사람을 이어줄 것이다.
이제야 아이젠을 차느라 저 모양이고
자그마한 저수지(14:09)
쉿! 동물들의 오아시스,
논에 댈 물을 얻기 위해 만들었던 저수지가
야생동물이 물을 마시고 목욕도 하는 생명의 옹달샘이 되었다.
낮에는 새들도 많이 모여드니 천천히, 조심스럽게 지나가자.
오도재와 법화산 일대가 들어오고
함양군 농특산물 판매장,
인월 14.6km · 금계 5.9km를 가리키고(14:17)
가지 말란 지름길로 가는 게 빠르긴 하지만,
사유지 민원발생 지역으로 지정된 둘레길 노선을 이용해 주세요!
암만,
그래야 되고 말고,
어차피 걸으려고 왔는데
마침내 지리산 일대가 그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하고
천왕봉과 중봉을 비롯한 지리산 일대가 신비롭기조차 하고
가까인 금대산이 뾰족하고
낡아버린 농산물 판매장,
세월 앞에 장사가 어디 있다던가?(14:37 - 14:40)
발자국의 주인공은 무엇일까?
외딴집,
인월 15.6km·금계 4.9km를 가리키고(14:50)
지리산 운골농원,
지리산 천왕봉이 제일 잘 보이는 곳 운골농원
운골농원 입구,
인월 16.7km · 금계 3.8km를 가리키고(15:07)
함양군 마천면 창원리 창원마을,
조선시대에 마천면 내의 각종 세(稅)로 거둔 물품들을 보관한
창고가 있었다는 유래에서 ‘창말(창고마을)’이었다가
이웃 원정마을과 합쳐져 창원마을이 되었으며,
인월 16.8km · 금계 3.7km를 가리키고(15:09)
김해김씨 경파 재실,
인월 16.9km · 금계 3.6km를 가리키고(15:11)
창원마을(윗당산),
흔적을 남기면서 쉬었다 가기로,
별스레 바쁠 것도 없으니 서돌 것도 없기에,
인월 17.0km · 금계 3.5km를 가리키고(15:13 - 15:20)
인월 - 금계 창원마을(윗당산),
전라북도 남원시 인월면과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금계마을을 잇는 19km의 지리산 둘레길,
이 구간은 지리산 둘레길 시범구간으로 지리산 북부지역인 남원시 산내면 상황마을과
함양군 마천면 창원마을을 잇는 옛 고갯길인 등구재를 중심으로 지리산 주능선이 넓게 펼쳐지고,
다랭이논과 산촌마을을 지나 엄천강으로 이어지는 길이다.
사진 찍기 좋은 곳
삼봉산이 수줍은 듯 꼭대기를 드러내고
창원마을 (윗당산) 바로 아래 갈림길,
사유지 민원발생 지역으로 지정된 둘레길 노선을 이용해 주세요!
가지 말란 등구재 쪽이고
창원생태체험마을 준공 표지판(15:23)
함양군 마천면 창원리 하늘길 쉼터,
인월 17.7km · 금계 2.8km를 가리키고(15:34)
지리산 일대가 그림처럼 펼쳐지고
오도재가 잘도 보이고
금대산과 백운산이 내려다보고
삼거리 갈림길,
인월 19.6km · 금계 0.9km를 가리키고(16:11)
인월 20.0km · 금계 0.5km를 가리키고(16:21)
세심정(洗心亭)
마천초등학교 의탄분교 자리에 들어선 지리산 둘레길 함양안내센터,
그 뒤엔 금대산이 우뚝 솟았고
지리산 자락길,
이곳은 지리산 자락길의 시작과 끝점이다.
지리산 자락길은 행정안전부 친환경 생활공간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총사업비 5억원(국비 및 지방비 각각 2억5천만 원)을 투입하여
조성한 친환경 도보길로서 2012년 3월 개통되었다.
이 길은 함양군 마천면 의탄리 지리산 둘레길 함양센터를 출발하여
금계, 가흥, 도마, 군자, 외마, 내마, 실덕, 도촌, 강청, 가채,
의평마을을 연결하여 출발지로 돌아오는 19.7km의 순환형 도보길이다.
2012년 7월 24일 행정안전부가 2011년 전국의 ‘우리 마을 녹색길’ 80여 곳 중
지리산 자락길을 ‘우리 마을 녹색길 베스트10’으로 선정했다.
또한 지리산 제1봉인 천왕봉을 바라보며 걷는 매력적인 길,
지리산의 문화와 자연, 사람의 정이 영그는 문화의 길로서 CNN이 선정한
한국 방문 시 꼭 가 봐야 할 TOP 50으로 선정된 바 있는 경관이 아름다운 길이다.
지리산 둘레길 이용수칙,
지리산 둘레길은 자기성찰과 공정여행, 책임여행의 걷는 문화를 만들어 갑니다.
* 약속 하나
스스로 준비하고 책임지는 여행을 합니다.
* 약속 둘
지리산 둘레길 안내센터와 홈페이지를 통해 길의 상태, 기상조건 등 안전사항을 확인합니다.
* 약속 셋
폭우, 폭설, 폭염 및 야간(동절기 오후 5시, 하절기 오후 6시 이후)에는
안전을 위해 걷지 않습니다.
* 약속 넷
뭇 생명과 마을 주민, 서로에게 감사하는 마음으로 길을 걷습니다.
* 약속 다섯
함께 가꾸어 가는 지리산 둘레길
- 농작물 보호
- 쓰레기 되가져 가기
- 길 위의 특이사항, 문제점 신고하기
의탄교
노듸목(金鷄),
경남 함양군 마천면 의탄리이다.
냇물을 건너다니는 징검다리 노듸의 목이라는 뜻에서 노듸목이라 했다.
고려시대 의탄소가 있었던 지역으로 추성리 칠선계곡 입구에 있다.
가락국의 구형왕(양왕)이 추성리 국골에 은거하면서 이곳에서 참나무 숯을 구웠다고 하며,
인근 산청군 금서면 화계리 왕산에 양왕의 능 돌무덤이 있다.
정감록에 나오는 금대산 밑에 금계동이고
이곳이 지리산 피난민이 하나 둘 모여서 이룬 마을이다.
서쪽에는 감투바위 동쪽에는 둥둥바위
북쪽에는 맹맹이바위 물방울골 새벌들 흥골 등이 있으며,
1520년에 벽송사를 창건한 벽송대사(송지엄)가 법계정심대사 곁을 떠나다가
되돌아와서 도를 받은 살바탕(벽송정)도 있다.
6.25 직후 공비소탕 시 추성, 의탄리 주민 200여호가 이 마을로 소개되기도 했다.
금계마을,
국가지원지방도 60호선 천왕봉로가 지나는 곳으로,
인월과 금계를 잇는 지리산 둘레길 제3구간이 끝나고,
금계와 동강을 잇는 제4구간이 시작되는 곳이기도 한데,
제4차 지리산 둘레길은 2월 10일(토요일)에 있을 예정이며,
인월 20.5km · 동강 11.0km를 가리키고(16:30)
'지리산 둘레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리산 둘레길과 연계한 마적도사 전설탐방로 (0) | 2018.02.23 |
---|---|
제4차 지리산 둘레길(금계마을 - 방곡마을) (0) | 2018.02.10 |
제3차 지리산 둘레길 - 1(장항마을버스정류소 - 등구재) (0) | 2018.01.13 |
제2차 지리산 둘레길(운봉읍 - 장항마을버스정류소) (0) | 2017.12.16 |
제1차 지리산 둘레길(주천안내센터 - 운봉읍) (0) | 2017.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