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권 산행기

통영시 미륵도 종주(2)

큰집사람 2016. 4. 4. 04:54

* 날    짜 : 2016년 4월 2일(토요일)

* 날    씨 : 구름 많음

* 산 행 지 : 마동마을 - 희망봉 - 미륵산 - 구망산 - 범왕산 - 장군봉 - 증자봉 - 모실재   

* 산행시간 : 10시간 07분(운행시간 6시간 46분 + 휴식시간 3시간 21분)

* 산행속도 : 보통 걸음

* 산행인원 : 14명(앵경, 한그루의나무, 산골아줌메, 바람소리, 신난다, 가을남자, 쉬블링,

                  큰골, 구름, 검정고무신, 광풍, 덕영, 정천, 선함)

 

 

 

 

 

 

 

 

 

봉수대를 지나자마자 미륵산 정상으로 올라서는데,

따뜻한 봄날이자 토요일을 맞아 어찌나 많은 사람들로 붐비는지,

 사람 없는 정상석만 담는다는 건 거의 불가능하기에,   

그나마 좀은 적은 틈을 이용하여 요렇게라도 담을 수밖에는,

나로선 꽤나 오랜만에 찾은 셈이건만,

통영 시내가 골고루 쏙 들어오는 멋진 전망대이며,

미륵치 0.9km·산양읍사무소 3.2km·미륵불전망대 1.3km·

미래사 1.1km를 가리키고(12:13 - 12:20)

 

 

 

 

 

 

 

 

 

 

 

 

 

 

 

 

 

 

 

 

 

 

 

 

 

 

 

 

 

 

 

 

 

 

 

 

 

바람소리랑 산골아줌메

 

 

 

 

 

 

 

 

 

 

 

 

 

 

 

 

 

 

 

 

미륵산 정상부의 산불감시초소

 

 

 

 

 

 

 

 

 

 

 

 

 

 

 

 

 

 

 

 

 

 

119 통영 2 - 4지점,

철계단 아래라 하고(12:26)

 

 

 

 

 

 

 

얼레지

 

 

119 통영 2 - 1지점(봉평사길)인 미륵치 사거리,

간식을 먹고 마시고 즐기는 가운데 시간은 흘러가는데,

미륵산 0.9km·달아전망대 7.2km·산양읍사무소 2.3km·

미래사 1.6km를 가리키고(12:37 - 12:47) 

 

 

 

 

 

 

 

 

 

 

 

 

 

 

 

 

 

 

 

 

 

 

 

 

 

 

 

 

 

 

 

KBS통영TV방송중계소가 자리 잡은 341m봉,

더러는 현금산이라고도 부르는 모양이며,

부근의 전망대에서 미륵산 작은망(334m)과 큰망을 돌아보고(13:02)

 

미륵산 작은망(정토봉) 뒤로 보이는 큰망(미륵봉)

 

 

 

 

 

 

 

 

무인산불감시카메라가 설치된 봉우리,

그전에 군부대 초소가 있었던 곳이라나?

천지봉으로 된 지도도 있다고(13:04)

 

 

 

 

현금산고개 삼거리,

미륵산 1.6km ·케이블카승강장 1.9km ·산양읍사무소 2.5km·

세포고개 1.6km를 가리키고(13:09)

 

 

 

 

구망산 정상부에서 바로 코앞에 보이는 범왕산,

산양읍사무소로 내려가자면 지나갈 곳이고(13:20 - 13:23) 

 

작은망과 미륵산 정상이 한눈에 들어오고

 

 

 

 

 

범왕산 정상부 전망대에서 눈요기를,

진달래와 어우러진 모습이 아름답기만 하고(13:33 - 13:40)

 

미륵산이 보이고

 

 

 

 

 

 

 

 

 

 

 

 

 

 

 

 

 

 

 

 

 

 

 

 

 

 

 

 

 

 

 

 

 

 

 

 

 

 

 

 

 

산양읍사무소가 자리 잡은 남평리 죽전마을로 내려서고(13:59)

 

 

 

 

 

 

 

 

산양읍사무소(14:01)

 

 

 

 

 

 

 

 

범왕산이 보이고

 

 

산양중학교(14:06)

 

 

산양초등학교로 들어가 소나무 아래 쉼터에서,

지사모의 1인자인 신난다의 사모님과 아들 신도영이 준비한,

도다리쑥국과 멸치회 등으로 푸짐하고도 맛깔난 점심을,

아까부터 속이 좀 거북살스러운 가운데서도(14:09 - 15:07) 

 

 

 

 

 

 

 

 

 

 

 

 

 

 

 

 

 

 

 

 

 

 

실컷 배를 채우고선 장군봉으로

 

