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 둘레길

흩날리는 눈발과 함께한 동의보감 둘레길

큰집사람 2015. 12. 16. 19:28

* 날    짜 : 2015년 12월 16일(수요일)

* 날    씨 : 흐리고 눈

* 산 행 지 : 동의보감 둘레길(동의보감촌 - 류의태약수터 - 쌍재 - 신정마을 - 동의보감촌)

* 산행거리 : 17.39km

* 산행시간 : 5시간 13분(운행시간 4시간 35분 + 휴식시간 38분)

* 산행속도 : 보통 걸음

* 산행인원 : 1명(나 홀로) 

 

 

 

 

 

 

* 산행일정

10:55          산청군 금서면 특리 동의보감촌 불로문

11:08          동의보감촌 신연당루

11:18          왕산 등산로 갈림길

11:19          휴롬인재개발원 갈림길

11:27          임도 갈림길

11:34          취수원

11:38          2009 임도시설 신아지구(0.7km) 표지석

11:55          사각쉼터

12:00          망경대왕산 - 구형왕릉 등산로 갈림길

12:02          임도 삼거리(구형왕릉 갈림길)

12:05          구형왕릉 갈림길(류의태약수터 - 구형왕릉 지름길)

12:13 - 12:16  류의태약수터 입구 삼거리

12:17          산청 왕산사지 갈림길 

12:18 - 12:28  산청 왕산사지(수정궁터)

12:29          산청 왕산사지 갈림길

12:32 - 12:46  류의태약수터

12:49          산청 왕산사지 갈림길

12:50          류의태약수터 입구 삼거리

13:15          화계임도 갈림길

13:24          94 임도시설 금서면 자혜 - 자혜(2.60km)

13:34          외딴집

13:44 - 13:48  지리산 둘레길 갈림길

14:00 - 14:04  쌍재

14:18          향양마을 갈림길

14:39          99 임도시설 향양지구(0.90km) 표지석

14:42          필봉산 - 신정마을 등산로 갈림길

14:46          염소막

14:52 - 14:55  사각쉼터(신정마을 외딴집)

15:11          하양마을 갈림길

15:32          너덜지대

15:49          강구산 등산로 갈림길

15:53          필봉산 등산로 갈림길

16:01          본디올한의원 앞

16:08          동의보감촌 불로문  

 

 

 

 

 

 

 

 

 

 

 

 

 

 

 

눈발이 휘날리는 산청군 금서면 특리 동의보감촌 불로문에서,

왕산 - 필봉산 - 강구산 자락을 휘도는 동의보감 둘레길 탐방에 나서는데,

동의보감촌에서 류의태약수터 입구 - 쌍재 - 신정마을 외딴집까지는 임도요,    

신정마을 외딴집에서 동의보감촌까진 산길이 이어지는 17.39km의 동의보감 둘레길,

 지난 12월 8일 왕산 - 필봉산 - 강구산을 잇는 원점산행을 하면서 눈도장을 찍었으니,

올해가 가기 전에 그 숙제를 해야겠단 마음에서 다시 찾은 셈인데,

때맞추어 눈까지 내리니 이 또한 어찌 좋다하지 않을 수 있으랴?

딱 절반은 아니지만 동의보감 둘레길에선 한몫을 단단히 하는,

동의보감촌 불로문에서 신정마을을 경유하는 쌍재(7.12km)가 아닌,

류의태약수터를 경유하여 쌍재(10.27km)로 가는 길로 나서기로 하고(10:55)   

 

 

 

 

 

 

봉화산이 희미하게 보이고

 

 

 

동의보감촌 불로문에서 류의태약수터와 구형왕릉 쪽으로 출발

 

 

 

 

 

 

 

 

 

 

 

 

 

 

 

 

 

 

 

 

 

 

 

 

 

 

 

산청한의학박물관

 

 

 

 

 

 

 

 

 

 

 

 

 

 

 

 

 

 

 

 

 

 

 

 

 

 

 

 

 

 

 

 

 

 

 

신의진주유공의태제단

 

 

 

 

 

 

 

산청약초관

 

 

 

 

 

 

 

 

 

 

 

신연당루에서 전망대 휴게소 쪽으로,

동의보감촌 불로문 1.14km·여우재 2.12km요,

구형왕릉 3.93km·류의태약수터 4.40km를 가리키고(11:08)

 

 

 

 

