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 산행기

남진하는 백두대간(제31구간 빼재에서 삿갓재 그리고 황점까지)

큰집사람 2018. 2. 26. 10:51

* 날      짜 : 2018년 2월 25일(일요일)

* 날      씨 : 흐리고 구름 많음  

행   : 빼재 - 빼봉 - 갈미봉 - 지봉 - 대봉 - 귀봉 - 백암봉 - 동엽령 - 무룡산 - 삿갓재 - 황점

* 산행거리 : 23.62km(대간거리 19.42km + 접근거리 4.2km)

           * 빼재 – 1.10km – 빼봉 - 1.66km – 갈미봉 – 1.20km – 대봉 – 1.11km - 달음령 - 1.20km

                   - 지봉 - 0.51km - 싸리덤재 - 1.15km - 횡령재 - 0.69km - 귀봉 - 2.40km - 백암봉

                   - 2.20km - 동엽령 - 2.00km - 가림봉 - 2.10km - 무룡산 - 2.10km - 삿갓재 = 19.42km

                  * 삿갓재 - 4.2km - 황점 = 4.2km  

                    * 누적 대간거리 : 620.42km, 누적 접근거리 : 43.4km

* 산행시간 : 8시간 30분(운행시간 7시간 21분 + 휴식시간 1시간 09분)

* 산행속도 : 약간 빠른 걸음

* 산행인원 : 30명(진주비경마운틴클럽 회원들과)





* 산행일정

08:45          빼재(930m)

09:12          빼봉(△ 무풍 438, 1039.3m) 

09:49 - 09:52  갈미봉(1210.5m)

10:13 - 10:19  대봉(1263m)  

10:36 - 10:39  월음령(1079m)

11:15 - 11:20  지봉(못봉, 1342.7m)

11:28          싸리덤재(1227m)

11:48          횡경재(1273m)

12:04          귀봉(1390m)

12:50 - 13:11  점심

13:13 - 13:17  백암봉(1503m)

13:25 - 13:28  동엽령(1270m)

14:32 - 14:36  가림봉(1408m)  

15:17 - 15:22  무룡산(△ 무주 27, 1492.1m)

15:58 - 16:13  삿갓재대피소(1280m)

17:15          황점마을(600m)





















빼재,

거창군 고제면 개명리와 무주군 무풍면 삼거리를 잇는 국도 37호선 빼재로가 지나며,

수령(秀嶺) 또는 신풍령(新風嶺)이라 부르기도 했다고,


제31구간은 빼재에서 빼봉 - 갈미봉 - 대봉 - 못봉 - 귀봉 - 백암봉 - 무룡산을 거쳐,

삿갓재대피소에서 거창군 북상면 월성리 황점마을로 내려선다는데,

맹위를 떨치던 동장군의 기세는 한풀 꺾인 느낌이요,

잔뜩 찌푸린 하늘에선 금세라도 눈발이 흩날릴 것도 같지만,

때론 햇살이 드러나기도 하는 변화무쌍한 날씨가 이어질 듯,

 이제 얼마 남지 않은 백두대간 종주,

몸보다 앞서는 마음은 이미 천왕봉에 가 있는지도,

오늘따라 몸이 가벼운 느낌은 어쩌면 당연하지 않을는지?(08:45, 930m)


빼재,

빼재(930m)는 덕유산 갈미봉(1210m)과 삼봉산(1254m) 사이에 있는 곳으로,

경상남도 함양군 또는 거창군과 무주구천동을 연결하는 고갯길이다.

신풍령과 수령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렀으나 모두 잘못된 표기이다.

삼국시대부터 전략적 요충지였던 곳으로

전쟁으로 인해 수많은 사람의 뼈를 묻어야 했으며,

임진왜란 때 이곳의 토착민들이 산짐승들을 잡아먹으며 싸움에 임해

많은 뼈가 묻힌 곳이라 하여 빼재라 한다.


1870년대 천주교의 탄압이 심해졌을 때

많은 천주교 신부와 신자들이 이곳 빼재를 은신처로 삼고 활동하였다고 한다.

현재 빼재에서 거창군 방면으로 100m만 이동하면

과거 신풍령휴게소를 복원하여 백대대간 생태교육장으로 설치하였다. 





이곳은 빼재로 덕유산 산줄기와 삼봉산을 잇는 백두대간 상의 고개 이름으로,

삼국시대부터 각 국의 접경지역이었기에 전략적 요충지로서

수많은 민관군이 이곳에 뼈를 묻어야만 했고,

임진왜란 시 이곳의 토착민들은 산짐승들을 잡아 먹어가며 싸움에 임했고,

그 산짐승들의 뼈가 이곳저곳 널리게 됐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전해진다.


