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바래길

남해바래길 9코스(구운몽길)

큰집사람 2025. 4. 13. 20:56

 

 

 

* 날      짜 : 2024년 6월 9일(일요일)

* 날      씨 : 흐리고 구름 많음

* 산  행 지 : 남해바래길 제9코스(구운몽길)

* 산행거리 : 17.6km

                   천하마을 - 1.2km - 금포 - 2.4km - 상주해변 - 4.1km - 대량-

                       2.8km - 두모 - 2.0km - 벽련 - 2.9km - 원천항 - 2.2km -  

                      남해바래길탐방안내센터

* 산행시간 : 6시간 50분(운행시간 4시간 36분 + 휴식시간 2시간 14분)

* 산행속도 : 보통 걸음

* 산행인원 : 7명(황의봉, 이영근, 유달수, 이완희, 정현영, 강동섭, 조광래)

 

 

 

 

 

* 산행일정

09:30              남해군 미조면 송정리 천하마을 버스정류소

09:35              천하리경로당(천하리사무소)

09:40              천하마을 표지석 

09:47              남해군 상주면 상주리 금포마을회관

10:01              바람골 횡단

10:13              군부대 정문 입구

10:18              해수욕장 내려가는 길(상주은모래비치 갈림길)

10:25              남해군 남면 상주리 상주중학교 

10:31              상주은모래비치 통합사무실 

10:36              상부은모래비치 오토캠핑장      

10:38              금전2교

10:46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입구

10:53              상주하수종말처리장

11:03 - 11:33  나무의자쉼터(바닷가 전망대)

11:50 - 11:58  대량마을 공원묘원 표지석

12:17              남해군 상주면 양아리 대량동마을회관

12:29              대량마을(큰양아) 표지석 

12:38              남해군 상주면 양아리 소량마을 버스정류소(소량마을 표지석)

12:49              남해군 상주면 양아리 오지방고개

12:54              양아공원묘원 표지석

12:57              남해군 상주명 양아리 두모마을 버스정류소

13:04 - 13:09  두모마을 야영장(두모관광교)  

13:40 - 14:45  남해군 상주면 양아리 벽련마을(서포밥상) 

15:25 - 15:33  남해군 이동면 신전리 원천횟집 삼거리 

15:36 - 15:44  원천마을 쉼터 

16:01              남해군 이동면 신전리 신전교

16:05 - 16:15  신전앵강다숲 야영장 삼거리

16:20              남해군 이동면 신전리 남해바래길탐방안내센터

                       (남파랑길여행지원센터)

 

 

 

 

* 코스개요

구운몽길은 소설 ‘구운몽’의 저자인 서포 김만중의 유배지였던

노도를 보며 걷는 구간이 많아 명명되었다.

천하~금포~상주~대량~소량~두모~벽련~원천 바닷가 마을을 잇는 길이다.

지금의 찻길이 생기기 전에 마을 주민들이 걸어서 이동하던 옛 오솔길을 걷는다.

한려해상국립공원 지역에 포함되는 만큼 매우 아름다운 경관이

내내 걷는 이들을 쫓는다.

벽련부터 원천까지는 과거의 옛길이 멸실되어 찻길 옆을 걷게 되므로

반드시 한 줄로 주의해서 걸어야 한다.

이길은 아름다운 앵강다숲을 지나 남해바래길탐방안내센터에서 마무리 된다.

 

 

 

 

 

 

 

 

 

 

남해군 미조면 송정리 천하마을 버스정류소,

남파랑길 40코스 종점이자 41코스 시점이요,

남해바래길 7코스(화전별곡길) 종점이자 8코스(섬노래길) 시점과 종점이며,

9코스(구운몽길)가 시작되는 시점이기도 한데,

상주면과 미조면의 경계 지점에 자리 잡은 천하마을,

송정솔바람해변과 상주해수욕장 사이에 위치한 천하몽돌해수욕장으로 유명하고,

KBS 2TV 드라마 <상두야 학교 가자>의 촬영지로 잘 알려져 있다.

지금도 '내아래'라고 불리고 있는 마을 이름의 유래는,

명산 금산에서 뻗어 내린 쇳개골(金浦)과 내래골(川下) 계곡에서 흘러내린 물이

하천을 이루어 사철 풍부한 두 개의 수원지를 만든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지난 5월 12일 8코스(섬노래길)에 이어 9코스(구운몽길)를 진행하기로 하는데,

 지난밤에 내리던 비가 그친 하늘은 잔뜩 찌푸린 시어머니 얼굴상,

오히려 이런 날이 더 바래길 걷기에 안성맞춤이라고나,

이동면 신전리 소재 남해바래길탐방안내센터까지 이어지는 9코스를 따라 

자, 이제 출발!!!

