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권 산행기

눈으로 실컷 눈구경을 하면서 즐긴 남덕유산(1)

큰집사람 2016. 1. 15. 19:33

* 날    짜 : 2016년 1월 15일(금요일)

* 날    씨 : 흐리고 눈발

* 산 행 지 : 영각교 - 영각탐방지원센터 - 영각재 - 중봉 - 남덕유산 - 서봉 - 삼자봉 - 영각교

* 산행시간 : 5시간 32분(운행시간 4시간 41분 + 휴식시간 51분)

* 산행속도 : 보통 걸음

* 산행인원 : 1명(나 홀로)

 

 

 

 

 

 

* 산행일정

10:00             함양 서상면 상남리 영각교

10:03             덕산교    

10:07             덕유교육원 입구

10:08 - 10:13  영각사 입구(영각탐방지원센터 0.4km · 남덕유산 3.8km · 영각사 0.3km)

10:19 - 10:22  영각탐방지원센터(남덕유산 3.4km · 영각사 입구 0.4km)

                    덕유 01 - 54지점(716m)

10:31             이정표(영각탐방지원센터 0.4km · 남덕유산 3.0km)

10:32             유 01 - 53지점(802m)

10:43             유 01 - 52지점(907m, 남덕유산 2.4km · 영각탐방지원센터 1.0km)

10:51             아치형 나무다리

10:54             덕유 01 - 51지점(1001m, 남덕유산 1.5km · 영각탐방지원센터 1.9km)

10:56             나무다리

11:12             덕유 01 - 50지점(1150m)

11:29 - 11:32  영각재(남덕유산 0.9km · 영각탐방지원센터 2.5km)

                    덕유 01 - 49지점(1283m)

11:37             참샘 갈림길(남덕유산0.8km · 영각탐방지원센터 2.6km)

11:41 - 11:48  참샘

11:52             참샘 갈림길(남덕유산0.8km · 영각탐방지원센터 2.6km)

12:03 - 12:08  중봉 전위봉

12:13 - 12:16  남덕유산 중봉(1440m)

                    덕유 01 - 48지점(1408m)                 

12:28 - 12:35  남덕유산(1507.4m, 향적봉대피소 15.0km · 영각탐방지원센터 3.4km)

                    덕유 01 - 47지점(1507m)

12:39 - 12:46 거창군 극서점 공터(삿갓재대피소 4.2km · 남덕유산 0.1km · 서봉 1.4km)

12:52             서봉 - 월성재 지름길 삼거리

12:54             덕유계곡 갈림길

13:03             덕유 11 - 16지점(1352m)

13:21             서봉 헬기장

13:23 - 13:31  서봉(육십령 7.3km · 남덕유산 1.5km)

                    덕유 11 - 15지점(1492m)

13:43             덕유 11 - 14지점(1392m)

13:54             덕유 11 - 13지점(1292m)

14:08             덕유 11 - 12지점(1231m)

14:23             덕유 11 - 11지점(1090m)

14:25             헬기장

14:30             덕유산국립공원 경계석(건설부)

14:32             옛 덕유교육원 삼거리(육십령 5.2km · 남덕유산 3.6km · 서봉 2.1km · 덕유교육원 1.6km)

14:34             덕유 11 - 10지점(954m)  

14:47 - 14:50  삼자봉(913m, 할미봉 1.8km · 육십령 4.0km · 옛 덕유교육원 삼거리 0.9km · 서봉 3.0km)

15:05             덕유교육원 삼거리 옛길· 새길 갈림길

15:06             덕유교육원 갈림길

15:32             영각교

 

 

 

 

 

 

 

 

 

 

 

 

 

영각사 주차장과 영각교 아래 도로공사를 하고 있는 곳에다 차를 세우고선,

영각교에서 영각사 입구 - 영각재 - 남덕유산 중봉을 거쳐 남덕유산으로 올라,

서봉과 삼자봉을 거쳐 제자리로 돌아오는 원점산행에 나서는데,

눈발이 휘날리는 얄궂은 날씨라 조망을 기대하긴 틀린 것 같지만,

올 겨울엔 보기가 쉽지 않은 새하얀 눈을 실컷 보는 것만으로도,

꽤 멀리까지 왔어도 어쩌면 본전은 되지 않을는지?(10:00)

 

영각교

 

 

남덕유산 영각사 주차장

 

 

 

 

 

덕산교(10:03)

 

 

 

 

 

덕유교육원 입구(10:07)

 

 

영각사 입구,

영각탐방지원센터로 떠나면서 본격적인 남덕유산 산행에 들어가고(10:08 - 10:13)

 

 

 

 

 

 

 

 

 

 

 

 

 

영각공원지킴터에서 영각탐방지원센터로 바뀐 지 꽤 됐지만,

모든 이정표는 영각공원지킴터로 되어 있는데,

 어차피 그게 그건데 왜 바꿔 혼란스럽게 하는지?