 

 

 

 

 

 

 

 

 

 

 

 

 

 

 

 

 

 

전망대 휴게소

 

 

 

전망대 휴게소 뒤 삼거리에서 오른쪽으로,

2006 임도시설 특리 - 화계지구(0.94km) 표지석이 있는 곳이고(11:11)

 

 

 

 

 

 

 

 

 

 

왕산 등산로 갈림길,

망바위를 거쳐 작은왕산과 왕산으로 이어지며,

동의보감촌 불로문 1.54km·왕산 정상 2.41km요,

구형왕릉 3.53km·류의태약수터 4.00km·쌍재 8.73km를 가리키고(11:18)

 

 

 

 

 

 

휴롬인재개발원 갈림길(11:19) 

 

 

 

휴롬인재개발원

 

 

 

 

 

 

 

한방 둘레길이란 예전 이정표가 서 있는 임도 갈림길,

구형왕릉 2.8km·류의태약수터 3.1km로 0.3km 차이지만,

동의보감 둘레길 이정표에는 0.3km가 아닌 0.47km가 차이나는데,

아무래도 최근에 설치한 이정표가 맞지 않을는지?(11:27)

 

 

 

 

 

 

 

 

 

 

 

 

 

 

 

 

 

 

취수원(11:34)

 

 

 

 

 

 

 

취수원 부근에서 바라본 봉화산

 

 

 

 

 

 

 

2009 임도시설 신아지구(0.7km) 표지석,

휘날리던 눈발은 이제 거의 그쳤고(11:38)

 

 

 

 

 

 

 

 

 

 

한동안 이어지는 오르막길을 따라 다다른 사각쉼터,

이제부턴 내려가는 건 어쩌면 당연한지도,

처음 만나는 쉼터지만 그냥 지나치기로 하는데,

동의보감촌 불로문에서 꼭 1시간이 걸렸나?(11:55) 

 

 

 

 

 

 

 

 

 

 

임도를 가로질러 구형왕릉과 왕산으로 이어지는 등산로 이정표,

동의보감촌 불로문 4.52km·류의태약수터 1.02km·쌍재 5.75km요,

구형왕릉 0.55km·망경대 1.01km·왕산 3.00km·필봉산 4.15km를 가리키고(12:00)

 

 

 

 

 

 

 

 

 

 

구형왕릉 갈림길인 임도 삼거리 이정표,

동의보감촌 불로문 4.60km·구형왕릉 0.54km요,

류의태약수터 0.94km·쌍재 5.67km를 가리키고(12:02)

 

 

 

 

 

 

임도 삼거리에서 3분 남짓 갔을까,

또 하나의 구형왕릉 갈림길이 나오는데,

여기선 임도가 아닌 산길을 따라 구형왕릉으로 이어지며,

류의태약수터와 구형왕릉을 잇는 지름길이기도 하고(12:05)

 

 

 

 

 

 

류의태약수터 입구 삼거리,

멀지 않은 왕산사지와 류의태약수터를 둘러보고 오기로 하는데,

구형왕릉 1.18km·쌍재 5.03km·산청 왕산사지 120m요,

류의태약수터 0.30km·왕산 2.38km·필봉산 3.23km를 가리키고(12:13 - 12:16)

 

 

 

 

 

 

가까운 부도를 둘러보고

 

 

 

 

 

 

 

산청 왕산사지 갈림길,

조금 오른쪽에 자리 잡은 왕산사지를 둘러보고선,

돌계단을 따라 류의태약수터로 가기로 하고(12:17)

 

 

수정궁터라고도 부르는 산청 왕산사지,

이리저리 다니면서 옛 추억을 더듬어보기도 하고(12:18 - 12:28)

 

 

 

 

 

 

 

 

 

 

 

 

 

 

 

 

 

 

 

 

 

 

 

 

 

 

다시 왕산사지 갈림길로 돌아와,

이번엔 돌계단을 따라 류의태약수터로 오르고(12:29)

 

 

3분 남짓 갔을까,

119 왕산 1지점인 류의태약수터 바로 아래 삼거리에 이르는데,

류의태약수터 0.02km·망경대 1.1km요,

왕산 2.9km·구형왕릉 1.4km를 가리키고(12:32 - 12:46)

 

 

 

 

 

 

 

 

 

 

마침내 그 모습을 드러내는 류의태약수터,

여길 들른 지도 꽤나 오래되지 않았을까?

