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교정동우회

하동 형제봉(성제봉)

큰집사람 2021. 12. 9. 09:57

 

 

 

* 날     짜 : 2021년 12월 8일(수요일)

* 날     씨 : 맑음 

* 산  행 지 : 노전마을회관 - 청학사 - 수리봉 - 형제2봉 - 형제1봉 - 신선대 구름다리 - 웃재 - 입석마을회관 

* 산행거리 : 10.2km 

* 산행시간 : 7시간 35분(운행시간 4시간 50분 + 휴식시간 2시간 45분)

* 산행속도 : 보통 걸음 

* 산행인원 : 7명(황의봉, 이영근, 유달수, 이완희, 강동섭, 조광래)

 

 

 

 

 

* 산행일정

09:30           노전마을회관

09:54 - 09:57  청학사

10:04           형제봉 등산로 입구

10:05           형제봉 27지점

10:12 - 10:25  휴식

10:35           형제봉 26지점

10:52           형제봉 25지점

11:05 - 11:25  첫 번째 전망대            

11:34           형제봉 24지점        

11:35 - 11:38  남서쪽 전망대 

11:40 - 11:46  수리봉(873.6m)     

11:54           형제봉 23지점

12:03           형제봉 22지점

12:20 - 12:30  통천문

12:32 - 12:35  형제봉 21지점(980m)       

12:43 - 12:46  난간 봉우리

12:54 - 13:49  지형도상 형제봉(1116.2m, 창원 22, 형제봉 3지점)

13:52 - 14:00  성제2봉(형제2봉, 1112m)    

14:06 - 14:14  성제1봉(형제1봉, 1108m)

14:24           형제봉 5지점

14:30 - 14:35  1054m봉(헬기장, 형제봉 철쭉제단)

14:38           형제봉 6지점

14:50           형제봉 7지점(샘터 갈림길)

14:51           강선암 갈림길

14:52 - 15:04  신선대 구름다리

15:05           형제봉 8지점

15:15           형제봉 9지점

15:23           형제봉10지점

15:30 - 15:46  전망대

15:53           형제봉 11지점

16:03           윗재(형제봉 12지점)

16:27           말바위

16:34           섭바위골 개서어나무 쉼터

16:45           보문사 갈림길

16:50           지리산 둘레길 합류지점   

16:55           입석마을회관

17:05           입석·하덕 버스정류장(입석마을 표지석)

 

 

 

 

 

 

 

 

 

하동군 악양면 노전길 59(악양면 매계리 216) 노전마을회관

 

 

노전마을주차장에서 바라본 신선대 구름다리-형제봉-수리봉 

 

 

신선대 구름다리

 

 

 

 

 

 

회남재 일대

 

 

 

 

구재봉(773.7m)

 

 

 

 

 

 

 

 

 

 

 

 

회남재 일대

 

 

당기자 살짝 보이는 회남정

 

 

 

 

 

 

 

 

 

 

 

 

 

 

 

 

 

 

청학사,

성제봉(형제봉) 3.0km라는데,

깃대가 서 있는 성제2봉(형제2봉) 아닌 지형도상 성제봉으로 나오는 봉우리를 일컫는 거고

 

 

 

 

 

성제봉(형제봉) 등산로 입구,

청학사 0.2km·성제봉(형제봉) 2.8km를 가리키고

 

 

 

 

 

 

 

 

 

 

 

쭉 가파른 오르막길이 이어지기에,

숨을 고르고 목도 축이면서 좀 쉬었다 가고 

 

 

 

 

 

형제봉 26지점, 

한동안 계곡을 따르다 오른쪽으로 틀어 수리봉능선으로 올라서고

 

 

 

 

 

 

 

 

 

첫 번째 전망대,

그전엔 꽤 훌륭한 전망대 역할을 한 곳이었는데,

훌쩍 자라는 나무에 가려 점점 그 기능을 잃어 가고 있어 아쉽다고나?

