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권 산행기

중산리에서 순두류와 광덕사골로 천왕봉 올라 로타리대피소 거쳐 제자리로(1)

큰집사람 2015. 7. 30. 20:53

* 날    짜 : 2015년 7월 30일(목요일)

* 날    씨 : 구름 조금이다 흐림

* 산 행 지 : 중산리 - 순두류 - 광덕사골 - 천왕 동릉 - 천왕봉 - 로타리대피소 - 칼바위 - 중산리  

* 산행시간 : 8시간 30분(운행시간 6시간 11분 + 휴식시간 2시간 19분)

* 산행속도 : 보통 걸음

* 산행인원 : 1명(나 홀로)

 

 

 

 

 

 

* 산행일정

09:50          중산리탐방안내소(대형주차장 1.5km·법계교 0.2km·법계사 3.4km·천왕봉 5.4km)  

09:53 - 09:58  법계교(637m, 법계사 3.2km·천왕봉 5.2km·장터목대피소 5.1km·대형주차장 1.7km)

10:36 - 10:41  순두류 삼거리(법계교 3.0km·중산리 3.2km·천왕봉 4.8km·법계사 2.8km)

10:46 - 10:50  생태탐방로 공터(중산리 3.6km·천왕봉 4.4km·법계사 2.4km)

11:00          중봉골 갈림길

11:01          천왕 동릉 갈림길(순두류 1.1km·법계사 1.7km)

11:17          고갯마루 쉼터(중산리 4.9km·순두류 1.7km·천왕봉 3.1km·법계사 1.1km)

11:25 - 11:40  광덕사교(순두류 2.1km·법계사 0.7km)

12:10          천왕샘골 - 광덕사골 합수지점(1260m)

12:25 - 12:35  너럭바위

13:14 - 13:20  암법주굴(개선문 아래) 갈림길

13:21 - 13:40  암법주굴

13:41 - 13:52  암법주굴(개선문 아래) 갈림길

14:10 - 14:15  광덕사골 최고의 소나무

14:33 - 14:38  광덕사골 최상류

14:53 - 15:03  천왕 동릉 합류

15:15 - 15:20  고사목 전망대

15:37 - 15:40  천왕샘 위 기다란 나무계단

15:42                지리 05 - 10지점(1859m)

15:46                천왕 동릉 갈림길(2)

15:50 - 16:15  지리산 천왕봉(1915.4m, 대원사 11.7km·로타리 2.1km·중산리 5.4km·장터목 1.7km) 

16:24 - 16:29  천왕샘(천왕봉 0.3km·법계사 1.7km·중산리 5.1km)

16:30          천왕샘고개

16:36          선바위(천왕봉 0.6km·법계사 1.4km·중산리 4.8km)

16:41          개선문(개천문, 천왕봉 0.8km·법계사 1.2km·중산리 4.6km)

16:50          암법주굴 갈림길

16:51          사자바위(지리 05 - 08지점, 1531m)

17:00          비스듬한 바위지대 전망대 

17:07 - 17:10  법계사 입구(천왕봉 2.0km·중산리 3.4km) 

17:12          로타리대피소(1335m, 천왕봉 2.1km·중산리 3.3km·칼바위 2.0km·순두류 2.7km)

17:21          문창대샘

17:23          문창대 우량국

17:32          망바위(1177m, 법계사 1.0km·천왕봉 3.0km·중산리 2.4km)

17:51          칼바위 위 출렁다리 삼거리(중산리 1.3km·장터목 5.0km·천왕봉 4.1km·법계사 2.1km)

17:54          칼바위(830m)

18:03          세존봉능선 갈림길 이정표(중산리 0.7km·장터목대피소 4.6km·법계사 2.7km) 

18:14 - 18:17  법계교(637m, 법계사 3.2km·천왕봉 5.2km·장터목대피소 5.1km·대형주차장 1.7km)

18:20          중산리탐방안내소(대형주차장 1.5km·법계교 0.2km·법계사 3.4km·천왕봉 5.4km)

 

 

 

 

 

 

지리산국립공원 중산리탐방안내소와 맞닿은 중산리 소형주차장에다 차를 세우고,

법계교에서 순두류를 지나 오랜만에 광덕사골로 파고들기로 하는데,

설사 길이 있더라도 길이 아닌 끝까지 골짝을 따르기로 마음을 먹지만,

제대로 공부도 하지 않은 채 무턱대고 나섰기에,

마음먹은 것과 비스무리하게나마 갈 수는 있을는지?   