 

 

 

 

 

 

 

 

 

 

영각탐방지원센터,

덕유 01 - 54지점이기도 하고(10:19 - 10:22, 716m)

 

 

 

 

 

 

 

 

 

 

 

 

 

 

 

 

 

 

 

영각탐방지원센터 0.4km · 남덕유산 3.0km를 가리키고(10:31)

 

 

덕유 01 - 53지점(10:32, 802m)

 

 

 

 

 

덕유 01 - 52지점,

남덕유산 2.4km · 영각탐방지원센터 1.0km를 가리키고(10:43, 907m)

 

아치형 나무다리(10:51)

 

 

 

 

 

 덕유 01 - 51지점 이정표,

남덕유산 1.5km · 영각탐방지원센터 1.9km를 가리키고(10:54, 1001m)

 

 

 

 

 

 

 

또 하나의 나무다리를 건너고(10:56)

 

 

 

 

 

나무다리를 건너자마자 스멀스멀 밀려오는 안개,

안 그래도 눈발이 휘날리는 궂은 날씨에다 안개까지,

 이거야 말로 엎친데 덥친 격이요,

설상가상(雪上加霜)이라 하는 게 아닐는지?

 

 

 

 

덕유 01 - 50지점(11:12, 1160m)

 

 

 

 

 

 

 

 

 

 

 

정확한지 어떤지는 장담할 수 없지만,

176개나 되는 계단이 영각재까지 이어지고

 

덕유 01 - 49지점인 영각재,

여태까지 포근했던 것과는 달리 칼바람이 휘몰아치지만,

덕유산 영구종주를 한다는 아가씨의 자원봉사로 흔적을 남기는데,

남덕유산 0.9km · 영각탐방지원센터 2.5km를 가리키고(11:29 - 11:32, 1283m)

 

 

 

 

 

 

 

 

 

 

 

 

 

 

 

 

 

 

 

참샘 갈림길,

별스레 바쁠 것도 없어 서둘 것도 없기에,

눈 위에 발자국이라곤 찍히지 않은 참샘으로,

참새가 방앗간을 그냥 지나칠 수 없다고나 할까?

남덕유산0.8km · 영각탐방지원센터 2.6km를 가리키고(11:37)

 

 

 

 

남강으로 흐르는 경호강의 발원지인 남덕유산 참샘,

지리산 천왕봉 아래 천왕샘이 발원지인 덕천강과는 진양호에서 만나,

남강을 이루면서 낙동강으로 흘러들어 부산 앞바다로 가게 되는데,

참샘의 물로 목을 축이고 간식을 먹으면서 꺼진 배를 다시 채우고(11:41 - 11:48) 

 

 

 

 

 

 

 

 

 

 

 

 

 

 

 

 

 

 

 

 

 

 

 

 

 

 

 

 

참샘을 뒤로 하고

 

 

 

 

 

다시 돌아온 참샘 갈림길 삼거리,

이번엔 참샘이 아닌 남덕유산으로(11:52)

 

 

 

 

135개와 41개나 되는 쇠계단이 이어지는가 싶더니

 

 

 

 

 

 

 

 

또다시 28개와 54개의 쇠계단을 더 지나서야  

 

 

 

 

 

 

 

 

중봉 아래 자리 잡은 전위봉으로 올라서자,

 짙은 안개와 구름으로 아무것도 보이는 게 없어 아쉽지만,

그 자체만으로도 너할 나위 없이 이렇게 훌륭하거늘,

어찌 즐겁고 기쁘지 아니할 수 있으랴?(12:03 - 12:08)

 

 

 

 

 

 

 

 

 

 

 

 

 

 

 

 

 

 

 

 

 

 

 

 

 

 

 

 

중봉으로 이어지는 계단과 난간이 희미하게 드러나는데,

제각각 36개, 21개, 19개, 47개나 되는 공포의 계단이고

 

 

 

 

 

 

 

 

 

 

좀처럼 그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중봉,

이런 상황에서 오늘은 먼 곳을 본다는 건,

아무래도 현실이 아닌 헛된 꿈이 아닐는지?

 

이 정도만 돼도 참 좋으련만

 

 

뒤돌아보고

 

 

또 돌아보고

 

 

 

 

 

 

 

 

 

 

 

 

 

 

계단으로 또 난간을 부여잡으며 올라선 남덕유산 중봉,

북덕유산에 중봉이 있듯이 남덕유산에도 중봉이 있는 셈인데,

그 높이야 북덕유산과 그 중봉이 좀 더 높긴 하지만,

산세로 보면 남덕유산과 그 중봉이 훨씬 낫지 않을는지?

오늘따라 아무것도 보이는 게 없어 아쉽긴 하지만,

중봉은 덕유 01 - 48지점이기도 하고(12:13 - 12:16, 1408m)

 

 

 

 

 

 

 

 

 

 

 

 

 

 

 

 

 

 

 

 

 

 

 

 

 

 

 

 

 

 

 

 

 

 

 

 

 

돌아본 중봉 내림길의 72계단,

중봉은 겨우 희미하게 드러날 뿐이고

 

 

 

 

 

 

 

 

 

 

48계단을 지나자

 

 

얼마 안 가 14계단이 이어받고

 

 

마침내 나타나는 남덕유산 정상으로 이어지는 41계단,

 저걸 오르면 거의 2년 만에 남덕유산 정상을 밟게 되는 셈이고

 

 

 

 

 

 

 

이윽고 남덕유산 정상석이 날 반기는데,

지지난해 1월 12일과 1월 25일 연속으로 오르고선,

거의 2년이 다 되어서야 다시 찾은 셈이요,

지난해 12월 31일 북덕유산 향적봉에 이어,

1월이 가기에 앞서 남덕유산마저 오르게 됐으니,

 올 겨울엔 제법 덕유산과 인연이 많다고나 할까?

향적봉대피소 15.0km · 영각탐방지원센터 3.4km를 가리키고(12:28 - 1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