뼈재가 경상도 방언으로 빼재가 되었다는 설과 이를 한자지명으로

지도에 표기할 때 빼어날 수(秀)자를 써서 수령(秀嶺)이 되었다고도 한다.

고갯마루 정상 밑에 신풍령이라는 이름의 휴게소가 들어서게 되면서

고개 이름은 빼재라는 이름과 신풍령이라는 이름이 동시에 회자되기에 이르렀다.

동남쪽의 가야산, 남쪽의 시루봉과 호음산, 남서쪽의 금원산, 기백산 일대

산군의 장쾌한 능선은 보는 이의 가슴을 탁 틔우게 하며

멀리로는 지리산 연봉의 웅장한 모습도 조망된다


호음산(해발 930m) 자락에는 주민들이 고랭지 채소밭을 일구고 있으며

빼재는 해발 1000미터 가까이 되는 고지대라서,

가을이 되면 단풍과 낙엽을 동시에 감상할 수 있어 또 다른 매력을 느끼게 해준다

 



















도근점(圖根點),

도근점은 지형을 측정하기 위한 기준점이 부족할 때 보조로 설치하는 기준점이라 하고


덕유 07 - 01지점,

신풍령 0.6km · 횡경재 7.2km를 가리키고(08:59, 951m)





삼각점(무풍 438)이 자리 잡은 빼봉,

신풍령 1.0km · 횡경재삼거리 6.8km · 송계삼거리 11.0km를 가리키고(09:12, 1039.3m)





빼봉은 덕유 07 - 02지점이기도,

신풍령 1.1km · 횡경재 6.7km를 가리키는데,

이정표와는 신풍령과 횡경재가 전체거리는 맞지만 각각 0.1km씩 차이가 나며,

일반적으로 1039m라 하는 높이가 1008m로 되어 있어 혼란스러운 걸?





헬기장(09:20)









덕유 07 - 04지점,

신풍령 2.2km · 횡경재 5.6km를 가리키고(09:31, 1025m)





덕유 07 - 05지점,

신풍령 2.7km · 횡경재 5.1km를 가리키고(09:47, 1172m)





갈미봉,

거창군에서 설치한 자그마한 정상석이 초라해 보이기도,

신풍령 2.6km · 횡경재삼거리 5.2km · 송계삼거리 8.4km를 가리키고(09:49 - 09:52, 1210.5m)











갈미봉에서 2분 남짓 갔을까,

조망이 열리는 그럴싸한 암봉이 나타나는데,

갈미봉보다도 멋지고 조금 더 높은 듯?(09:54)


바로 앞엔 대봉이 우뚝하고



대봉 - 월음령 - 못봉으로 이어지는 산줄기



덕유 07 - 06지점,

신풍령 3.2km · 횡경재 4.6km를 가리키고(09:58, 1145m)


대봉이 보이는가 하면



못봉도 보이고



덕유 07 - 07지점,

신풍령 3.7km · 횡경재 4.1km를 가리키고(10:10, 1210m)


대봉,

가야 할 산줄기가 한눈에 들어오는 멋진 전망대로,

신풍령 3.6km · 횡경재삼거리 4.2km · 송계삼거리 7.4km를 가리키는데,

이정표와 다목적 위치표지판은 거리 차이가 꽤 나는 걸?(10:13 - 10:19, 1263m)









































덕유 07 - 08지점,

신풍령 4.1km · 횡경재 3.7km를 가리키고(10:23, 1176m)








월음령,

대봉과 못봉 사이에 자리 잡은 고개로,

무주구천동 덕유산휴게소(신대교)와 송계사 갈림길이기도,

신풍령 4.7km · 횡경재삼거리 3.1km · 송계삼거리 6.3km를 가리키며,

월음령은 덕유 07 - 09지점이기도 한데,

신풍령 4.9km · 횡경재 2.9km를 가리키고(10:36 - 10:39, 1079m)























덕유 07 - 10지점,

신풍령 5.4km · 횡경재 2.4km를 가리키고(10:55, 1205m)




































덕유 07 - 11지점,

신풍령 5.9km · 횡경재 1.9km를 가리키고(11:10, 1278m)


못봉이라 부르기도 하는 지봉(池峰),

옛날에 흰구름이 오락가락하는 사이에 피는 연꽃이 있는 연못이 있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신풍령 6.1km · 횡경재삼거리 1.7km · 송계삼거리 4.5km를 가리키고(11:15 - 11:20, 1342.7m)








백암봉으로 이어지는 산줄기






중봉과 향적봉









지나온 산줄기









지봉과 가까이서 마주보는 봉우리,

정상은 헬기장이 차지하고 있고(11:22)














덕유 07 - 13지점인 싸리덤재,

무주구천동(오수자굴, 백련사)과 송계사 갈림길이기도 하며,

신풍령 6.6km · 횡경재 1.2km를 가리키고(11:28, 1227m)









