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날 짜 : 2017년 12월 8일(금요일)
* 날 씨 : 맑음
* 산 행 지 : 동촌마을 - 사방댐 - 큰등날봉 - 1005m봉 - 마근담봉 - 사방댐 - 동촌마을
* 산행시간 : 5시간 25분(운행시간 4시간 42분 + 휴식시간 43분)
* 산행속도 : 보통 걸음
* 산행인원 : 1명(나 홀로)
* 산행일정
10:15 산청군 삼장면 홍계리 동촌마을
10:45 - 10:55 딱바실계곡 사방댐
11:46 장군바위
12:15 - 12:20 큰등날봉(999m)
12:32 - 12:52 1005m봉
13:06 991m봉 - 951m봉 안부
13:28 마근담봉 - 딱바실계곡 갈림길(안테나)
13:31 마근담봉(926m)
13:45 제1전망대
13:49 제2전망대
13:55 마근담봉 - 딱바실계곡 갈림길 안부
14:20 딱바실계곡 삼거리
15:00 - 15:08 딱바실계곡 사방댐
15:40 동촌마을
달뜨기능선과 밤머리재 아래 자리 잡은 산청군 삼장면 홍계리 동촌마을,
덕산과 밤머리재를 잇는 국도 59호선이 지나는 곳이기도 한데,
지리태극 산꾼들의 체취가 묻어 있는 달뜨기능선으로 올라,
그 뜨거운 열기와 진한 감동을 느껴보고 오기로,
차디찬 바람이 휘몰아치는 날,
누구랑도 아닌 나 홀로(10:15)
서촌교에서 바라본 도토리봉과 밤머리재
호불사 입구
큰등날봉이 달뜨기능선의 가운데 보이고
구름이 덮어버린 천왕봉과 중봉,
동왕등재가 살짝 드러나 반갑고
공무원 근로복지시설 및 산청공무원휴양시설주차장,
웅석봉 등산로 종합안내도가 서 있고
공무원 근로복지시설(좌)과 산청공무원휴양시설(우)
밑에서 본 사방댐
사방댐,
눈요기를 아니 하고 그냥 갈 수야?(10:45 - 10:55)
1005m봉 전망대가 보이고
사방댐에서 큰등날봉으로,
이따가 딱바실계곡으로 해서 이리로 돌아올 거고
쭉 이어지는 가파른 등산로,
때론 가랑잎이 무릎까지 올라오기도 하면서 골탕을 먹이는데,
손은 시리지만 머리와 등짝에선 서서히 김이 나는 듯,
500m지점이란 델 지나고(11:07)
가다 보니 840m지점이란 데도 뒤로하고(11:19)
잘 가노라 닫지 말며,
못 가노라 쉬지 마라.
어느새 1120m지점이란 델 지나고(11:32)
달뜨기능선에서 흘러내린 지능선이 둘로 나뉘는 1420m지점,
지금처럼 올라갈 땐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큰등날봉에서 내려갈 땐 헷갈리기 쉬운 곳이기도,
나지막한 바위지대인 여기서 왼쪽으로 꺾어야 하는데,
무심코 가다 보면 곧장 바위지대를 넘어서서 내려서는 걸,
둘 다 딱바실계곡 사방댐에서 사그라지는 산줄기이긴 하지만(11:45)
장군바위(11:46)
달뜨기능선으로 올라선 큰등날봉,
진양호 지리태극을 하던 지난 11월 1일 이른 아침에 지나간 곳이기도 한데,
그때완 달리 매서운 칼바람이 휘몰아치긴 하지만,
그때의 열기가 아직도 채 가시지 않은 채 남아 있는 듯,
사람이란 추억을 먹고 사는 동물이라던가?(12:15 - 12:20, 999m)
나무 사이로 천왕봉과 중봉을 비롯한 지리산 일대가 드러나고
달뜨기능선에선 최고로 멋진 소나무와 전망대가 자리 잡은 1005m봉,
웅석봉에서 뻗어내린 산줄기가 달뜨기능선을 타면서 고도를 낮추다,
마지막으로 1000m대로 치솟은 봉우리이기도 한데,
큰등날봉보다도 훨씬 더 매서운 칼바람이 휘몰아치긴 하지만,
눈요기와 더불어 입요기를 하면서 한동안 머물 수밖에는,
달뜨기능선에서 천왕봉과 중봉을 보려고 나섰으니,
오늘 산행의 모티브(motive)이자 하이라이트(highlight)가 아니던가?(12:32 - 12:52, 1005m)