광덕사골의 들머리야 알고 있지만,

과연 그 날머리는 어디가 될 것이며,

어느 곳이든 빠져나갈 수나 있을까?(09:50)

 

 

 

 

 

 

 

 

 

 

 

 

 

법계교 삼거리,

오늘은 칼바위와 망바위가 아닌,

순두류로 해서 올라갈 거고(09:53 - 09:58)

 

 

 

 

법계교에서 바라본 제석봉과 천왕봉,

꽤 오랜만에 천왕봉을 쳐다보는 셈인데,

소홀했다기보단 안개와 구름 때문이었을 뿐이고

 

 

 

 

 

 

 

법계교를 지나는 칼바위골의 물줄기

 

 

 

 

 

 

 

 

 

 

 

언제라도 그러하듯이 우천 허만수 선생께 입산신고를 하고

 

 

 

 

 

 

 

 

환경교육원 3.0km를 가리키는 쪽으로

 

 

지계곡 부근의 큼지막한 바위  

 

 

제법 큰 지계곡을 지나고(10:06)

 

 

 

 

 

 

 

 

 

 

 

 

 

 

 

 

 

 

 

 

법계교와 순두류 사이의 유일한 이정표,

법계사 3.0km·중산리 2.8km를 가리키는데,

중산리 2.8km는 3.0km의 잘못으로,

법계교까지의 거리가 2.8km이고(10:29)

 

 

 

 

 

 

 

순두류 경상남도 환경교육원 입구 삼거리,

법계사로 올라가다 광덕사골로 스며들 거고(10:36 - 10:41)

 

 

 

 

 

 

 

 

 

 

 

 

 

 

 

 

 

 

 

 

 

 

갈라진 바위(10:42)

 

 

아주 자그마한 지계곡을 지나고(10:44)

 

 

 

 

 

그전엔 화장실이 있던 생태탐방로 공터,

중봉골을 건너 지리산신제단과 느진목재로의 갈림길이기도 하고(10:46 - 10:50)

 

 

 

 

 

 

 

 

 

 

 

 

 

 

 

 

순두류 우량국(10:51)

 

 

(10:54)

 

 

기다란 출렁다리를 건너는데,

30m 남짓 아래가 중봉골과의 합수지점이고(10:58)

 

 

 

 

 

 

 

 

 

 

 

 

 

중봉골 갈림길(11:00)

 

 

 

 

 

천왕 동릉 갈림길(11:01)

 

 

 

 

 

천왕 동릉 갈림길 바로 위 이정표와 나무계단

 

 

짧은 출렁다리(11:04)

 

 

 

 

 

 

 

 

 

 

 

 

 

 

(11:06)

 

 

119 비상함이 설치된 지리 06 - 09지점,

법계사 1.3km·중산리4.7km를 가리키고(11:08)

 

 

 

 

 

 

 

보폭은 좁게 천천히 산행하라고?

그러면 입산시간지정제에 걸리는데도?

 

(11:12)

 

 

고갯마루 쉼터 이정표,

다른 이들이 쉬고 있어 그냥 지나치는데,

중산리 4.7km는 4.9km의 잘못으로,

법계교까지의 거리가 4.7km이고(11:17)

 

 

 

 

 

 

 

지리 06 - 10지점,

지나자마자 커다란 바위가 반기고(11:19, 1101m)

 

 

 

 

잠깐 계곡가로 붙기도,

이제 광덕사교가 멀지 않았다는

 

광덕사골 들머리 노릇을 하는 광덕사교,

로타리대피소로 이어지는 등산로는 바로 이어지지만,

광덕사골로 가자면 살짝 오른쪽으로 틀어야 하는데,

가지 말라지만 가야만 하는 걸 어떡하랴?

아니 간 듯이 가는 수밖에는,

떡으로 입요기를 하면서 꺼진 배를 다시 채우고(11:25 - 11:40) 

 

 

 

 

 

 

 

 

 

 

 

 

 

 

 

 

 

 

 

 

 

 

 

 

 

 

 

 

광덕사교에서 20m 남짓 갔을까,

광덕사골로 들어서면서 골짝을 따라 오르는데,

자그마한 폭포가 이어지면서 눈요기를 시키느라 바쁘고  

 

 

 

 

이단 폭포라고나 할까?(11:42)

 

 

 

 

 

 

 

 

 

 

 

 

 

 

계곡과 오른쪽으로 붙는 길이 나뉘는데,

길이 아닌 계곡을 따라 치오르기로 하고(11:46)

 

 

 

 

 

 

 

멋진 이단 폭포가 날 반기고(11:48)

 

 

 

 

 

 

 

 

두 줄기 폭포라고나 할까?(11:53)

 

 

 

 

 

 

 

 

 

 

 

 

 

 

협곡을 이루기도 하고(12:01)

 