 

 

 

왼쪽에 볼록하게 솟은 깃대봉(983m)

 

 

칠성봉(905.8m)과 구재봉(773.7m)

 

 

섬진강

 

 

 

 

남서쪽 전망대,

칠성봉과 구재봉을 잇는 산줄기와 섬진강 너머 백운산 일대가 한눈에 보이고

 

칠성봉,

그 뒤 가운데 살짝 드러난 두 봉우리는 옥산(614.1m)과 옥산 천왕봉(602.6m)인 듯하고 

 

칠성봉과 구재봉,

그 뒤엔 하동 금오산(875.1m)이 어슴푸레 들어오고 

 

섬진강,

그 뒤엔 억불봉(1007.5m)과 백운산 상봉(1222m)을 잇는 산줄기이고  

 

헬기장(형제봉 철쭉제단)이 자리 잡은 1054m봉,

이따가 형제봉에서 내려가면서 지나가는 곳이고

 

 

 

 

 

수리봉(873.6m),

모양새가 독수리를 닮은 봉우리인가?

청학사 1.3km·형제봉 1.7km를 가리키고 

 

 

 

형제봉 활공장

 

 

가운데 하동 독바위가 보이고

 

 

 

 

거사봉(1133.0m)과 시루봉(1130.3m) 일대,

삼신지맥과 만나는 뾰족한 봉우리(1120m봉) 오른쪽에 자리 잡은 펑퍼짐한 두 봉우리,

지형도상으론 왼쪽의 1133.0m봉은 거사봉이고,

하동군에서 세운 시루봉 정상석(1133m)이 있는 1130.3m봉은 족보조차 없는 무명봉일 뿐이요,

바위 봉우리인 수리봉(992.9m)이 시루봉으로 되어 있다던가?

 

자료사진

 

 

 

 

 

 

1054m봉과 형제봉을 잇는 산줄기

 

 

형제봉

 

 

 

 

 

 

 

 

 

 

 

 

정비를 좀 해야 할 듯?

 

 

 

 

 

 

곰바위(?)

 

 

 

 

 

 

 

 

 

 

수리봉,

그 뒤엔 구재봉이 보이고 

 

 

 

통천문 

 

 

 

 

 

 

 

 

 

 

 

 

 

 

 

 

 

 

 

 

 

 

형제봉 21지점,

3번 표지목(삼각점)에서 354m라는데,

왼쪽으로 몇 걸음만 가면 멋진 전망대가 있으며,

청학사 2.2km·형제봉 0.8km를 가리키고 

 

 

 

형제봉 활공장, 촛대봉(1703.1m), 천왕봉(1915.4m) 

 

 

촛대봉과 천왕봉

 

 

형제봉 활공장, 촛대봉, 제석봉(1808.0m)

 

 

형제봉 활공장

 

 

수리봉,

그 뒤엔 깃대봉과 칠성봉이 보이고 

 

칠성봉

 

 

구재봉,

그 뒤엔 금오산이고 

 

섬진강과 억불봉,

오른쪽은 1054m봉이고 

 

 

 

 

 

 

 

난간이 설치된 봉우리

 

 

 

 

 

 

 

 

 

 

 

 

 

 

 

 

 

 

 

 

이게 뭡니까?

 

 

 

 

 

 

삼각점(창원-22)이 자리 잡은 1116.2m봉,

지형도상으론 형제봉으로 되어 있는 봉우리이며,

이미 때가 살짝 지난 것 같기에 점심을 먹고 가기로 하는데,

활공장 1.2km·청학사 2.7km·성제봉(형제봉) 0.3km·신선대 구름다리 1.2km를 가리키는 걸,

성제봉(형제봉)은 깃대가 서 있는 성제2봉(1112m) 아닌 성제1봉(1108m)을 일컫는 거고

 

 

 

 

 

 

 

 

 

 

 

 

 

 

 

형제봉 등산로 안내도에선 성제봉이나 형제봉 아닌 성재봉이라는 걸?

 

 

성제2봉(형제2봉),

깃대와 성제봉(聖帝峰, 1112m)이란 정상석이 서 있는데,

그전엔 형제봉(2봉)이란 둥근 정상석이 있지 않았던가?

 

자료사진

 

 

 

 

 

 

 

 

 

 

 

 

 

 

 

 

 

 

반야봉(1731.8m),

좌우론 노고단(1507m) 및 토끼봉(1535.3m)과 명선봉(1583.4m)이고 

 

노고단,

그 좌우론 왕시루봉(1243m)과 반야봉이고 

 

왕시루봉

 

 

 

 

수리봉능선,

그 뒤엔 깃대봉과 칠성봉이고 

 

 

 

돌아본 성제2봉(형제2봉),

이제 조금 낮은 성제1봉(형제1봉)으로 가고 

 

등산로 폐쇄,

수리봉능선 아닌 골짝으로 해서 청학사로 이어지는 길이며,

성제1봉(형제1봉)을 들르지 않고 살짝 우회하는 길도 있지만,

들르지 않고 그냥 가는 건 성제1봉(형제1봉)에 대한 예의가 아니라고나?  