 

 

 

 

 

 

 

 

 

 

 

 

 

 

 

 

 

 

 

 

 

 

 

 

 

 

 

 

 

 

수많은 표지기에다 내 것도 하나 더하고

 

 

 

 

 

 

 

철철 나오는 약수와 더불어 고구마를 먹고선,

류의태약수터를 뒤로하고

 

 

다시 류의태약수터 입구 삼거리로 돌아와,

동의보감 둘레길과 함께하는 임도를 따라 쌍재로 떠나고(12:50)

 

 

그럴싸한 계곡이 나오기도 하고(12:58)

 

 

 

화계로 이어지는 임도 갈림길 이정표,

쌍재 3.03km·류의태약수터 입구 2.00km를 가리키고(13:15)

 

 

 

 

 

 

 

 

 

 

94 임도시설 금서면 자혜 - 자혜(2.60km, 13:24)

 

 

 

쌍재 - 왕릉이란 이정표와 깔끔한 계곡이 날 반기고(13:33) 

 

 

 

 

 

 

 

동의보감 둘레길에선 처음 만나는,

조망이 살짝 열리는 아담한 외딴집을 지나고(13:34)

 

 

 

 

 

 

 

 

 

 

쌍재와 상사폭포를 잇는 지리산 둘레길에 합류하는데,

쌍재까진 지리산 둘레길과 동의보감 둘레길이 함께하는 셈으로,

쌍재 0.62km·쌍재 경유 동의보감촌 불로문 7.94km요,

류의태약수터 4.51km·구형왕릉 5.39km·동의보감 불로문 9.45km이고,

지리산 둘레길 이정표는 수철 6.6km·동강 5.3km를 가리키고(13:44 - 13:48)

 

 

 

 

 

 

 

 

 

 

 

 

 

 

 

 

 

 

 

 

 

 

 

 

 

 

쌍재(쌍재동) 삼거리,

금서면 수철리 수철마을과 방곡리 방곡마을을 오가는 길가에 있었다는 쌍재마을,

1960년대 - 1970년대엔 26가구가 살던 석씨(石氏) 집성촌이었다고 하며,

지리산 둘레길은 수철 6.1km·동강 5.8km를 가리키는데,

한동안 잠잠하던 눈발이 다시 휘날리기 시작하는 걸.(13:55)

 

 

  

 

 

 

 

 

 

 

동의보감 둘레길은 포장임도와 비포장임도가 되풀이되고 

 

 

 

저 모퉁이를 돌면 쌍재이고

 

 

 

잠깐이나마 함께했던 지리산 둘레길과 헤어지는 쌍재,

큰재 또는 바람재라고도 부르는 쌍재는 사거리인데,

왕산과 지리산 둘레길인 고동재로 이어지는 건 산길이요,

동의보감 둘레길은 비포장임도가 이어지며,

동의보감촌 불로문 7.12km·류의태약수터 경유 동의보감촌 불로문 10.27km요,

류의태약수터 5.33km·구형왕릉 6.21km이고,

지리산 둘레길은 동강 6.2km·수철 5.7km를 가리키고 (14:00 - 14:04)

 

 

 

 

 

 

 

 

 

 

  

 

 

 

 

 

 

 

왕산으로 이어지는 길이고

 

 

 

고동재로 이어지는 길이고

 

 

 

쌍재로 올라왔던 길이고

 

 

 

쌍재에서 내려가는 길이고

 

 

 

돌아본 쌍재

 

 

 

희미하게나마 왕산이 그 모습을 드러내고

 

 

 

 

 

 

 

 

 

 

 

 

 

 

 

향양마을 갈림길,

동의보감촌 불로문 5.85km·쌍재 1.27km를 가리키고(14:18)

 

 

 

 

 

 

 

 

 

 

 

 

 

 

 

 

 

 

눈발이 점점 잦아드는 가운데 필봉산이 그 모습을 드러내고

 

 

 

 

 

 

 

 

 

 

 

 

 

 

 

(14:25)

 

 

 

두 개의 계곡이 가까이서 나란히(14:28)

 

 

 

 

 

 

 

또다시 눈발이 휘날리고(14:35)

 

 

 

희미하게나마 지막마을이 보이고   

 

 

 

99 임도시설 향양지구(0.90km) 표지석(14:39)

 

 

 

