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지역권 산행기

오소재에서 소석문까지 주작산 - 덕룡산 종주(1)

큰집사람 2016. 4. 11. 06:04

* 날    짜 : 2016년 4월 10일(일요일)

* 날    씨 : 구름 조금

* 산 행 지 : 오소재 - 어관봉 - 작천소령 - 주작산 덕룡봉 - 서봉 - 동봉 - 소석문   

* 산행거리 : 12.2km

* 산행시간 : 6시간 40분(운행시간 5시간 35분 + 휴식시간 1시간 05분)

* 산행속도 : 보통 걸음

* 산행인원 : 19명(진주비경마운틴클럽 회원들과)

 

 

   

 

* 산행일정

10:20          오소재(170m)

11:02          401m봉

11:26          제1비상탈출로 삼거리

11:52          제2비상탈출로 삼거리  

12:10 - 12:14  전망대 봉우리

12:21          제3비상탈출로 삼거리

12:35          어관봉(427.7m)

13:15 - 13:54  바위 봉우리

14:13          오소재 - 작천소령 - 남주작산 갈림길 안부 

14:20          작천소령

14:42 - 14:45  주작산 덕룡봉(475m) 

15:07 - 15:10  끝봉(425m)

15:37 - 15:44  주먹바위(ET바위)

16:29 - 16:35  덕룡산 서봉(432.9m)

16:47 - 16:50  덕룡산 동봉(420m)

18:00          소석문

 

 

 

 

 

 

 

 

* 전남 강진의 봄은 게미가 있다.

게미는 '씹을수록 고소한 맛,

그 음식에 녹아 있는 독특한 맛'을 뜻하는 전라도 사투리로,

산해진미(山海珍味)가 올라오는 강진 한정식은,

전라도 음식 가운데서도 최고로 꼽힌다.

 

강진의 봄 풍경에도 게미가 있다.
들판에는 보리가 쑥쑥 자라고,

산에는 진달래와 동백꽃이 흐드러지게 핀다.

 

주작산(朱雀山, 475m)과 덕룡산(德龍山, 433m)은,

잘 알려지지 않은 진달래 명소(名所)이기도 하다.

설악산 공룡능선(雪嶽山 恐龍稜線) 부럽지 않은,

기암괴석(奇巖怪石) 사이에 핀 연분홍 진달래가 화룡점정(畵龍點睛)이다.

 

주작산과 덕룡산은 봉황(鳳凰)이 강진만을 향해 날아오르는 형상이다.

주작산이 봉황의 머리,

덕룡산 능선이 왼쪽 날개,

오소재로 이어지는 암릉이 오른쪽 날개다.

특히 양 날개 격인 능선에는 기암괴석 사이로 진달래가 붉게 타오른다.

 

 

 

 

 

 

 

 

 

 

 

 

전남 해남군 북일면과 삼산면을 잇는 지방도 827호선이 지나는 오소재에서,

진주비경마운틴클럽 소속의 19명의 일행들이 소석문까지 가기로,

끝없이 이어지는 암릉구간을 오르내림이 결코 장난이 아닐 것이기에,

 더러는 좀 더 쉬운 남주작산으로 가는 일행도 없잖아 있겠지만,

난 기어이 소석문까지 간다.

모두가 빠지지 않는다면 어떻게 해서라도 끝까지(10:20)

 

 

 

 

 

 

 

 

 

 

 

 

 

 

 

 

본격적인 해남공룡의 바위지대가 시작되고(10:30)

 

 

 

 

 

돌아본 두륜산

 

 

 

 

 

 

 

 

 

 

 

돌아보자 두륜산 일대가 한눈에 들어오고

 

 

해남군 삼산면 양촌저수지

 

 

해남군 북일면 홍촌저수지

 

 

 

 

 

 

 

 

 

 

 

 

 

 

 

 

 

 

 

 

(10:55)

 

 

 

 

 

 

 

 

수많은 표지기가 나부끼는 401m봉,

지나온 또 가야 할 산줄기를 눈에다 담고(11:02)

 

 

 

 

 

 

 

 

 

 

 

 

 

 

 

 

(11:06)

 

 

 

 

 

 

 

 

 

 

 

 

 

 

 

 

 

 

 

 

 

 

 

 

 

 

삶은 무엇이고,

죽음은 또 무엇인가?

 

 

 

 

 

 

 

 

 

 

제1비상탈출로 삼거리(11:26)

 

 

 

 

 

 

 

 

 

 

 

 

 

 

 

 

 

 

 

 

 

 

 

 

 

 

 

 

 

바위 봉우리 이정표(11:37)

 

 

 

 

 

 

 

 

(11:45)

 

 

 

 

 

 

 

 

 

 

 

 

 

 

 

 

 

 

 

 

 

 

 

 

 

 

 

 

 

 

 

 

제2비상탈출로 삼거리(11:52)

 

 

 

 

 

 

 

 

오랜 세월 같은 밥을 먹었던 온새미,

비경마운틴산악회에서 만날 줄이야?