 

 

 

 

 

 

 

꽤 커다란 바위들이 잇달아 나오는가 싶더니,

2분쯤 뒤 천왕샘골과 광덕사골이 나뉘고

 

 

 

 

 

 

 

 

 

 

 

 

 

천왕샘골과 광덕사골이 나뉘는 합수지점에 이르러,

왼쪽의 천왕샘골은 다음의 숙제로 돌리고,

마음먹은 그대로 광덕사골을 따라 오르기로(12:10)

 

합수지점이라고 해봤자 별다른 특징이라곤 없고

 

 

 

 

 

(12:14)

 

 

 

 

 

 

 

 

(12:23)

 

 

 

 

 

 

 

 

너럭바위 폭포,

너럭바위 위로 올라가 간식으로 입요기를 하면서 땀을 식히고(12:25 - 12:35)

 

 

 

 

 

 

 

 

 

 

 

 

 

 

 

 

너럭바위 바로 위에도 그럴싸한 폭포가,

가뭄으로 물이 좀 적어 아쉽긴 하지만

 

 

 

 

 

 

 

 

 

 

너럭바위를 돌아보고

 

 

 

 

 

 

 

 

커다란 바위 둘이 이웃하고(12:42)

 

 

 

 

 

(12:44)

 

 

 

 

 

(12:48)

 

 

 

 

 

 

 

 

돌아보기도 하면서

 

 

 

 

 

 

 

 

(12:53)

 

 

 

 

 

 

 

 

 

 

 

 

 

 

(12:56)

 

 

(12:57)

 

 

 

 

 

 

 

 

 

 

 

두 줄기 비스듬한 실폭포(13:00)

 

 

 

 

 

 

 

 

 

 

 

 

 

 

 

 

 

좀 더 멋진 두 줄기 실폭포(13:02)

 

 

 

 

 

여기서부턴 제법 길게 바위와 물줄기가 쭉 이어지고(13:04)

 

 

 

 

 

 

 

 

 

 

 

 

 

 

 

 

 

 

 

 

 

 

 

 

 

 

 

 

 

(13:10)

 

 

 

 

 

바로 위에 개선문 아래와 암법주굴을 잇는 갈림길이 지나는 비스듬한 이끼바위,

광덕사지와 기도터 및 광덕사교로 이어지는 길이 만나는 곳이기도 한데,

주변을 살피면서 한숨을 돌리고선 암법주굴을 갔다오기로 하고(13:14 - 13:20) 

 

 

 

 

 

 

 

개선문 아래와 암법주굴을 잇는 길이 지나고

 

 

 

 

 

 

 

 

 

 

 

 

 

 

밧줄이 매달린 곳은,

암법주굴과 광덕사교로 이어지는 길이고

 

 

 

 

 

 

 

 

 

 

 

 

 

 

 

 

오른쪽의 뚜렷한 길을 따라 1분 정도 갔을까,

마침내 암법주굴이 웅장한 그 모습을 드러내는데,

나완 꽤 오랜만의 만남이 아닐는지?

그때가 언젠지 기억조차도 없으니까.(13:21 - 13:40)

 

 

 

 

 

 

 

암법주굴 앞에서 병풍 노릇을 하는 배바위

 

 

 

 

 

 

 

 

 

 

 

 

 

 

 

 

 

 

 

 

 

 

 

 

 

배바위 위,

밑에서 보는 것과는 달리 비스듬한 너럭바위이고

 

 

 

 

 

 

 

 

 

 

 

 

 

 

 

 

 

 

 

 

 

 

 

 

 

 

 

 

 

 

 

 

 

 

암법주굴을 뒤로 하고

 

 

 

 

 

 

 

 

광덕사교로 이어지는 길이고

 

 

다시 광덕사골로 돌아와서,

간식으로 입요기를 하면서 고파진 배를 채우고,

갈 수 있는 데까진 광덕사골을 따라 치오르기로 하고(13:41 - 13:53)

 

바로 위에도 그럴싸한 폭포가 있는가 하면(13:54)

 

 

그 위엔 더 멋진 폭포가 이어지는데,

물이 많을 땐 제법 휼륭한 볼거리가 아닐는지?(13:55)

 

 

 

 

 

 

 

 

 

 

올라서서 내려다보고

 

 

또다시 한동안 바위지대를 타고 흐르는 자그마한 폭포가 이어지고(13:58)

 

 

 

 

 

 

 

 

 

 

 

바위 사이의 홈을 따라 올라가고(14:06)

 

 

 

 

 

 

 

 

바위 위에 올라앉은 멋들어진 소나무,

광덕사의 최고의 볼거리 가운데 하나가 아닐는지?(14:10 - 14:15)