 

돌아본 미륵산

 

 

지방도 1021호선으로 가면서 바라본 당포산성 팔각정

 

 

산양일주로인 지방도 1021호선이 지나는 원항마을 고갯마루에서 장군봉으로,

수산과학관 5.8km·클럽ES통영리조트 5.8km·달아공원 4.6km를 가리키는데,

중요민속자료 제9호 삼덕리마을제당이라는 표지석과 함께 돌벅수가 서 있고(15:18) 

 

 

 

 

 

 

 

 

 

 

 

 

 

 

 

 

 

 

 

돼지바위 지름길 삼거리,

돼지바위가 아닌 장군봉으로 올라가고(15:27)

 

 

 

 

장군봉으로 오르는 바위지대에서 바라본 삼덕항(당포항)

 

 

 

 

 

미륵산과 희망봉

 

 

삼덕리마을제당인 장군봉 장군당,

탁연 장군과 최영 장군을 모신 곳이라고(15:36 - 15:39)

 

 

 

 

탁연 장군과 최영 장군

 

 

 

 

 

 

 

 

장군봉에서 되돌아서지 않고,

밧줄을 매단 바위지대로 내려서고

 

 

 

 

 

 

 

오비도가 보이고

 

 

돼지바위 오름길

 

 

 

 

 

 

 

 

미나리꽝 뒤로 미륵산이 들어오고

 

 

필봉이라고도 부르는 돼지바위에 얹힌 흔들바위?

실제로 흔들릴 것 같진 않아 보이지만(15:50 - 15:53) 

 

 

 

 

 

 

 

가야 할 산줄기가 펼쳐지고

 

 

가까이로 당겨본 증자봉

 

 

범왕산과 구망산 및 작은망과 미륵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

 

 

미나리꽝 뒤로 미륵산과 희망봉이 한눈에 들어오고

 

 

돼지바위 정상부 암릉지대를 에돌아 내려가고

 

 

 

 

 

 

 

 

 

 

 

 

 

 

지나온 구망산과 범왕산이 한눈에 보이고

 

 

중앙선 없는 1차선 포장도로로 내려서서,

건너편 산줄기가 아닌 도로를 따라 오른쪽으로 내려가고(16:00)

 

 

 

 

 

 

 

 

 

 

마치 뱀이 기어가는 듯?

 

 

가까이 다가서는 구망산과 범왕산

 

 

1차선 포장도로를 따라 궁항고개에서 지방도 1021호선인 풍화일주로에 합류하여,

왼쪽의 풍화리 궁항마을이 아닌 구망산과 범왕산이 보이는 쪽으로,

20m 남짓 내려간 무덤지대에서 다시 산으로 붙고(16:05 - 16:13)

 

 

 

 

 

 

 

 

 

 

 

 

 

풍화일주 등산로 입구에서 15분쯤 지났을까,

조망이 열리는 바위 봉우리로 올라서고(16:28 - 16:31)

 

 

 

 

통영지맥의 끝자락인 천함산이 보이고

 

 

구망산과 범왕봉 사이로 미륵산이 고갤 내밀고

 

 

 

 

 

 

 

 

 

 

바위손 바위지대를 지나자마자 삼각점(충무 311)이 자리 잡은 태기산인데,

 너럭바위로 된 정상부에서 목을 축이면서 원기를 돋우고(16:53 - 16:57)

 

불이 난 흔적이 남은 봉우리에서,

바로 이어지는 보다 뚜렷한 길이 아닌 오른쪽으로 팍 꺾고(17:09)

 

 

 

 

증자봉 1km를 가리키고(17:11)

 

 

증자봉 300m를 가리키고(17:17)

 

 

증자봉 오름길 바위지대에서 바라본 오비도

 

 

증자봉 증자바위,

시루바위 또는 흔들바위라고도 부른다고

 

증자봉에서 바라본 오비도

 

 

회자봉이라고도 부르는 증자봉 정상부(17:25)

 

 

증자봉에서 바라본 모실재와 명지고개로 이어지는 산줄기

 

 

 

 

 

 

 

 

 

 

 

 

 

 

 

 

 

 

 

 

모상마을과 산양초등학교 풍화분교장이 내려다보이는,

2차선 도로인 모상길이 지나는 모실재로 내려서면서 걸음을 멈추는데,

아직도 가야 할 산줄기가 조금 더 남았긴 하지만,

끝까지 가자면 뒤에 처진 일행들은 어둠과 싸워야 하는데,

아무런 준비도 없는 야간산행은 아무래도 무리가 아닐는지?

  그래서 이쯤에서 그만 만족하기로,

좀은 아쉽고 안타까운 마음이 없는 건 아닐지라도(1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