 

 

 

 

 

 

 

 

 

 

 

 

 

 

 

 

 

 

 

 

 

 

 

 

 

 

 

 

 

 

 

 

 

 

 

 

 

 

 

 

 

 

 

 

 

 

 

 

 

큰 촛대바위와 작은 촛대바위를 내려다보고(12:01)

 

 

 

 

 

 

 

 

 

 

 

크고 작은 촛대바위 뒤로 양촌저수지가 보이고

 

 

 

 

 

 

 

 

 

 

 

꽤 높은 바위 봉우리,

뒤엔 두륜산 일대가 보이고(12:08)

 

 

 

 

 

 

 

 

 

 

조망이 탁 트이는 흙과 바위로 된 부드러운 봉우리,

내가 짊어지고 간 명석 막걸리로 여럿이서 목을 축이고(12:10 - 12:14)

 

 

 

 

 

 

 

 

 

 

 

 

 

 

 

 

 

 

 

큼지막한 바위지대를 오른쪽으로 돌아 오르고

 

 

돌아 올라 돌아보고

 

 

 

 

 

 

 

 

 

 

 

(12:19)

 

 

 

 

 

 

 

 

 

 

 

제3비상탈출로 삼거리(12:21)

 

 

 

 

 

바위 봉우리(12:24)

 

 

 

 

 

 

 

 

 

 

 

 

 

 

 

 

 

 

 

 

어관봉이 코앞으로 다가서고

 

 

 

 

 

 

 

 

 

 

 

 

 

 

어관봉(427.7m)이라 한다던가?

삼각점과 이정표 및 조망 안내판 등이 자리 잡았고(12:35)

 

 

 

 

 

 

 

 

 

 

 

 

 

 

 

 

 

 

 

 

 

 

 

 

 

 

 

 

앞을 가로막는 큼지막한 바위지대,

오른쪽으로 돌아갈 수밖에는

 

큼지막한 바위지대를 돌아가면서,

뚜껑 열린 석문이라고나 할까?(12:54)

 

 

 

 

 

 

 

 

 

 

 

 

 

 

 

 

 

 

 

(13:04)

 

 

 

 

 

 

 

 

 

 

 

 

 

 

저길 어떻게?

혼자만 치오르는 정상규 비경마운틴클럽산악회 산행대장,

우린 왼쪽으로 돌아갈 수밖에는(13:07)

 

 

 

 

 

 

 

 

 

 

 

 

 

 

 

 

 

 

 

 

 

 

바위 봉우리로 올라서서 좀은 늦은 점심을,

멋진 경치를 바라보면서 푸짐하고 맛깔스럽게(13:15 - 13:54)

 

작천소령과 주작산이 가깝게 다가서고

 

 

 

 

 

 

 

 

 

 

 

 

 

 

정상규 비경마운틴클럽산악회 산행대장

 

 

든든하게 배를 채웠으니,

이제 그만 슬슬 떠나볼까?

 

 

 

 

 

 

 

 

 

 

바위 넘어 또 바위,

가도가도 끝이 없는

 

 

 

 

 

 

 

바위 봉우리 하날 또 넘어서고(14:01)

 

 

 

 

 

 

 

 

 

 

 

 

 

 

 

 

 

엄청 순해보이는 남주작산,

일행 가운데 2/3 정도는 저리로 빠진다지만,

이왕 나선 거 난 끝까지 가기로

 

 

 

 

 

 

 

 

 

 

 

 

 

아이스케키가 살살 꼬시지만,

배가 부르니 그냥 지나칠 수밖에는

 

(14:10)

 

 

대단한 열정을 자랑하는 송비산1,

일흔이 훌쩍 넘은 걸로 아는데

 

 

 

 

 

 

 

오랜만에 흙길을 밟게 되는 주작산과 남주작산 갈림길 안부,

19명의 일행 가운데 1/3은 주작산으로 가고자 작천소령으로 내려가고,

더 많은 2/3 정도는 보다 수월한 남주작산으로 올라가고(14:13)

 

 

 

 

 

 

 

 

 

 

 

 

 

작천소령과 주작산 덕룡봉이 한눈에 쏙

 

 

 

 

 

 

 

 

 

 

 

 

 

 

 

 

 

여러 갈래길이 만나고 또 헤어지는 작천소령,

널따랗고 펑퍼짐한데다 이런저런 이정표도 많은데,

덕룡산(서봉) 4.7km를 가리키는 쪽으로 올라가고(14:20)

 

 

 

 

 

 

 

 

 

 

 

 

 

 

 

 

 

 

 

돌아본 작천소령과 해남공룡능선

 

 

 

 

 

 

 

 

 

 

 

 

 

 

 

 

 

이윽고 주작산이란 정상석이 세워진 475m봉으로 올라서자,

이정표에는 주작산 덕룡봉 정상으로 되어 있고,

주작산 428m란 정상석이 있는 남주작산이 주작산 주봉이며,

지도엔 여긴 이름조차 없는 475m봉이요,

주작의 머리라는 남주작산을 주작산이라 표기하고 있지만,

요 부근의 산줄기에선 가장 높은 봉우리임엔 틀림없지 아니한가?

어관봉에 설치한 주작산에서 바라본 다도해 해상 전경에서도,

강진군 북일면과 해남군 신전면에 걸쳐 있는,

475m봉을 주작산이라 하지 않았던가? (14:42 - 14:45)

 

남주작산

 

 

 

 

 

두륜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