 

 

 

 

 

국도 19호선 남해대로 횡단보도를 건너 천하몽돌해수욕장으로 나아가고 

 

 

 

천하리경로당(천하리사무소)

 

 

 

언제나 진실은 슬픔이었으나 무력하지 않고,

언제나 정의는 소수였으나 고독하지 않고,

언제나 희망은 무릎걸음이었으나 때늦지 않다.

 

설리스카이워크

 

금포마을 

 

천하마을 표지석,

미조면 송정리에서 상주면 상주리로 행정구역이 바뀌게 되고

 

인피니티사우스 오션풀빌라

 

 

 

 

 

테트라포드(Tetrapod, TTP)

 

돌아본 천하몽돌해수욕장 

 

금포마을 남파랑길 이정표,

시점 1.10km · 종점 14.4km를 가리키고

 

금포마을회관

 

 

 

 

 

돌아본 금포마을 

 

 

 

 

 

금포마을과 상주면 소재지로 이어지는 옛길을 따라가고

 

목도 

 

바람금골 물이 바다로 흘러들고 

 

 

목도 

 

 

 

 

 

 

 

 

 

 

 

 

 

군부대 정문 입구로 내려서서 진입도로를 따라가는데,

남파랑길 이정표는 시점 2.62km · 종점 12.88km를 가리키고

 

 

 

해수욕장 내려가는 길,

남파랑길 이정표는 시점 3.01km · 종점 12.49km를 가리키고

 

 

 

상주리 포구 해변도로,

남파랑길 이정표는 시점 3.03km · 종점 12.47km를 가리키고

 

 

 

 

상주은모래비치 뒤로 보이는 금산 

 

 

 

 

 

 

 

 

 

 

 

 

상주중학교 

 

 

 

상주은모래비치 통합사무실,

남해군에서 5억 8천 900만 원의 예산으로 2층 규모의 통합사무실을 지어

2010년 10월 16일 준공식을 했다는 걸.

 

 

 

 

 

 

상주은모래비치

상주은모래비치는 은빛 고운 모래로 이루어진 넓은 백사장,

울창하고 아름다운 소나무와 느티나무, 팽나무 숲,

한려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청정 옥빛 바다,

그리고 병풍처럼 둘러쳐진 남해 금산과

전국 3대 기도처인 보리암이 내려다보고 있는,

전국에서 몇 안 되는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간직한 해수욕장입니다.

 

1960년대 초반 개발, 1968년 한려해상국립공원 지정과 함께

전국적으로 대표적인 해수욕장으로 자리매김하면서

1970-80년대 전국의 대학생과 청년들이 낭만을 불태우는 장소였으며,

요즘에도 해마다 여름이 되면 수많은 피서객이 찾고 있고,

겨울에는 축구를 비롯한 각종 스포츠 전지훈련 팀들의

사랑을 받는 최적의 훈련지가 되었습니다.

또 계절에 구애받지 않는 뛰어난 경관으로

남해의 대표적인 사계절 관광지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이번 생은 처음이라, 2017>, ​<여신강림, 2021>,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아, 2022> 등의 TV 드라마와

영화 <빅토리, 2023>에서 낭만 가득한 해변씬을 찍었던 곳이기도 합니다.

2km에 이르는 반월형 백사장의 모래는

고운 은가루를 뿌려 놓은 듯 부드러워

마치 비단 위를 걷는 느낌이 듭니다.

잔잔한 물결, 비단결 백사장과 하모니를 이루는 송림과

활엽수림은 더위를 피할 수 있는 그늘을 만들어 주고

상쾌한 바람을 선사하는 휴식의 공간입니다.

바다는 기복이 없고 완만한 리아스식 경사를 이뤄

수심이 얕고 따뜻해서 어린이 물놀이에도 안성맞춤이며,

가까운 곳에 공장이나 양식장 같은 오염원이 없어서

바다 밑바닥 모래알을 헤아릴 수 있을 만큼 물이 맑고 깨끗합니다.

