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권 산행기

꽝이 되어버린 황매산 철쭉산행

큰집사람 2016. 5. 9. 22:15

 

* 날    짜 : 2016년 5월 9일(월요일)

* 날    씨 : 흐림

* 산 행 지 : 황매산주차장 - 황매봉 - 무학굴 - 황매봉 - 1059.3m봉 - 베틀봉 - 황매산주차장  

* 산행시간 : 3시간 50분

* 산행속도 : 보통 걸음

* 산행인원 : 1명(나 홀로)

 

 

 

 

 

  

 

 

 

산청군 차황면 법물리 산청황매산주차장에서 바라본 황매산 정상부

 

 

황매산주차장에서 1059.3m봉 부근으로 난 길을 따라 오르고

 

 

 

 

 

 

 

 

 

 

 

 

 

 

 

 

 

이상하리만큼 철쭉은 구경조차 하기가 쉽지 않은데,

벌써 다 진 건 아닐텐데 왜 이러는 걸까?

궁금증을 가득 안고서 황매봉으로 오르는데,

알고 보니 지난 5월 2일과 3일의 강한 비바람에 피해를 입었다나?

막 꽃봉오리를 터뜨리려 하는 순간에,

뜻하지 않은 날벼락을 맞았다고나 할까?  

거의 다 찢겨서 날아가거나 떨어지고,

겨우 살아남은 건 골병이 들어 시들시들한다나?

 

어쩌다 아직 덜 핀 것도 있긴 하지만

 

 

1059.3m봉과 멀지 않은 주능선으로 올라서서 황매봉으로 나아가고

 

 

모산재가 내려다보이고

 

 

상봉과 중봉이 가까이 붙어 있고

 

 

삼봉, 상봉, 중봉이 나란하고

 

 

황매산 정상인 황매봉,

월요일인데도 많은 산행객들로 북적이고

 

돌아본 1059.3m봉

 

 

 

 

 

 

 

 

 

 

 

 

 

 

 

 

 

 

 

 

무학굴,

황매봉 50m 남짓 아래 있다는

 

 무학굴,

태백산맥의 마지막 영봉인 황매산은

예로부터 많은 선인들이 수도한 곳으로 이름나 있다.  

그 중에서도 태조 이성계의 조선 건국을 도운 왕사 무학대사가 으뜸일 것이다.

무학대사는 합천군 대병면 성리(합천댐 하류)에서 태어나

황매산 이곳 동굴에서 수도를 하였다 한다.

수도를 할 적에 그의 어머니께서 이 산을 왕래하면서 수발을 하다가,

뱀에 놀라 넘어지면서 칡넝쿨에 걸리고 땅가시에 긁혀 상처난 발을 보고,

100일 기도를 드려 이 세 가지를 없앴다고 한다.

그리하여 황매산은 이 세 가지가 없다 하여 삼무(三無)의 산이라 불리기도 한다.  

 

 

 

 

 

 

 

 

 

 

 

 

 

 

 

 

 

 

 

저 멀리 지리산 천왕봉과 중봉이 어슴푸레 들어오고

 

 

 

 

 

 

 

 

 

 

 

 

 

 

 

 

 

진양기맥 삼거리 봉우리

 

 

 

 

 

 

 

 

 

 

 

 

 

 

 

 

 

 

 

 

 

 

 

 

 

 

합천호와 중봉으로 이어지는 산줄기가 한눈에 쏙

 

 

 

 

 

 

 

 

 

 

 

 

 

 

 

 

 

 

 

 

황매봉을 차지한 산행객들

 

 

 

 

 

 

 

 

 

 

 

 

 

 

황매봉을 뒤로하고

 

 

 

 

 

 

 

 

 

 

 

1059.3m봉에서 돌아본 황매봉

 

 

황매봉, 삼봉, 상봉, 중봉이 한눈에 쏙 들어오고

 

 

 

 

 

황매평전이 펼쳐지고

 

 

 

 

 

 

 

 

 

 

 

 

 

 

 

 

 

 

 

 

 

 

 

 

 

 

 

 

 

 

 

 

 

 

 

 

 

 

 

 

 

淸泉洗心(청천세심),

맑은 샘물에 마음을 씻는다고나 할까?

