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날 짜 : 2016년 4월 2일(토요일)
* 날 씨 : 구름 많음
* 산 행 지 : 마동마을 - 희망봉 - 미륵산 - 구망산 - 범왕산 - 장군봉 - 증자봉 - 모실재
* 산행시간 : 10시간 07분(운행시간 6시간 46분 + 휴식시간 3시간 21분)
* 산행속도 : 보통 걸음
* 산행인원 : 14명(앵경, 한그루의나무, 산골아줌메, 바람소리, 신난다, 가을남자, 쉬블링,
큰골, 구름, 검정고무신, 광풍, 덕영, 정천, 선함)
* 산행일정
07:35 통영시 산양읍 미남리 마동마을 들머리
07:48 65m봉 삼거리
07:52 물개마을 버스정류소(마동마을 충혼탑)
08:11 마동고개 삼거리
08:24 - 08:28 돌담 무덤 봉우리
08:34 - 08:42 코끼리바위
08:44 - 08:56 코끼리바위 맞은편 묵은 삼각점 봉우리
09:05 세바지고개(110m)
09:16 달아전망대 갈림길
09:31 - 09:34 중화마을 보이는 전망데크
09:51 - 10:00 반쯤 쌓은 돌탑 전망데크 봉우리
10:06 - 10:09 희망봉(230m)
10:32 - 10:38 박경리기념관
10:43 - 11:30 박경리공원
11:55 - 11:58 약수터
11:59 119 통영시 2 - 7지점 안부 사거리(약수터 입구)
12:04 119 통영시 2 - 8지점 사거리(약수터 가는 길)
12:13 - 12:20 미륵산(461m)
12:26 119 통영 2 - 4지점(철계단 아래)
12:37 - 12:47 미륵치 사거리(270m)
13:02 341m봉(KBS통영TV방송중계소)
13:04 무인산불감시카메라 봉우리(현금산? 338.7m)
13:09 현금산고개 삼거리
13:20 - 13:23 구망산(318.8m)
13:33 - 13:40 범왕산(303.1m)
14:01 산양읍사무소
14:06 산양중학교
14:09 - 15:07 산양초등학교
15:18 원항마을 고갯마루(돌벅수)
15:27 돼지바위 지름길 삼거리
15:36 - 15:39 장군봉(167m)
15:50 - 15:53 돼지바위(필봉)
16:05 - 16:13 풍화일주등산로 입구(풍화일주로 삼거리)
16:28 - 16:31 전망바위 봉우리
16:53 - 16:57 태기산(충무 311)
17:25 증자봉(회자봉)
17:42 모실재
통영시 산양읍 미남리 마동회관,
통영 지사모(통사모) 회원들의 안내로 2 - 3분 거리인 미륵도 종주 들머리로
척포방파제엔 낚시꾼들의 모습이 보이고
10명의 지사모 회원들이 인증샷을 남기고 출발(07:35)
개복숭아꽃이 활짝 폈네
3분 남짓 지났을까,
개가 울부짖는 군부대 앞에서 왼쪽으로 꺾고
마동마을이 보이고
첫 봉우리인 65m봉 3거리에서 왼쪽으로 팍 꺾어 내려서자,
1분 정도 뒤 만나는 이건 도대체 뭘까?(07:48)
물개마을 입구의 마동마을 충혼탑
충혼탑 앞 물개마을 버스정류소에서 2차선 도로인 척포길을 건너,
대나무숲과 잡목과 덤불이 우거진 곳으로 올라가는데,
이정표는 물개쉼터 0.2km·달아항 2.2km를 가리키고(07:52)
지방도 1021호선인 산양일주도로가 지나는 마동고개 삼거리로 내려서서,
마동마을 표지판이 서 있는 건너편 산줄기로 붙고(08:11)
(08:20)
돌을 둘러친 무덤이 있는 봉우리로 올라서서,
통사모의 앵경이랑 함께 꽤 많은 고사리를 꺾느라 머무르고(08:24 - 08:28)
코끼리바위에 앞선 전망대에서,
달아마을과 그 앞바다를 담고(08:32)
코끼리바위 위쪽엔 통사모의 쉬블링이 보이고
코끼리바위 상단부
굴바위라고도 부르는 큼지막한 코끼리바위,
미륵산과 더불어 미륵도 종주의 대표적인 볼거리가 아닐는지,
이 어찌 눈요기를 아니 하고 갈 수 있으랴?(08:34 - 08:42)
산골아줌메
코끼리바위(자료사진)
코끼리바위 맞은편의 묵은 삼각점 봉우리,
코끼리바위를 바라보면서 술과 간식으로 목을 축이고(08:44 - 08:56)
바로 코앞에 보이는 코끼리바위
구름, 신난다, 앵경, 한그루의나무, 검정고무신,
광풍, 산골아줌메, 덕영, 선함, 쉬블링
달아마을
ES리조트
전망대가 자리 잡은 망산(254.9m)이 들어오고
가야 할 산줄기
편백나무숲을 지나 세바지고개로 내려가고
지방도 1021호선이 지나는 세바지고개로 내려서자,
희망봉 3.1km·봉전마을 2.5km·달아마을 0.9km를 가리키고(09:05)
달아전망대 갈림길,
달아전망대 1.0km·봉전마을 3.5km·산양읍사무소 3.7km를 가리키고((09:16)
연명마을이 보이는 전망대 바로 위 봉우리에서,
저 멀리 미륵산이 그 모습을 드러내고(09:19)
연명마을이 보이는 전망대,
달아전망대 1.4km·봉전마을 3.3km·산양읍사무소 3.5km를 가리키고((09:19)
전망대에서 바라본 연명마을
산골아줌메
한그루의나무
철망이 쳐진 임도 옆 안부 이정표,
산양읍사무소 3.2km·달아전망대 1.7km를 가리키고((09:23)
봉우리 바로 아래 중화마을이 보이는 전망데크,
달아전망대 2.1km·봉전마을 4.0km·산양읍사무소 2.8km를 가리키고((09:31 - 09:34)
별 희한한 표지기도,
수놈 빨치산이라는 걸까?