 

(14:16)

 

 

(14:19)

 

 

직벽 이단 폭포(14:21)

 

 

 

 

 

 

 

 

 

 

 

(14:27)

 

 

(14:28)

 

 

(14:30)

 

 

 

 

 

 

 

 

 

 

 

큼지막한 바위지대가 나타나면서 사실상 광덕사골은 사라지는데,

바위지대를 왼쪽으로 돌아 이제부턴 계곡이 아닌 산줄기로 붙어 오르고(14:33 - 14:38) 

 

 

 

 

 

 

 

물줄기도 이게 마지막이고

 

 

크지 않은 바위의 오른쪽으로 오르고(14:42)

 

 

왼쪽과 오른쪽의 바위 사이로 올라가는데,

왼쪽은 그다지 크지 않은 바위지만,

오른쪽은 꽤나 커다란 바위이고(왼쪽, 14:43) 

 

오른쪽에 자리 잡은 커다란 바위 

 

 

왼쪽으로 돌고(14:44)

 

 

삭은 고사목이 기댄 바위를 왼쪽으로 돌고(14:45)

 

 

삭은 고사목이 기댄 바위를 왼쪽으로 돌자,

미역줄나무가 기승을 부리면서 성가시게 하지만,

분위기로 봐선 그대로 헤집고 오를 수밖에는

 

단풍나무와 어우러진 선바위,

이것 또한 왼쪽으로 돌고(15:51)

 

고사목이 널브러진 왼쪽으로 돌아 올라,

마침내 천왕 동릉을 지나는 길에 합류하자,

반가움 마음에 안도의 한숨이 절로 나오지 아니하랴?(14:53 - 15:03)

 

 

 

 

 

 

 

길에서 5m쯤 안쪽에다 표지기 하날 남기고

 

 

길가엔 부근에 있는 걸 이사를 시켰고

 

 

천왕 동릉에 합류한 곳의 커다란 바위,

고사목이 널브러진 바위와 같은 무더기이고

 

천왕 동릉에 합류한 곳의 자그마한 바위

 

 

천왕 동릉에 합류한 10m 남짓 위의 표지기와 바위,

바위를 옮길 순 없어 표지기만 살짝 옮겼을 뿐이고

 

 

 

 

 

 

 

뾰족하게 우뚝 솟은 바위(15:05)

 

 

(15:09)

 

 

고사목과 어우러진 전망대,

천왕 동릉에선 몇 안 되는 전망대지만,

오늘따라 안개가 훼방을 놓은 바람에 시원찮은데다,

중봉이 살짝 드러나다 숨어버려 아쉬움을 더할 뿐이고(15:15 - 15:20)

 

 

 

 

 

 

 

 

 

 

 

 

 

 

 

 

 

 

 

 

 

천왕 동봉 조금 아래의 공터가 있는 거대한 암봉이 가로막는데,

 동봉과 천왕봉은 오른쪽으로 돌아 오르면 되지만,

천왕봉을 가자면 시간이 좀은 빠듯할 것도 같기에,

바위지대 아래의 희미한 길을 따라 왼쪽으로 내려가고(15:23)

 

(15:29)

 

 

비스듬한 바위에서 수명이 다하는 천왕샘골을 건너고(15:35)

 

 

 

 

 

2분 남짓 갔을까,

천왕샘 바로 위의 기다란 나무계단이 보이고

 

 

 

 

기다란 나무계단으로 올라서자 문득 천왕봉이 보고싶은데,

여기까지 와서 그냥 간다는 건 천왕봉에 대한 예의가 아니지 않을까?

좀은 빠듯하긴 해도 시간상으로도 별스레 문제가 없을 것 같기에,

잠깐 망설이다 기어이 천왕봉을 갔다오기로 하고(15:37 - 15:40)

 

빠져나온 곳을 돌아보고

 

 

지리 05 - 10지점(15:42, 1859m)

 

 

깔딱고개로 올라가고

 

 

지리 05 - 01지점과 천왕봉의 중간쯤 되는 곳에서,

천왕 동릉으로 이어지는 갈림길 두 군데를 10m 간격으로 잇달아 지나고(15:46)

 

 

 

 

 

 

 

 

 

 

 

 

 

 

 

 

 

 

 

 

 

 

지리산 천왕봉,

한국인의 기상 여기서 발원되다.

나완 올 들어 여섯 번째 만남이자,

지난 7월 14일에 이어 16일 만에 다시 찾은 셈인가?

안개와 구름에 덮여 별스레 보이는 것도 없지만,

천왕봉이나 실컷 구경해도 본전은 되지 않을는지?(15:50 - 1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