덕유 07 - 13지점 다목적 위치표시판,

신풍령 6.6km · 횡경재 1.2km를 가리키는데,

이정표와 다목적 위치표시판의 거리가 처음으로 똑같은 걸


싸리덤재 뒤엔 지봉이 보이고






덕유 07 - 14지점,

신풍령 7.2km · 횡경재 0.6km를 가리키고(11:37, 1230m)


덕유 07 - 15지점인 횡경재,

남덕유분소(송계사) 갈림길이기도 한데,

신풍령 7.8km · 백암봉 3.2km · 송계사 3.0km를 가리키며,

덕유 07 - 15지점에선 신풍령 7.8km · 백암봉 3.2km라 하고(11:48, 1273m)









덕유 04 - 07지점,

백암봉 3.0km · 횡경재 0.2km를 가리키고(11:52, 1311m)





덕유 04 - 08지점,

백암봉 2.5km · 횡경재 0.7km를 가리키고(12:01, 1339m)


귀봉,

모습이 기괴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일종의 귀신봉이라는데,

남덕유분소(송계사) 4.2 ㎞ · 향적봉(대피소) 4.3㎞ · 송계삼거리 2.3㎞를 가리키고(12:04, 1390m)


덕유 04 - 09지점,

백암봉 2.2km · 횡경재 1.0km를 가리키고(12:09, 1308m)





덕유 04 - 10지점,

백암봉 1.5km · 횡경재 1.7km를 가리키고(12:24, 1406m)


무룡산이 우뚝하고













남덕유분소(송계사) 5.1km · 향적봉(대피소) 3.4km · 송계삼거리 1.4km를 가리키고(12:28)



덕유 04 - 11지점,

백암봉 1.1km · 횡경재 2.1km를 가리키고(12:31, 1358m)








덕유 04 - 12지점,

백암봉 0.7km · 횡경재 2.5km를 가리키고(12:39, 1395m)











가야 할 덕유 주릉



지나온 산줄기









백암봉 바로 아래 안부,

백암봉으로 올라서기에 앞서 점심을 먹고 가기로,

이미 때가 살짝 지났는지라 배가 고프기도 하거니와,

앞서간 일행들도 먹고 있지 아니한가?(12:50 - 13:11) 


송계삼거리라고도 부르는 백암봉,

지난 2월 3일 육구종주(육십령 - 구천동)를 하면서 지나갔으니,

1달도 채 못 되는 22일 만에 다시 만난 셈인가?

향적봉 2.1km · 송계사 6.2km · 횡경재 3.2km · 삿갓재대피소 8.4km ·

동엽령 2.2km를 가리키고(13:13 - 13:17, 1503m)






낮게 보이는 향적봉과 중봉



빼재로 이어지는 지나온 산줄기



백암봉은 덕유 01 - 19지점이기도 한데,

중봉 1.0km · 동엽령 2.2km를 가리키고(1503m)





















덕유 01 - 20지점,

동엽령 1.8km · 백암봉 0.4km를 가리키고(13:25, 1388m)





덕유 01 - 21지점,

동엽령 1.4km · 백암봉 0.8km를 가리키고(13:30, 1342m)











덕유 01 - 22지점,

동엽령 0.9km · 백암봉 1.3km를 가리키며,

이정표는 남덕유산 11.5km · 동엽령 1.0km · 향적봉대피소 3.3km라 하고(13:40, 1308m)  


덕유 01 - 23지점,

동엽령 0.5km · 백암봉 1.7km를 가리키고(13:46, 1290m)


동엽령(冬葉嶺),

무주군 안성면 공정리와 거창군 북상면 병곡리 갈림길이며,

남덕유산 10.5km · 삿갓재대피소 6.2km · 향적봉 4.3km ·

안성탐방지뤈센터 4.2km를 가리키고(13:25 - 13:28, 1270m) 

 




동엽령은 덕유 01 - 24지점이기도 한데,

무룡산 4.1km · 백암봉 2.2km를 가리키고(1270m)











지나온 산줄기



덕유 01 - 25지점,

무룡산 3.6km · 동엽령 0.5km를 가리키고(14:03, 1325m)





덕유 01 - 26지점,

삿갓재대피소 5.2km · 무룡산 3.1km · 동엽령 1.0km 를 가리키고(14:12, 1274m)





덕유 01 - 27지점,

남덕유산 9.1km · 향적봉대피소 5.7km · 무룡산 2.6km · 동엽령 1.5km를 가리키고(14:22, 1274m)


덕유 01 - 28지점인 가림봉,

    삿갓재대피소 4.2km · 무룡산 2.1km · 동엽령 2.0km를 가리키고(14:32 - 14:36, 1408m)   








