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과 풍경

의령군 유곡면 세간리 세간마을 곽재우장군문화공원과 생가 그리고 현고수(2019.11.12. 화요일)

큰집사람 2019. 11. 14. 20:53




















































곽재우 의병장 생가(郭再祐 義兵將 生家)

곽재우 의병장은 본관은 현풍(玄風)이고

자(字)는 계수(季綏), 호(號)는 망우당(忘憂堂), 시호(諡號)는 충익(忠翼)이다.

조선 명종 7년(1552년) 음력 8월 28일 이곳 의령현 세간리에서

아버지 곽월(郭越)과 어머니 진주 강씨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세간마을은 그의 어머니의 친정으로

부친이 결혼과 함께 당시의 혼인풍속에 따라 본가가 있는

현풍현 솔례촌을 떠나와 살면서 태어나고 자라게 되었다.


선조 25(1592) 413(음력) 토요토미 히데요시(풍신수길, 豊臣秀吉)의

대륙침략 야욕으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전쟁발발 9일 만인 422일에

이곳 세간마을에서 전국 최초로 의병을 일으켰다.

가동(家僮) 10여 명에서 출발한 그의 의병부대는

첫 전투인 5월 4일의 기강전투와 5월 하순의 정암진대첩(鼎巖津大捷)

승리 이후로 군세가 급격하게 늘어나 2,000여 명에 달하였다.

그는 백마를 타고 항상 붉은 옷(홍의, 紅衣)을 입고

선봉에서 전장(戰場)을 누볐으므로

천강홍의장군(天降紅衣將軍)이라고도 불리었다.


정유재란 때는 밀양  · 영산  · 창녕  · 현풍 등

네 고을의 군사를 이끌고 화왕산성을 지켜 적의 접근을 막았다.

유곡찰방(幽谷察訪)과 성주목사(星州牧使),

경상우도방어사(慶尙右道防禦使), 경상좌도병사(慶尙左道兵使),

한성부좌윤(漢城府左尹), 삼도통제사(三道統制使) 등

29회에 걸쳐 관직이 제수되었으나,

대부분 사직하거나 부임하지 않았다.


1617년 4월 10일 강사(江舍)에서 66세의 일기로 서거하였다.

활달한 필체에 글씨 시문에 능하였으며 문집으로 <망우당집>이 있다.

이곳 생가는 조선 중기 남부지방 일반 사대부의 전형적인 가옥구조로

안채와 사랑채, 별당, 큰 곳간채, 작은 곳간채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05년에 복원정비되었다.





































































의령 세간리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오래된 나무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에서 유교와 불교가 전해질 때

같이 들어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의령 세간리 은행나무는 나이가 60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 24.5m, 둘레 10.1m 정도이다 

마을 어귀에 위치하고 있는 느티나무(현고수)와 함께

마을을 지켜주는 신성한 나무로 믿어지고 있다.

 

특히 남쪽가지에서 자란 두 개의 짧은 가지(돌기)

여인의 젖꼭지 같이 생겼다고 해서 젖이 나오지 않는 산모들이

찾아와 정성들여 빌면 효험이 있다는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다.

 

오랜 세월 동안 마을 주민들의 보살핌을 받으며 살아온 나무로

민속학적 · 문화적 · 생물학적 자료로서의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 · 보호하고 있다.


























의령 세간리 현고수(느티나무)

세간마을 앞에 있는 현고수(懸鼓樹)는 느티나무로

나이는 600여 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는 15m, 둘레는 7m 정도이다. 

현고수는 북을 매단 나무라는 뜻으로 임진왜란(1592) 때   

곽재우 장군이 이 느티나무에 큰 북을 매달아 놓고 치면서   

전국 최초로 의병을 모아 훈련시켰다는 것에서 유래되었다  

곽재우 장군은 임진왜란이 발발한 지 9일 만인 422일에   

이곳 현고수 아래에서 북을 매달고 의병을 일으켰으며  

이것이 전국 의병봉기의 효시가 되었다  

곽재우 의병부대는 낙동강과 남강을 거점으로 활약하였으며  

경상우도를 안전하게 지켜 왜적의 전라도 진격을 저지하였다  

현고수는 임진왜란 의병의 발상지라는 역사적 의미가 담겨 있는 나무로,

    그 가치가 매우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자료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