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봉지맥 산행기

홀로 가는 우봉지맥(제1구간 한우산 동봉에서 막실고개까지)

큰집사람 2013. 3. 29. 21:58

* 날    짜 : 2013년 3월 29일(금)

* 날    씨 : 구름 조금

* 산 행 지 : 한우산 동봉 - 750m봉 - 응봉산 - 매봉산 - 신덕산 - 우봉산 - 막실고개

* 산행거리 : 12.4km

* 산행시간 : 4시간 40분(운행시간 3시간 37분 + 휴식시간 53분)

* 산행속도 : 약간 빠른 걸음

* 산행인원 : 1명(나 홀로)

 

 

 

 

 

* 산행일정

12:20          한우산 동봉(766m)

12:25 - 12:31  제2활공장

12:39 - 12:42  750m봉

13:08 - 13:13  양성 삼거리(540m)

13:21 - 13:30  응봉산(584.7m, △ 삼가 427)

13:38 - 13:43  매봉산(597m)

13:51          부자재(445m)  

14:03          575m봉

14:07 - 14:10  596m봉 

14:17          578m봉

14:23 - 14:30  신덕산(582m)

14:53          질티재(임도)

15:21          377m봉

15:24          380m봉

15:35 - 15:40  구오목고개(질미재, 용덕면 용소리 상용마을 - 유곡면 오목리, 239m)

15:58          373m봉

16:06 - 16:12  우봉산(372.3m, △ 남지 312) 

16:26 - 16:31  장군당재 삼거리(258m)

16:47          358m봉

17:00          막실고개(정곡면 중교리 양정마을 - 유곡면 신촌리 신촌마을, 170m)

 

 

 

 

* 지맥거리(12.4km)

한우산 동봉 - 2.6km - 양성 삼거리 - 2.7km - 신덕산 - 1.6km - 절티재 - 1.8km -

구오목고개 - 1.3km - 우봉산 - 0.9km - 장군당재 삼거리 - 1.5km - 막실고개

(구간거리는 실제와는 차이가 날 수 있음) 

 

 

 

 

 

 

* 우봉지맥(牛峰支脈)은 남덕유산에서 진양호로 이어지는

진양기맥이 남쪽으로 내려오다,

한우산을 지나 자굴산으로 가기에 앞서 한우산 동봉

(경남 의령 대의면 신전리, 가례면 갑을리, 궁류면 벽계리의 경계지점)에 이르러 

동북쪽과 동남쪽으로 가지를 친 도상거리 약 30km 남짓 되는 산줄기이며,

오직 의령군만을 지나면서 지정면 성산리의 기강나루터에서,

그 맥을 낙동강과 남강이 만나는 두물머리로 넘겨준다.   

우봉지맥에는 한우산 동봉(766m), 응봉산(584.7m), 매봉산(597m), 신덕산(582m),

우봉산(372.3m), 옥녀봉(341.4m), 왕봉산(265m) 등이 자리 잡고 있으며.

이 산줄기의 북쪽에선 상곡천, 유곡천 등이 낙동강으로 흐르고,

남쪽에선 가례천, 용덕천, 용소천, 죽전천, 월현천, 상촌천, 봉곡천, 두곡천 등이

남강으로 흐르다 물머리에서 낙동강으로 흘러든다.

 

 

 

 

 

 

 

 

 

 

 

 

진주에서 한우산 주차장으로 가면서 의령 칠곡면 내조마을회관과 자굴산   

 

내조마을에서 바라본 자굴산

 

의령 가례면 갑을리와 대의면 신전리를 잇는지방도 1013호선이 지나는 쇠목재

 

 

 

쇠목재에서 자굴산 오르는 길

 

 

 

 

 

 

 

 

 

쇠목재에서 부자재를 사이에 둔 우봉지맥 산줄기와 가례면 갑을리 

 

쇠목재에서 집현산과 멀리 지리산 천왕봉과 중봉

 

쇠목재에서 지리산 천왕봉과 중봉

 

쇠목재와 한우산 주차장을 잇는 도로

 

 

 

쇠목재에는 위에서 끌어온 물이 나오고   

 

한우산 주차장

 

한우산 주차장 팔각정

 

 

 

한우산

 

 

 

산성산

 

한우산 동봉

 

자굴산과 쇠목재

 

와룡산

 

오도산 - 산성산 - 가야산 - 미숭산 - 대암산 - 국사봉 - 천황산 - 미타산 - 비슬산 - 창녕읍 - 화왕산

 