억새지대에서 만나는 필봉산 등산로 입구,

신정마을과 필봉산으로 이어지는 것이긴 하지만,

상태로 봐선 오가는 이들이 거의 없는 것 같고,

부근에 필봉산 1km라는 낡은 이정표가 보일 뿐이고(14:42) 

 

 

 

 

 

 

신정마을 - 필봉산 1km 및 하양 - 쌍재를 가리키는 이정표 

 

 

 

 

 

 

 

염소막이 나오기도 하고(14:46)

 

 

 

억새지대 위엔 필봉산과 강구산을 잇는 산줄기가 보이고

 

 

 

 

 

 

 

여태까지 쭉 함께하던 임도와 헤어지는 사각쉼터와 신정마을 외딴집,

포장임도는 외딴집을 지나 신정마을로 이어지고,

동의보감 둘레길은 쉼터와 외딴집 사이의 나무계단을 따라 산으로,

강구산 아래를 휘도는 산길이 동의보감촌까지 이어지는데,

별스레 힘들거나 어려움도 없는 비교적 수월한 편이며,

동의보감촌 불로문 3.73km·쌍재 3.39km를 가리키고(14:52 - 14:55)

 

 

 

 

 

 

 

 

 

 

밤머리재가 살짝 드러나는 가운데,

도토리봉은 끝내 그 모습을 보이질 않고

 

 

 

 

 

 

 

 

 

 

 

 

 

 

호젓한 숲길이 이어받는 가운데  

 

 

 

대나무밭을 지나기도 하고(15:01)

 

 

 

 

 

 

 

 

 

 

 

 

 

 

 

쉼터를 지나자마자 포장임도로 내려서고(15:10)

 

 

 

 

 

 

 

 

 

 

 

포장임도로 내려서서 10m쯤 가다,

포장임도 아래로 이어지는 동의보감촌 둘레길로 내려서고

 

 

 

 

 

 

 

 

 

 

 

 

 

 

포장임도에서 내려서자마자 하양마을 갈림길인데,

동의보감촌 2.83km쌍재 4.29km를 가리키고(15:11)

 

 

2분쯤 뒤 또 하나의 하양마을 갈림길을 거쳐,

포장임도 아래 자그마한 계곡의 비스듬한 바위지대를 지나고(15:17)

 

 

너덜지대가 나오기도 하고(15:32)

 

 

 

 

 

 

 

 

 

 

 

너덜지대에서 바라본 경호강과 그 뒤 황매산 일대

 

 

 

동의보감 둘레길 가운데선 가장 험난한,

제법 가파른 돌계단이 이어지는 곳이고(15:43)

 

 

 

 

 

 

동의보감 둘레길과 강구산으로 이어지는 길이 만나는,

지난 12월 8일 강구산에서 내려오면서 단 표지기가 주인을 반기는데,

사진이 시원찮게 나오는 바람에 몇몇은 그때의 사진으로 대체하고(15:49)

 

 

 

 

 

 

 

 

 

 

동의보감 둘레길과 만나는 필봉산 갈림길,

강구계곡을 따라 119 왕산 5지점 안부로,

더 가면 필봉산과 왕산으로 이어지며,

동의보감촌 불로문 0.32km·쌍재 6.80km·필봉산 2.12km를 가리키니,

동의보감 둘레길 탐방도 이제 거의 끝나가는 셈이고(15:53)

 

 

 

 

 

 

 

 

 

 

나무다리(15:58)

 

 

 

출렁다리(15:59)

 

 

 

 

 

 

 

본디올한의원 앞(16:01)

 

 

 

 

 

 

 

 

 

 

 

 

 

 

 

 

 

 

 

 

 

 

 

 

 

 

 

 

 

 

 

 

 

 

 

 

 

 

 

떠날 때와 마찬가지로 제법 눈발이 휘날리는 가운데,

동의보감촌 불로문에서 걸음을 멈추면서 동의보감 둘레길 탐방을 마무리하는데,

별스레 좋지도 않은 날씨라 그다지 보이는 것도 없어 아쉬웠지만,

 이 길을 눈을 맞으며 걸어보는 것 또한 그렇게 쉬운 일은 아니리란 마음으로,

나랑 14년 6개월을 함께한 늙수그레한 싼타모에 오른다.

 그리곤 떠난다.

진양호 노을빛이 참 고운 내 사는 진주로(1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