 

상주은모래비치 오토캠핑장,

우회전하여 캠핑장을 가로질러 금전2교로 나아가고

 

 

 

 

 

 

 

 

 

 

 

 

 

 

 

 

 

 

 

 

금산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입구

 

 

 

상주방파제와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그 뒤엔 망산과 설리스카이워크가 보이고  

 

망산과 설리스카이워크

 

상주 하수종말처리장

 

 

 

상주로 아스팔트도로가 끊어지면서,

왼쪽으로 대량마을로 이어지는 옛길이 시작되는데,

남해바래길 이정표는 상주은모래비치 1.44km · 대량 2.3km요,

남파랑길 이정표는 시점 5.27km · 종점 10.23km를 가리키고 

 

 

 

 

 

 

 

 

 

산불암산(219.8m)에서 흘러내리는 작은 계곡을 지나고

 

나무의자쉼터,

바닷가(왼쪽)로 몇 발짝 들어가자 멋진 전망대가 나타나는데,

눈요기와 더불어 막걸리와 매실주로 컬컬해진 목을 축이고 가고 

 

 

 

 

 

소삼여도

 

욕지도와 소삼여도

망산 

 

 

 

소치도 

 

 

 

 

 

 

 

 

 

콘크리트 포장임도에 접속,

 남해군 상주면 양아리 대량마을로 내려가고 

 

소치도 

 

대량마을 공원묘원 표지석과 쉼터,

처진 일행들을 기다렸다 같이 대량마을로 내려가는데,

남파랑길 이정표는 시점 6.56km · 종점 8.94km를 가리키고 

 

 

 

 

 

대량마을과 노도 

 

 

 

 

 

 

 

 

 

 

 

대량동마을회관 갈림길,

곧장 대량동마을회관으로 내려가지 않고,

좌회전하여 '상주로 560번길' 표지판이 붙어 있는

민가 오른쪽으로 난 길을 따라 팽나무쉼터로 진행하고 

 

대량마을 팽나무쉼터 

 

대량마을 포구

 

남해군 상주면 양아리 대량동마을회관,

약 400여 년 전 경기도 임진강가의 양아리에서 살던 사람들이

이곳으로 이주하여 살게 되었는데,

양아리라는 지명을 이곳에서도 그대로 부르게 되었으며,

양아리에서 큰 마을이라 하여 대양아(大良阿)라 부르다가 대량(大良)이라 하게 되었는 걸. 

 

 

 

대량마을 버스정류소를 지나,

급경사가 이어지는 상주로를 따라 올라가자,

남파랑길 이정표 시점7.64km · 종점7.86km을 가리키는데,

이제 거의 반 정도 진행한 셈인가? 

 

 

 

 

 

 

 

 

 

양아바다힐링센터 입구

 

 

대량마을(큰양아) 표지석,

상주로와 양아로가 갈리는 T자 삼거리에서 좌회전하여 내려가고

 

소량마을,

약 400여 년 전 경기도 임진강가의 양아리에서 살던 사람들이

이곳으로 이주하여 살게 되었는데,

양아리라는 지명을 이곳에서도 그대로 부르게 되었으며,

1953년 양아리에서 나누어진 작은 마을이 소량마을이 되었다는 걸.

소량마을 포구

 

 

 

 

소량마을 버스정류소 

 

 

 

소량마을 표지석 

 

 

 

소량마을 

 

 

 

 

 

오지방고개

 

양아공원묘원 표지석

 

두모포구와 두모마을

 

 

 

 

 

두모 버스정류소 삼거리,

 양아로에서 벗어나 좌회전하여 두모마을로 내려가는데,

남파랑길 이정표는 시점 9.72km · 종점 5.78km를 가리키고 

 

 

 

 

 

급경사 내리막길을 따라 양아로 525번길 해안도로로 내려서자,

좌회전은 두모포구요 남해바래길은 두모캠핑장 쪽으로 우회전해야 하고 

 

 

 

 

 

두모포구 

 

 

 

 

 

 

 

두모관광교,

두모마을 야영장을 지나자마자 두모관광교를 건너가고 

 

다시 한 번 금산과 눈을 맞추고 

 

 

 

 

 

 

 

 

 

 

 

 

 

 

 

 

벽련마을

 

 

 

 

 

 

 

벽련항 포구 

 

 

 

 

 

 

 

 

 

벽련마을에 자리 잡은 서포밥상,

이미 점심때가 좀 지났는지라 민생고를 해결하고 가기로 하는데,

오늘 새벽에 나가 잡아왔다는 전어무침과 생선매운탕으로 배부르게 먹으니,

시장이 반찬이란 말과 맛깔스런 음식맛이 어우러지면서 궁합이 맞았다고나?