 

 

 

 

 

 

한우산 동봉에서 진양기맥에서 갈라져 750m봉과 부자재로 이어지는 우봉지맥 산줄기

 

우봉지맥에선 한우산 동봉과 쌍벽을 이루며 마주보는 750m봉

 

한우산 주차장을 뒤로 하고선 우봉지맥 제1구간 산행에 나서고(12:05)

 

한우산 동봉(766m)이 어서 오라 하고

 

한우산 동봉에 이르자 정상에 팔각정 전망대가 자리 잡고 있는데,

이곳저곳 둘러보며 조망을 즐기고선 우봉지맥 제1구간 산행에 들어가기로 하고(12:12 - 12:20)   

 

 

 

한우산 동봉 이정표 너머로 자굴산이 들어오고

 

자굴산

 

750m봉

 

 

 

산성산과 찰비계곡

 

우봉지맥 산줄기(1)

 

우봉지맥 산줄기(2)

 

의령읍 부근에서 작은 산불이 난 것 같고

 

 

 

남덕유산에서 백두대간이 갈래를 친 진양기맥이 한우산을 지나 자굴산으로

가기에 앞서 한우산 동봉에 이르러 왼쪽으로 가지를 떨군 게 우봉지맥인데,

진양기맥은 경호강과 덕천강이 진주 진양호에서 만나는 남강으로 이어지지만,

우봉지맥은 남강과 낙동강이 만나는 의령 지정면 성산마을 기강나루로 이어지고

 

 

 

한우산 동봉을 내려서면서 우봉지맥 제1구간 산행에 들어가고

 

돌아본 팔각정 전망대

 

제2활공장으로 길게 이어지는 나무계단

 

찰비계곡을 굽이굽이 감도는 꼬부랑길을 나중에 택시로 올라오게 되고

 

 

 

제2활공장으로 내려서고(12:25 - 12:31)

 

 

 

제2활공장에서 돌아본 한우산 동봉

 

한우산

 

 

 

자굴산

 

야생철쭉원 뒤로 보이는 산성산

 

 

 

 

 

 

 

갑을리 일대

 

 

 

 

 

 

 

 

 

 

 

 

 

 

 

한우산 제2활공장을 뒤로 하고

 

750m봉 바로 아래 전망대에서 산성산 너머로 들어오는 황매산(12:38)  

 

 

 

750m봉 바로 아래 전망대에서 한우산

 

억새밭을 이루는 펑퍼짐한 750m봉으로 올라서는데,

우봉지맥은 글씨가 지워진 이정표가 가리키는 오른쪽으로 내려서고(12:39 - 12:42) 

 

750m봉에서도 조망이 열려 산성산 뒤로 황매산이 보이고

 

황매산 일대를 좀 더 당기고

 

산성산도 좀 더 당기고

 

한우산 동봉과 한우산도 들어오고

 

부근에선 가장 높은 자굴산도 보란 듯이 그 위용을 뽐내고

 

표지기 하날 걸고서 750m봉을 내려서고

 

비포장임도로 내려서서 공터를 지나 오르는데,(12:52)

양성 삼거리로 내려서기에 앞서 두 번 더(12:57, 13:01) 임도를 건너게 되고 

 

돌아본 임도

 

산길로 붙어 10m 남짓 가자 최근에 설치한 것 같은 구조물(BH - 13)이 나오는데,

도대체 정체가 뭐며 어디에 쓰는 물건인지

 

오른쪽으로 돌아가는 길이 있는 아무런 볼거리도 없는 558m봉을 내려서자,(13:04)

여러 갈래 임도가 부근으로 지나는 양성 삼거리에 이르고(13:08 - 13:13) 

 

양성 삼거리 바로 못미처에도 아까와 같은 게 또 있고(BH - 19) 

 

양성 삼거리

 

 

 

 

 

 

 

 

 

 

 

 

 

양성 삼거리에서 간이화장실 옆으로 오르고

 

양성 삼거리 신덕산 등산로 종합안내도에서 제4활공장이라 되어 있는 봉우리로 올라가자,

억새밭을 이루는 정상에는 삼각점(삼가 427)과 응봉산 584.7m란 표지기가 있는데,

신덕산 등산로 종합안내도에는 응봉산은 여기서 좀 더 가야하는 곳을 가리키고,

삼각점과 표지기 높이가 17.4m나 차이가 나는 건 뭔가 잘못된 거란 생각인데,

막실고개의 임도 안내도에는 여길 응봉산이라 하니 나도 그러기로 하고(13:21 - 13:30) 