전망데크에서 내려다본 중화마을
쉼터가 마련되어 있는 대나무숲 이정표,
산양읍사무소 2.4km·달아전망대 2.5km를 가리키고((09:40)
반쯤만 쌓은 돌탑이 자리 잡은 전망데크 봉우리,
이제 희망봉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하며,
내가 짊어지고 간 명석 막걸리로 목을 축이고,
이곳저곳 돌아가며 눈요기도 좀 하는데,
산양읍사무소 1.8km·달아전망대 3.1km를 가리키고(09:51 - 10:00)
가야 할 장군봉과 돼지바위가 우뚝하고
눈 아랜 중화마을이고
숲속의 나무평상 둘이 쉼터 노릇을 하긴 하나,
희망은커녕 아무런 볼거리나 보이는 것도 없는 희망봉,
쓰잘머리 없는 주변의 잡목들을 좀 정리했으면 좋으련만,
산양읍사무소 1.2km·달아전망대 3.7km·봉전마을 5.6km를 가리키고(10:06 - 10:09)
한동안 나무받침계단이 이어지다
나무받침계단이 끝나자 얼마 안 가 갈림길인데,
산양읍사무소 쪽으로 바로 이어지는 보다 뚜렷한 길이 아닌,
좀은 희미한 오른쪽으로 틀어 박경리기념관으로,
자칫하면 놓치기 쉬운 곳이고(10:13)
구멍바위라고나 할까?(10:14)
꽤 뚜렷한 사거리에서 바로 나아가고((10:16)
지사모 표지기를 붙잡고 폼을 잡는 광풍과 쉬블링
회전교차로 사거리에서도 바로 나아가고(10:18)
양쪽으로 꽤 높게 돌담을 쌓은 무덤을 지나자마자,
바위 봉우리에서 바로 이어지는 보다 뚜렷한 게 아닌,
희미한 길을 따라 오른쪽으로 틀어 박경리기념관으로(10:26)
2분 남짓 포장임도를 따라 박경리기념관으로
박경리기념관에서 큰골, 바람소리, 정천, 가을남자가 합류하여,
10명에서14명으로 일행이 늘어나게 되고(10:32 - 10:38)
미륵산이 보이는 박경리공원에 이르러,
통사모에서 준비한 싱싱한 해산물을 안주로 하여,
푸짐하고 넉넉한 간식시간을 가지면서 한동안 머물다,
박경리 선생의 묘소를 둘러보고선 미륵산으로 떠나고(10:43 - 11:30)
미륵산이 어서 오라 하고
이젠 미륵산으로
돌아본 박경리공원
미륵산이 보이는 임도 사거리에서 산길로,
박경리기념관 1.1km·박경리묘소 0.5km를 가리키고(11:36)
약수터를 어찌 그냥 갈 수 있으랴?
참새가 방앗간을 지나칠 수 없듯이(11:55 - 11:58)
119 통영시 2 - 7지점 안부 사거리,
약수터 입구라 하고(11:59)
119 통영시 2 - 8지점 사거리,
약수터 가는 길이라 되어 있으며,
미륵치 800m·미륵산정상 200m를 가리키고(12:04)
봉수대를 지나자마자 미륵산 정상으로 올라서는데,
따뜻한 봄날이자 토요일을 맞아 어찌나 많은 사람들로 붐비는지,
사람 없는 정상석만 담는다는 건 거의 불가능하기에,
그나마 좀은 적은 틈을 이용하여 요렇게라도 담을 수밖에는,
나로선 꽤나 오랜만에 찾은 셈이건만,
통영 시내가 골고루 쏙 들어오는 멋진 전망대이며,
미륵치 0.9km·산양읍사무소 3.2km·미륵불전망대 1.3km·
미래사 1.1km를 가리키고(12:13 - 12:20)
'영남권 산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미 한물간 천주산 진달래 (0) | 2016.04.16 |
---|---|
통영시 미륵도 종주(2) (0) | 2016.04.04 |
작은 설날에 조카들과 함께 함안 여항산으로 (0) | 2016.02.09 |
눈으로 실컷 눈구경을 하면서 즐긴 남덕유산(2) (0) | 2016.01.15 |
눈으로 실컷 눈구경을 하면서 즐긴 남덕유산(1) (0) | 2016.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