 

성제1봉(형제1봉) 삼거리 이정표,

강선암 3.0km·외둔 6.5km·청학사 3.0km·회남재 7.6km를 가리키고

 

지형도상의 성제봉으로 되어 있는 1108m봉,

여기도 성제봉(聖帝峰, 1108m)이란 정상석이 서 있는데,

그전엔 성제봉(형제봉) 또는 성제1봉(형제1봉)이라 부르던 봉우리가 아니던가?

 

 

 

자료사진

 

 

자료사진

 

 

 

 

 

 

성제2봉(형제2봉),

그 뒤엔 촛대봉과 천왕봉이고 

 

 

 

 

 

 

 

 

 

 

 

 

 

 

 

 

 

 

 

성제1봉(형제1봉) 바로 아래 자리 잡은 명당(?)

 

 

처사함안이공휘윤석(處士咸安李公諱潤錫)

배유인밀양박씨지묘(配孺人密陽朴氏之墓)

 

자료사진

 

 

 

 

 

 

헬기장과 형제봉 철쭉제단이 있는 1054m봉 정상부,

정부인문화유씨지묘(貞夫人文化柳氏之墓)가 주인공이고 

 

 

 

형제봉 철쭉제단,

서기 2010년 5월 10일 악양산우회 건립

 

 

 

 

 

억불봉

 

 

칠성봉과 구재봉을 잇는 삼신지맥 산줄기,

그 뒤엔 사천 와룡산과 하동 금오산이고 

 

억새 뒤로 보이는 칠성봉

 

 

확 당겨 본 진주 시내

 

 

백두대간 끝자락 지리산(두류산, 방장산) 서남쪽에 우뚝 솟은 형제봉은

청학의 전설이 서려 있는 악양동천(岳陽洞天)에 터를 잡고 살아온

우리 모두에게 넉넉하고 평화로운 삶을 안겨준 은혜와 감사의 산입니다.

옛부터 형제봉의 기상을 닮고자 호연지기를 길러 온

많은 인재들이 이 시대 이 나라의 큰 기둥이 되었습니다.

산이 좋아 형제봉을 찿는 모든 이들에게 건강과 축복의 산길이 되기를 삼가 기원합니다.

이제 우리의 뜻과 마음을 모아 단을 다듬어 여기에 세웁니다.  

 2010년 5월 16일 악양산우회

 

신선대 구름다리

알프스 하동의 새로운 관광명소가 될 지리산 성제봉(聖帝峰, 형제봉)

신선대 구름다리가 착공 1년 2개월 만에 마침내 준공됐다.

경남 하동군(군수 윤상기)은 21억 9000만 원의 사업비를 들여

2020년 3월 성제봉 신선대 일원에 설치된 기존 출렁다리를 철거하고

새로운 구름다리 신설사업에 착수해 2021년 5월 20일 완공했다고 밝혔다.

 

신선대 구름다리는 다리 기둥이 없는 무주탑 현수교 형식으로 설치됐으며,

총연장 137m에 폭 1.6m의 출렁다리다.

구름다리는 해발 900m의 지리산 성제봉 신선대 일원에 위치해

산행 전 강풍 등 기상상태를 파악하고 자신의 체력에 맞는 산행계획이 필요하다.

구름다리를 이용할 수 있는 등산코스는 △고소성→신선대 구름다리(3.4㎞ 3시간)

△강선암 주차장→신선대 구름다리(1.6㎞ 1시간 30분)

△활공장→성제봉→신선대 구름다리(3.0㎞  1시간 10분) 등 3개다.

이 중 활공장 구간은 화개면 부춘마을에서 활공장까지 임도를 이용한 차량 접근이 가능하지만,

임도는 일반차량의 통행이 제한되므로 국유림관리소의 출입가능 여부에 대한 사전 파악이 요구된다.

이곳 구름다리에서는 소설 '토지'의 무대 악양면 평사리들판의 풍성함과 푸른 섬진강의 비경,

섬진강 건너 우뚝 솟은 백운산의 자태를 만끽할 수 있어 알프스 하동의 새로운 관광명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주변에는 최참판댁을 비롯해 박경리문학관, 화개장터, 천년고찰 쌍계사와 칠불사 등

관광명소가 즐비해 알프스 하동의 관광 시너지 효과도 클 것으로 전망된다.