남덕유산과 서봉으로 이어지는 산줄기,

그 앞엔 삿갓봉과 무룡산이 뾰족하고








금원산과 월봉산으로 이어지는 진양기맥 산줄기






향적봉으로 이어지는 산줄기












덕유 01 - 29지점,

무룡산 1.7km · 동엽령 2.4km를 가리키고(14:42, 1393m)








덕유 01 - 30지점,

무룡산 1.2km · 동엽령 2.9km를 가리키고(14:53, 1385m)


긴급재난 비상용 이동전화 중계기



덕유 01 - 31지점,

무룡산 0.7km · 동엽령 3.4km를 가리키고(15:00, 1388m)





덕유 01 - 32지점,

무룡산 0.3km · 동엽령 3.8km를 가리키고(15:07, 1429m)








덕유 01 - 33지점인 무룡산(舞龍山),

용이 춤추는 모습이라 하여 붙은 이름이라던가?

남덕유산 6.4km · 삿갓재대피소 2.1km · 향적봉 8.4km를 가리키고(15:17 - 15:22, 1492.1m)



































덕유 01 - 34지점,

삿갓재대피소 1.9km · 무룡산 0.2km를 가리키고(15:25, 1445m)











덕유 01 - 35지점,

삿갓재대피소 1.7km · 무룡산 0.4km를 가리키고(15:28, 1423m)











덕유 01 - 36지점,

삿갓재대피소 1.3km · 무룡산 0.8km를 가리키고(15:35, 1334m)


덕유 01 - 36지점 이정표,

향적봉(대피소) 9.1km · 삿갓재(대피소) 1.4km를 가리키고


덕유 01 - 37지점,

삿갓재대피소 0.7km · 무룡산 1.4km를 가리키고(15:45, 1247m)


내려가야 할 황점마을이 보이는가 하면,

금원산과 남령을 잇는 진양기맥 산줄기가 펼쳐지고


돌아본 무룡산


















삿갓재대피소,

제31구간 백두대간 산줄기는 여기서 이제 그만,

육십령으로 이어지는 건 제32구간으로 돌리고 삿갓골로 해서 황점으로 내려가기로,

일행의 배낭 속에 들어 있는 소주와 맥주를 모두 털어 나눠 마시고선, 

향적봉 10.5km · 남덕유산 4.3km · 황점 4.2km · 참샘 0.06km를 가리키고(15:58 - 16:13, 1280m)  











삿갓샘



황강 발원지(삿갓샘),

이곳 삿갓샘은 황강의 발원지이다.

덕유산에서 발원하여 첫 마을 황점에서 시작해 천하절경 월성계곡을 지나

국가명승 거창 수승대에서 근심걱정을 씻어 담고,

거창읍 중심을 거쳐 합천호에 머물다가 낙동강에 합류한다.

특히 황강은 서출동류(西出東流)로 동고서저형(東高西低型)의 한반도

지형에서는 보기 드문 물줄기로 알려져 있다.

생명의 원천인 물의 소중함을 되새기며,

이 맑고 깨끗한 황강의 발원지 덕유산 샘물이

낙동강까지 깨끗하게 갈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합시다. 


덕유 06 - 06지점,

삿갓재대피소 0.4km · 황점 4.2km를 가리키고(16:24, 1085m)


삿갓재대피소 0.5km · 황점 3.7km를 가리키고(16:26)






덕유 06 - 05지점,

삿갓재대피소 1.0km · 황점 3.2km를 가리키고(16:32, 963m)











덕유 06 - 04지점,

삿갓재대피소 1.9km · 황점 2.3km를 가리키고(16:41, 865m)




















덕유 06 - 03지점,

삿갓재대피소 2.5km · 황점 1.7km를 가리키고(16:49, 786m)





























덕유 06 - 02지점,

삿갓재대피소 3.0km · 황점 1.2km를 가리키고(16:59, 703m)














덕유 06 - 01지점,

삿갓재대피소 3.6km · 황점 0.6km를 가리키는데,

이제부턴 콘크리트 포장도로를 따라 황점으로 내려가고(17:06, 638m)





































삼천정(三川亭)



거창군 북상면 월성리 황점마을,

함양군 서상면 상남리를 잇는 국가지원지방도 37호선 덕유월성로가 지나고,

덕유 주릉의 삿갓재와 월성재로 나뉘는 갈림길이기도 한데,

삿갓골로 오가는 삿갓재는 4.2km요,

바람골로 오가는 월성재는 3.8km라고 하며,


제32구간은 삿갓재로 올라 삿갓봉 - 월성재 - 남덕유산 - 서봉 - 삼자봉 - 할미봉을 거쳐,

장수군 장계면 명덕리와 함양군 서상면 상남리를 잇는

국도 26호선 육십령로가 지나는 육십령(734m)으로 내려선다는데,

지리산 천왕봉까지 쭉,

백두대간이 끝나는 그날까지!!!(17:15, 60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