 

삼각점(삼가 427)

 

 

 

 

 

떨어져 있는 표지기를 제대로 걸고  

 

 

 

꼭대기만 살짝 드러내는 가야산

 

멀리 천황산과 미타산, 비슬산

 

국사봉과 천황산, 미타산

 

자굴산과 갑을리 일대

 

가야 할 우봉지맥 산줄기

 

서암저수지 뒤로 방어산과 벽화산이 들어오고

 

쉼터 뒤로 750m봉이 보이고

 

자굴산과 한우산 동봉 사이엔 쇠목재가 보이고

 

응봉산을 뒤로 하고

 

응봉산에서 8분 남짓 나아가 널따란 헬기장(39 - 119 - 5 - 9)으로 올라서자,

준희의 표지기는 매봉산 597m라 하고 이정표에는 응봉산 585m로 되어 있는데,

어차피 매 鷹자이니 鷹峰山이나 매峰山이나 그게 그거지만,

그 높이와 위치가 다르니 그것이 문제이고(13:38 - 13:43)

 

 

 

 

 

 

 

 

 

매봉산에서 지굴산과 쇠목재로 이어지는 지방도 1013호선

 

천황산과 미타산, 비슬산

 

국사봉과 천황산, 미타산

 

매봉산에서 희미하게 보이는 화왕산

 

 

 

부자재 사거리로 내려서는데,

오른쪽은 가례면 양성마을이요 왼쪽은 유곡면 구상곡마을이고(13:51)

 

부자재의 돌무더기는 서낭당 흔적임을 알 수 있고

 

부자재를 뒤로 하고선 꽤나 가파른 길을 오르고

 

 

 

소나무가 우거져 보이는 것이라곤 없는 575m봉을 지나고(14:03)

 

 

 

자그마한 억새밭이 잡목과 어우러지지만, 

조망이 살짝 열리는 596m봉으로 올라서고(14:07 - 14:10)

 

 

 

지나온 우봉지맥 산줄기와 750m봉과 한우산 동봉, 한우산이 들어오고

 

가까운 자굴산도 보이고

 

자굴산과 한우산 사이의 쇠목재가 보이고

 

596m봉을 뒤로 하고선,

 완만한 능선을 따라 참나무가 숲을 이루는 578m봉을 지나고(14:17)

 

578m봉에서 부드럽게 내려서다 조금 오르자 신덕산이 반기는데,

바로 내려서면 용덕면 이목리 이목마을과 가례면 괴진리 서암저수지 부근이요,

우봉지맥은 왼쪽으로 팍 꺾어 내려서야 하고(14:23 - 14:30)

 

 

 

가례면, 유곡면, 용덕면의 경계지점이라 하여 삼면계봉이란 이름을 붙인 것 같고

 

신덕산은 나무에 가려 조망이 거의 열리질 않는데,

 아직은 때가 때인지라 나무 사이로 자굴산이 보이는 둥 마는 둥이고

 

 

 

비포장임도가 지나는 질티재로 내려서서 다시 산길로 올라서고,(14:53)

12분 만에 올라선 Y자로 된 갈림길 봉우리에선 왼쪽으로,(15:05)

2분쯤 뒤 또 다시 Y자로 된 갈림길 봉우리에선 오른쪽으로 나아가고(15:07) 

 

 

 

 

 

 

 

김해김씨와 재령이씨 무덤을 지나,(15:16) 

희미한 길로 5분 남짓 오른 Y자로 된 갈림길 봉우리(377m)에서

아주 희마한 왼쪽이 아닌 오른쪽으로,(15:21)  

비교적 완만하게 3분쯤 더 간 380m봉에선 오른쪽으로 내려서고(15:24)

 

석축을 둘러친 무덤 넷을 지나 내려서고(15:28)

 

구오목고개로 내려서는 잘 단장된 은진송씨 무덤에선, 

가야 할 우봉지맥 산줄기가 들어오고(15:32)

 

 

 

구오목고개 바로 위 과수원 집 옆으로 지나가고(15:33)

 

 

 

과수원 집을 지나자마자 오른쪽으로 포장임도로 내려가는데,

절개지 때문에 구오목고개로 바로 내려서는 건 좀은 어렵고

 

포장임도를 따라 군도 13호선으로 내려서서 왼쪽으로 30m 남짓 올라,

용덕면 용소리 상용마을과 유곡면 오목리를 잇는 구오목고개(230m)에 이르는데,

구오목고개는 질미재라고도 부르고(15:35 - 15:40)