윤상기 하동 군수는

"성제봉 신선대 구름다리가 하동을 찾는 관광객들에게 새로운 볼거리와 즐길거리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관광객 유치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옛 신선대 구름다리

 

 

 

 

 

 

 

 

 

 

 

 

 

 

 

 

 

 

 

 

 

 

 

 

 

 

 

 

 

 

 

 

 

 

 

 

 

 

 

 

강선암 갈림길,

강선암 1.6km·성제봉(형제봉) 1.4km·구름다리 0.04km·고소성 3.4km를 가리키고 

 

 

 

 

 

 

 

 

 

 

 

 

 

 

 

 

 

 

 

 

 

 

 

 

 

 

 

 

 

 

 

 

 

 

 

 

 

 

 

 

 

 

 

 

 

 

 

 

 

 

 

 

 

 

 

 

 

형제봉 10지점(큰바위)

 

 

전망대,

눈요기와 더불어 입요기를 하면서 좀 쉬었다 가기로 하고 

 

 

 

 

 

 

 

 

 

 

 

 

 

 

 

 

 

 

 

 

 

 

 

형제봉 10지점(철구조물 설치된 바위)

 

 

 

 

윗재,

지리산 둘레길 13구간(대축-원부춘, 8.5km)이 지나는 곳으로,

산줄기를 따라 곧장 나아가면 신선봉(615.3m)과 고소성으로 이어지지만,

애당초 계획대로 지리산 둘레길을 따라 입석마을(2.6km)로 내려가기로 하는데,

 대축 4.8km·원부춘 3.7km·신선대 구름다리 1.1km·고소성주차장 2.9km를 가리키고  

 

 

 

 

 

 

 

 

 

 

 

 

 

 

 

말바위라던가?

 

 

 

 

산길에서 빠져나가 콘크리트 포장도로를 따라 입석마을로 내려가는데,

대축 3.7km·원부춘 4.8km를 가리키고

 

 

 

 

 

 

 

섭바위골 개서어나무 쉼터,

대축 3.6km·원부춘 4.9km를 가리키고

 

 

 

 

 

 

 

 

 

 

 

 

 

 

 

보문사 갈림길,

대축 3.0km·원부춘 5.7km를 가리키지만,

원부춘은 5.5km가 맞지 않을까?

 

대축마을에서 축지교를 지나자마자 두 갈래로 나뉜 지리산 둘레길이 다시 만나는데,

대축 2.7km·원부춘 6.0km를 가리키지만,

원부춘은 5.8km가 맞지 않을까?

 

자료사진

 

 

 

 

하동군 악양면 입석길 39-12(악양면 입석리 723-1) 입석마을회관,

대축 2.2km·원부춘 6.5km를 가리키지만,

원부춘은 6.3km가 맞지 않을까?

 

 

 

 

 

입석마을 선바위돌(자료사진)

 

 

 

 

보호수로 지정된 300년이 넘은 푸조나무,

입석마을의 입구에 있는 당산나무이다.

커다란 두 개의 가지가 가슴 높이에서 나뉘어져 있다.

매년 정월이면 마을에서 당산제를 올린다.

 

 

 

 

 

 

 

 

 

 

 

 

 

입석·하덕 버스정류장,

대축 1.7km·원부춘 6.8km를 가리키고

 

 

 

입석마을의 유래

이곳은 선돌(立石)이 있어 그것이 마을 이름으로 굳어진 지역이다.

선돌은 거석기념물(巨石記念物)의 하나이며, 가공하지 않고 길고 큰 돌을 수직으로 세워 놓은 것으로, 

신석기시대에 형성된 마을로 여겨지며 우리 군에서 가장 오래된 곳이 아닌가 여겨진다.

물론 선돌이 있다고 해서 당시 마을이 형성되어 졌다고 볼 수 없을 가능성도 있지만,

그러나 입석(立石)을 神聖視(신성시)하면서 살았던 것을 생각할 때

역시 마을의 연원(淵源)이 가장 오래된 촌락(村落)이다.

입석마을은 숙종 28년(1702년) 하동군에 편입되고,

1914년 4월 1일 행정구역 개편 때 화개면에 속해 있다가 현재 악양면 입석리로 편입되었다.

2006년 1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