 

돌아본 1055m봉

 

 

 

 

 

 

 

 

 

 

 

 

 

 

 

 

 

 

 

 

 

 

 

 

 

 

 

 

 

 

 

 

황매산성

 

 

 

 

 

 

 

 

 

 

 

 

 

 

 

 

 

 

 

 

 

 

 

 

 

 

 

 

 

 

 

 

 

 

 

 새터분지고개

 

 

 

 

 

 

 

 

 

 

 

 

 

 

 

 

 

 

 

 

 900m봉

 

 

베틀바위

 

 

 

 

 

 

 

 

 

 

 

병꽃

 

 

 

 

 

 

 

 

 

 

 

 

 

 

 

 

 

 

 

 

 

 

 

 

 

 

베틀봉

 

 

베틀봉에서 바라본 황매산 정상부

 

 

 

 

 

 

 

 

 

 

 

 

 

 

 

 

 

 

 

 

 

 

 

 

 

 

 

 

 

 

 

 

 

 

 

 

 

 

초소전망대

 

 

 해발 1000m라는 초소전망대 이정표,

좀 더 높은 베틀봉이 946.3m라는데 이건 아니지 않을까?

여긴 930m쯤 된다는데,

 황매산정상 2.0km · 모산재 2.1km를 가리키고 

 

웅석봉과 천왕봉을 잇는 산줄기가 희미하게 드러나고

 

 

 

 

 

 

 

 

 

 

 

 

 

 

 

 

 

 

 

 

 

 

 

 

 

 

 

 

 

 

 

 

 

 

 

 

 

 

 

 

 

 

 

 

 

 

 

 

 

 

 

 

 

 

 

 

 

 

 

 

 

 

 

 

 

 

 

 

 

 

 

 

 

 

 

 

 

 

 

 

 

 

 

 새터분지고개

 

 

 

 

 

 

 

 

 

 

 

 

 

 

 

 

 

 

 

 

 

 

 

 

 

 

 

 

 

임도에서 돌아본 베틀바위

 

 

 

 

 

 

 

 

 

 

 

 

 

 

 

 

 

 

 

 

 

 

 

 

 

 

 

 

 

 

 

 

 황매산(黃梅山, 1108m),

태백산맥의 장엄한 기운이 남으로 치달아

마지막으로 큰 흔적을 남기기 바로 이곳 황매산이다.

정상을 올라서면 주변의 풍광이 활짝 핀 매화꽃잎 모양을 닮아

풍수지리적으로 <매화낙지> 의 명당으로 알려져 있어 황매산이라 부른다.

황매산의 황(黃)은 부(富)를,

매(梅)는 귀(貴)를 의미하여 전체적으로 풍요로움을 상징한다.

또한 누구라도 지극한 정성으로 기도를 하면 한 가지 소원은 반드시

이루어진다고 하여 예로부터 뜻있는 이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정상인 황매봉은 산청군 법평리 산4 번지이며,

동남쪽 능선은 기암절벽으로 천하의 절경을 이루어 작은 금강산이라 불리우고 있다.

수십만평의 고원에 깔리는 철쭉의 융단과 억새평원이 장관을 이루며,

멀리 서쪽으로 지리산 천왕봉과 웅석봉, 필봉산 그리고 왕산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다.


황매산은 효의 산이며 3무(無)의 산이다.

이성계를 도와 조선을 건국한 무학대사가 황매산에서 수도를 할 때,

어머님이 무학대사의 뒷바라지를 위해 산을 오르내리다가,

칡덩굴에 걸려 넘어지고 땅가시에 긁혀 상처가 나고 뱀에 놀라는 사실을 알고,

황매산 산신령에게 지극 정성으로 100일 기도를 드렸다.

이후 지금까지 뱀과 땅가시 그리고 칡덩굴이 자라지 않아 3무(無)의 산이라 불리우고 있으며,

무학대사의 어머님에 대한 지극한 효의 실천과 사랑은

천년의 시공을 넘어 전설로 이어져 오고 있다.



* 황매산의    봄 : 수십만평의 고원에 펼쳐지는 철쭉군락의 붉은 향기가 현기증을 느끼게 한다

* 황매산의 여름 : 가슴을 꿰뚫어버리는 시원한 솔바람과 고산지대 특유의 자연풍광은

                          삶에 지친 현대인의 가슴을 어루만져 주기에 충분하다.

* 황매산의 가을 : 능선을 따라 일렁이는 그윽한 억새의 노래와 보리수 열매의 농익은 향기는

                          풍요로움을 안겨준다.

* 황매산의 겨울 : 기암과 능선을 따라 핀 눈꽃과 바람, 햇살이 부리는 조화는 황매산 경치의 절정을 이룬다.

 

 

 

 


 

 

 

 

 

 

 

 

 

 

 

 

 

 

 3시간 50분 만에 다시 산청항매산주차장으로 돌아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