 

벽련마을회관 

 

 

 

돌아본 벽련마을 

 

벽련마을과 노도 

노도 

 

국도 19호선 남해대로로 오르자,

벽련마을 표지석과 노도마을 표지석이 나란히 서 있으며,

남파랑길 이정표는 벽련 0.3km · 원천포구 2.3km를 가리키고,

여기서부터 원천횟집 삼거리까지는 국도 19호선을 따라가야 하는데,

쌩쌩 내달리며 오가는 차량 통행이 꽤 많은 국도인데다, 

갓길이 좁으므로 반드시 한 줄로 주의해서 걸으란 안내판이 세워져 있는 걸,

군데군데 보행자용 인도를 설치하는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이라 다행이라고나? 

 

 

 

 

 

 

 

 

 

 

 

 

상주면과 이동면이 갈리는 표지석,

이제부터 상주면 양아리를 벗어나 이동면 신전리로 들어가고

 

 

 

앵강만 뒤로 보이는 호구산(626.7m) 

 

앵강만휴게소(행복플러스25편의점)

 

 

 

 

 

 

 

 

원천 버스정류소 

 

 

 

원천횟집 삼거리,

남파랑길 이정표는 벽련 2.6km · 원천 0.1km를 가리키며,

국도 19호선 남해대로에서 벗어나 좌회전하여 원천항으로 내려가야 하는데,

멋모르고 원천횟집을 지나 앞서간 일행들을 불러서 돌려세우는가 하면,

혹시라도 뒤에 처진 일행들이 똑같은 짓(?)을 저지를까 봐,

좀 기다렸다 다 같이 원천항으로 내려가고 

 

 

 

 

 

남해군수협원천위판장

 

 

 

 

 

원천마을 쉼터,

방풍림인 느티나무 군락지에 조성되어 있으며,

참새가 방앗간을 그냥 지나칠 수 없듯이,

멋진 쉼터가 유혹하는데 쉬어 갈 수밖에는 

 

 

 

 

 

 

 

 

 

금평어촌계 방파제

 

노랑카라반 

 

노랑고카트 

 

금평마을 소나무 방풍림

 

신전교,

금평천을 가로지르는 신전교 2개을 잇달아 건너가는데,

신전(薪田)마을은 옛날 밭이었던 이곳에 섶나무,

즉 작은 나무숲이 있었다 하여 신전이라 하였다 하고

 

 

 

 

 

 

앵강만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안내판,

갯게, 흰발농게, 기수갈고둥을 설명하고 있고

 

 

앵강만 석방렴

 

목단도,

그 뒤엔 남해바래길 10코스(앵강다숲길)에서 그 아래로 지나가게 될

도성산(305.2m), 망산(460.8m), 설흘산(481.7m), 응봉산(471.5m)  등이고

 

신전앵강다숲 야영장

 

신전앵강다숲 야영장 갈림길,

오른쪽으로 틀어 남해바래길탐방안내센터 방향으로 진행하고

 

 

 

 

 

 

 

 

 

 

 

 

 

남파랑쉼터 200m 표지목이 가르키는 방향으로 좌화전,

이제 9코스(구운몽길) 종점인 남해바래길탐방센터가 바로 코앞이고 

 

마침내 그 모습을 드러내는 남파랑길여행지원센터와 남해바래길탐방안내센터

 

 

 

 

 

 

 

남해바래길 안내판,

남해바래길 9코스(구운몽길)와

10코스(앵강다숲길) 및 11코스(다랭이지겟길)을 안내하고

 

남해바래길탐방안내센터 

 

남파랑길여행지원센터 

 

남해군 이동면 신전리 733-4(남해군 이동면 성남로 99)에 위치한 

남해바래길탐방안내센터와 남파랑길여행지원센터,

 남해바래길 9코스(구운몽길)가 끝나는 종점이요,

남해바래길 10코스(앵강다숲길)가 시작되는 시점이기도 한데,

오늘은 여기서 이제 그만,

남해바래길 10코스(앵강다숲길)는 7월 14일(일),

또는 상황에 따라 7월 7일(일) 진행할 예정이라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