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날 짜 : 2016년 8월 14일(일요일)
* 날 씨 : 구름 조금 또는 많음
* 산 행 지 : 거림 - 아랫용소 - 와룡폭포 - 연하봉골 - 연하봉능선 - 청래골 - 내대교
* 산행시간 : 8시간 06분(운행시간 6시간 06분 + 휴식시간 2시간 00분)
* 산행속도 : 보통 걸음
* 산행인원 : 16명(진주비경마운틴클럽 회원들과)
촛대봉골과 연하봉골이 만나 하나가 되어 도장골을 이루는,
합수지점 바로 아래 너럭바위에서 점심을 먹고 가기로,
연하봉골로 더 올라가 봤자 마땅한 장소가 있는 것도 아니고,
새벽녘에 이른 아침을 먹고 나섰으니,
이미 때가 되지도 않았을까?(11:11 - 12:13)
촛대봉골과 연하봉골이 만나는 합수지점,
연하봉골이 촛대봉골보다 물이 좀 더 많은 편이고
이따 올라갈 연하봉골
촛대봉골은 물이 흐르는 둥 마는 둥이고
이제 그만 놀고 갑시다.
실컷 먹고 마시면서 배도 채웠으니
촛대봉골과 연하봉골 합수지점에서 연하봉골로
비스듬한 큰 바위를 타기도 하면서(12:22)
마지막으로 물맞이나 하고 가세.
이제 더 이상 연하봉골로 오르지 않고,
오른쪽으로 틀어 째면서 곡점능선으로 붙을 거니까.(13:25 - 13:35)
지리산양
물 만난 온새미
징검다리라던가?
11년 만에 함께하는 이두희,
2005년 4구간으로 나눠 지리태극 종주를 하고선 처음이고
선함 또한 빠질 수야?
도장골은 이제 그만
연리지라고나?(13:47)
곡점능선 마루금을 산짝 오른쪽으로 돌아가는 뚜렷한 길로 올라서자,
수풀 사이로 얼핏 보이는 마루금엔 듬성듬성 바위가 박혔을 뿐,
별다른 지형지물이나 특징이 있는 것도 아니라 어딘지도 알 수 없는데,
산행대장이 마루금에도 길이 있으니 올라오라는 게 아닌가?
내가 봐선 올라선 뚜렷한 길이 청래골로 이어질 것 같았지만,
산행대장이 오라는데 어쩔 수 없이 가는 수밖에는,
나 또한 100% 확신이 서는 것도 아닌데(13:50)
곡점능선 마루금으로 난 길을 따르자,
마루금 또는 그 왼쪽으로 살짝살짝 돌아가질 않은가?
청내골이라고도 부르는 청래골은 분명히 오른쪽인데도
묵은 헬기장(14:04)
산행대장이 뭔가 잘못됐다는 걸 뒤늦게나마 깨달았는지,
여기서 그만 있는 둥 마는 둥한 희미한 길로 째고 내려가자나?
가고자 한 청래골 갈림길은 이미 지난 지 오래된 것으로 보이고,
곡점능선을 따라 좀 더 가도 또 청래골 갈림길이 있을 것도 같지만,
100% 확신이 서지 않는데야 따를 수밖에는,
고이 모셔둔 명석막걸리를 나눠 마시고선,
지리산 그 어딘들 못 가는 데가 있던가?(14:13 - 14:23)
고로쇠 호스를 만나자 그런대로 갈 만은 하고
청래골의 물줄기가 시작되는 듯?
엄청 큰 너럭바위가 보이기도 하고(14;50)
산죽지대가 나오기도
좀 쉬었다 가자.
별스레 바쁠 것도 없는데(14:53 - 14:58)
아까 곡점능선에서 놓친 청래골 갈림길을 만나는데,
이제부턴 꽤 뚜렷한 길이 이어지고(15:01)
청래골 상류부를 건너고(15:07)
고로쇠 집수통인 듯
너럭바위에서 쉬면서 더위를 식히지만,
물이 적어도 너무 적어 아쉬울 뿐이고(15:17 - 15:23)
청래골과 멀지 않은 지계곡 바로 위 삼거리,
곡점능선을 좀 더 따랐더라도 이리로 오게 되는 걸,
그다지 시간이 빠듯한 것도 아니었는데(15:53)
청래골로 흘러드는 지계곡을 건너고
선은암,
눈으로 보기만 하고선 그냥 지나치고(15:57)
너럭바위,
뒤에 오는 일행을 기다리기로,
바로 아랜 펜션이 자리 잡았고(16:03 - 16:11)
선은암 0.5km를 가리키는 안내판,
청래골 입산통제구역이기도 하고(16:15)
마침내 앞이 열리면서,
고운재와 묵계치를 잇는 낙남정맥 산줄기가 들어오는데,
삼신봉터널로 이어지는 지방도 1047호선이 살짝 보이기도
돌아본 청래골과 곡점능선
천문암 기도터(16:25)
천문암
지방도 1047호선이 지나는 내대교에서 마침표를 찍으니,
내대교는 청래골이 내대천으로 흘러들어가는 곳이 아니던가?
생각보다도 훨씬 더 일찍 산행이 끝난 셈인데,
내대천에서 알탕을 하면서 한참 동안 노닥거리다,
버스에 오른다.
그리곤 떠난다.
진양호 노을빛이 참 고운 내 사는 진주로(16:35)
'지리산권 산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개골로 치밭목대피소 올라 무제치기폭포 거쳐 대원사로(2) (0) | 2016.08.25 |
---|---|
조개골로 치밭목대피소 올라 무제치기폭포 거쳐 대원사로(1) (0) | 2016.08.25 |
거림에서 도장골로 곡점능선 올라 청래골과 내대교로(1) (0) | 2016.08.14 |
백무동에서 큰새골로 칠선봉 올라 영신봉 거쳐 바른재능선으로 제자리로(2) (0) | 2016.08.13 |
백무동에서 큰새골로 칠선봉 올라 영신봉 거쳐 바른재능선으로 제자리로(1) (0) | 2016.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