 

구오목고개

 

구오목고개로 내려온 포장임도

 

구오목고개 이동통신탑

 

봉화산과 여항산 등 남쪽으로 조망이 열리는 순흥안씨 부부 무덤을 지나,(15:48)

 10분 남짓 뒤엔 고친 표지기가 있는 373m봉으로 올라서는데,

소나무와 참나무에 가려 보이는 것이라곤 아무것도 없고(15:58)

 

373.0m봉에서 5분 남짓 내려서서 낮은 무덤을 지나자마자 

오른쪽에서 오는 반질반질한 길과 만나 삼거리가 되고,(16:03)

이어지는 반질반질한 길로 산불감시초소가 자리 잡은 우봉산(372.3m)으로 올라서는데,

우봉산은 높이로 따지자면 우봉지맥에서도 그렇고 그런 봉우리지만,

무슨 이유에선지 우봉지맥이란 이름을 붙인 장본인으로 대접을 받고 있고(16:06 - 16:12)   

 

우봉산 산불감시초소

 

 

 

우봉산 삼각점(남지 312)

 

 

 

 

 

 

 

우봉산은 조망이 그다지 좋은 편은 아니지만,

자굴산이 들어오고 

 

벽화산도 그만하면 됐고

 

무룡산과 청룡산, 천주산이 그런대로 들어오고

 

무학산에서 여항산을 잇는 낙남정맥 산줄기도 들어오긴 하지만 잡목에 가려 시원찮고

 

우봉산을 뒤로 하고선,

왼쪽으로 팍 꺾어 내려서고

 

진달래가 무리지어 피어 있는 진양강씨 무덤을 지나고(16:22)

 

김해김씨 부부 무덤을 지나자마자 비포장임도로 내려서고(16:25) 

 

비포장임도로 50m 남짓 가자 장군당재이고(16:26 - 16:31)

 

장군당재 삼거리 이정표는 50m 남짓 떨어져 있고

 

 

 

 

 

 

 

장군당재를 뒤로 하고

 

철조망을 둘러친 무덤이 오른쪽 바로 아래 있는 곳에서 갈림길이 나오는데,(16:44)

오른쪽으로 내려서는 게 더욱 뚜렷하지만 그건 아니고,

능선을 따르는 희미한 길로 3분이면 밋밋한 358m봉을 지나고(16:47)    

 

358m봉에서 3분 남짓 내려서자 밀성박씨 부부 무덤에서 갈림길이 나오는데,     

무덤을 지나 바로 이어지는 희미한 길이 아닌 오른쪽으로 꺾어지는 길로 내려서고(16:50)

 

 

 

 정곡면 중교리 양정마을과 유곡면 신촌리 신촌마을을 잇는 지방도 1011호선이 지나는,

막실고개로 내려서면서 우봉지맥 제1구간 산행을 마무리하고선,(17:00)

궁류택시(055 - 972 - 9511, 벽계계곡 경유 한우산 주차장까지 38,000원)가 올 동안 

막실고개 부근을  다니면서 다음 제2구간 산행의 들머리도 알아두는데, 

4월 중순까지는 끝내야 군데군데 도사리고 있을 가시덤불의 횡포를 줄일 수 있을 것 같은데,

지금으로선 언제가 될진 알 수가 없지만 서둘러 한시라도 빨리 마칠 생각이고    

 

 

 

 

 

 

 

막실고개에선 왼쪽으로 난 포장임도로 올라도 되고

 

 

 

오른쪽의 산죽 사이로 10m 남짓 들어가 왼쪽으로 올라도 되고  

 

유곡면에서 본 막실고개

 

정곡면에서 본 막실고개

 

궁류택시 기사에게 부탁하여 흔적을 남기고  

 

궁류택시를 타고 벽계계곡을 휘돌아 한우산으로 올라서고  

 

한우산에서 내려다본 한우산 주차장 팔각정과 동봉  

 

한우산에서 바라본 동봉에서 진양기맥에서 나뉜 우봉지맥 산줄기

 

한우산에선 저 멀리 지리산 천왕봉과 중봉이 들어오고 

 

한우산에서 바라본 사천 와룡산

 

한우산과는 이웃사촌인 자굴산

 

한우산 동쪽에 자리 잡은 750m봉

 

합천 황매산도 날 좀 보라 하고

 

한우산

 

한우산 주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