한우산 - 자굴산 - 집현산 - 광제산으로 이어지는 진양기맥 산줄기,
눈 아랜 청계저수지가 들어오고
웅석봉으로 이어지는 달뜨기능선
도토리봉과 밤머리재 뒤엔 왕산과 필봉산이 이어받고
새봉 - 서왕등재 - 동왕등재 - 도토리봉 - 밤머리재를 잇는 동부능선 산줄기
서왕등재 - 동왕등재 - 도토리봉 - 밤머리재를 잇는 동부능선 산줄기
새봉 - 서왕등재 - 동왕등재 - 도토리봉을 잇는 동부능선 산줄기
천왕봉과 중봉을 비롯한 지리산 일대가 잘도 보이고
991m봉을 에돌아 내려선 991m봉 - 951m봉 안부,
금성교와 덕산교에서 나선 진양호와 덕산 지리태극이 만나 달뜨기능선을 따라 웅석봉으로,
또는 웅석봉에서 달뜨기능선을 타고 온 지리태극 산줄기가 금성교와 덕산교로 나뉘는 곳이기도,
삼장면 홍계 5.9km·다물평생교육원 4.5km·웅석봉 4.0km를 가리키고(13:06)
백운계곡 - 딱바실계곡(험로) 갈림길 사거리,
삼장면 홍계 4.8km·웅석봉 5.1km를 가리키고(13:14)
마근담봉 - 딱바실계곡 갈림길,
무슨 용도인지 알 수 없는 안테나가 높이 솟아 있고(13:28)
중요한 갈림길 노릇을 하는 마근담봉,
마근담봉에서 용무림산 - 벌목봉 - 수양산 - 시무산 - 덕산교를 잇는 지리태극 산줄기와,
또는 마근담봉에서 남명 등산로를 따라 감투봉 - 이방산 - 깃대봉 - 덕산교를 잇는,
마근담계곡을 가운데 두고 덕산교를 축으로 한 원점산행을 할 수도 있는데,
별스런 볼거리나 보이는 것도 없는 그저 그렇고 그런 봉우리가 아닐는지?
용무림산이 아닌 감투봉 쪽으로 내려가고(13:31, 926m)
제1전망대,
천왕봉과 중봉을 비롯한 지리산 일대가 잘도 보이고(13:45)
새봉과 동왕들재를 잇는 동부능선이 살짝 보이고
제2전망대,
천왕봉과 중봉을 비롯한 지리산 일대는 말할 것도 없고,
동부능선과 밤머리재 및 삼장면 홍계리도 들어오고(13:49)
딱바실계곡 사방댐이 내려다보이고
감투봉 - 딱바실계곡 갈림길 안부,
감투봉으로 이어지는 남명 등산로에서 벗어나 딱바실계곡으로(13:55)
비스듬히 지능선으로 나아가는가 싶더니,
기울기가 장난 아닌 내리막길이 이어지다 산죽지대를 지나기도
딱바실계곡 삼거리,
안테나 부근으로 이어지는 길과 만나는 곳이고(14:20)
내려선 안부로 이어지고
안테나 부근으로 이어지고
지계곡과 딱바실계곡 합수지점,
딱바실계곡으로 지계곡이 흘러들고(14:36)
지계곡이 흘러드는 딱바실계곡 본류
딱바실계곡 사방댐
사방댐에서 큰등날봉으로 올라갔던 곳을 지나고(14:58)
사방댐,
아깐 역광이라 제대로 담지 못해 다시 한 번 둑으로 들어가고(15:00 - 15:06)
1005m볼 전망대를 좀 더 가까이로
확 당겨본 천왕봉과 중봉
5시간 25분 만에 다시 돌아온 동촌마을,
오늘따라 매섭게 휘몰아치는 칼바람을 길동무 삼아 함께한 셈인데,
11월 1일 지나간 진양호 지리태극의 열기가 채 가시지 않은 달뜨기능선,
그 진한 감동과 환희를 다시 한 번 맛볼 수 있었다고나 할까,
차에 오른다.
그리곤 떠난다.
진양호 노을빛이 참 고운 내 사는 진주로(15:40)
'지리산권 산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솔암에서 오르내린 구곡산 (0) | 2017.12.25 |
---|---|
지리태극의 추억이 서린 덕두봉 (0) | 2017.12.18 |
연하천에서의 1박 2일(제2부, 2017.12.3) (0) | 2017.12.04 |
연하천에서의 1박 2일(제1부, 2017.12.2) (0) | 2017.12.04 |
어느새 한겨울로 들어선 지리산 천왕봉 (0) | 2017.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