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권 산행기

사근산성을 품은 수동 연화산

큰집사람 2020. 1. 9. 20:35

 

 

* 날    짜 : 2020년 1월 9일(목요일)

* 날    씨 : 구름 많음

* 산 행 지 : 수동면사무소 - 수동중학교 - 사근산성 - 연화산 - 수동초등학교 - 수동면사무소

* 산행시간 : 2시간 45분(운행시간 2시간 03분 + 휴식시간 42분)

* 산행속도 : 보통 걸음

* 산행인원 : 1명(나 홀로)  

 

 

 

 

 

 

* 산행일정

13:30          수동면사무소

13:32 - 13:35  화산서원

13:38          수동중학교 연화관 

13:44 - 13:52  연화산 등산로 1코스 입구

14:02          송전탑

14:20 - 14:30  사근산성 우물터(각시못)         

14:32          411.0m봉   

14:35          사근산성(사평 - 미륵골 갈림길 안부)

14:45 - 15:03  연화산(444.0m, △ 거창 26)

15:15          교항마을 갈림길

15:17          미륵골 갈림길

15:35          분덕마을 갈림길

15:37          염불지 갈림길

15:46          송전탑

15:55 - 15:58  연화산 등산로 2코스 입구

16:09          미동마을회관

16:15          수동면사무소

 

 

 

 

 

 

 

 

 

 

 

 

 

 

함양군 수동면 화산리에 위치한 수동면사무소,

면적 49.09, 인구 2,467(20176월 현재)의 수동면(水東面)

화산리(花山里) · 원평리(院坪里 ) · 내백리(內栢里) · 상백리(上栢里) · 하교리(下橋里) ·

도북리(道北里) · 죽산리(竹山里) · 우명리(牛鳴里) 8개 리(里)가 있으며,

본래 함양군 지역으로 사근산성의 이름을 따서 사근면(沙斤面)이라 하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도북면(道北面)과 모간면(毛看面), 백토면(柏吐面) 일부를

병합하여 남계천의 동쪽이 되므로 수동면으로 개칭하였다.

면의 서부에 승안산(昇安山, 385m)과 연화산(蓮花山, 443m),

북부에 골무산(鶻舞山, 551m) 등이 솟아 있고,

대부분의 지역이 해발 200 400m의 산지로 이루어져 있다.

남계천의 지류가 면의 중앙을 남서류하여 남부에서 남계천에 합류하며,

남계천이 서부 경계를 따라 남류하고 있다  

수동면사무소에서 사근산성과 연화산을 돌고 오는 원점산행,

아무리 낮이 짧은 한겨울이라도 하루해를 보내기엔 무리겠지만,

별스레 바쁜 일이 있는 것도 아니니 서두를 것도 없이 다녀온다면,

아무려면 한나절 소일거리 정도야 될 수 있지 않을까?

 

 

 

 

 

 

수동면사무소에서 수동길로 30m쯤 갔을까,

정화미용실 앞 삼거리에서 수동내동길을 따라 화산서원과 수동중학교 쪽으로 올라가고

 

 

수동교회 앞 삼거리,

수동초등학교와 수동교회 쪽은 돌아올 때의 몫으로 돌리고,

화산서원과 수동보건지소 및 수동중학교로 곧장 나아가고

 

 

화산서원 갈림길,

수동보건지소와 수동중학교 쪽으로 올라가야 하지만,

가까이 있는 화산서원을 그냥 지나칠 수 없는 걸 어쩌랴?

눈앞엔 연화산 일대의 산줄기가 펼쳐지고

 

 

화산서원(華山書院),

1860년 유림들이 발론으로 산청군 금서면 화계리에 강서사를

건축하려고 발의하였으나 고종 때 서원 훼철령이 있어서 건축하지 못하고,

1966년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회헌 임대동을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함양군 수동면 화산리에 화산사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가,

1988년에 화산서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1999년 봄에 회암 임종인과 남계 임희무의 위패를 모셨다.

함양군에서 10억원을 들여 2016년 3월 11일 복원 준공식을 가졌다는데,

대문이 잠겨 있는 바람에 들어갈 수가 없어 아쉬웠다고나?

 

 

심원문(尋源門)

 

 

 

 

 

 

 

 

 

 

 

 

 

 

 

화산서원에서 수동보건지소로 나와 바로 앞 수동중학교로 올라가고

 

 

 

수동중학교 정문,

오른쪽으로 틀어 연화관 쪽으로

 

 

 

 

 

 

 

 

 

 

 

 

 

 

 

 

 

 

연화관

 

 

 

 

 

 

 

수동중학교와 수동초등학교 사이의 연화산길을 따라 올라가고

 

 

 

 

 

 

 

 

 

 

 

 

 

 

 

수동어린이집 앞 삼거리,

먹지 말라는 옛 샘터가 있으며,

수동어린이집 아닌 국도 3호선 굴다리로 올라가고

 

 

알림

이 물은 함양군의 수질검사 결과 먹는 물로서 부적합하여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으니

사용을 금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수동어린이집

 

 

 

 

 

 

 

 

 

 

 

 

 

 

 

 

 

 

 

국도 3호선 굴다리,

연화산 등산로 안내도가 보이고

 

 

 

 

 

 

연화산 등산로 입구,

굴다리를 지나자마자 승용차 몇 대는 주차할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연화산 등산로 안내도와 등산로 입구를 가리키는 표찰이 서 있는데,

1코스(1.2km)로 해서 연화산을 올라 2코스(2.8km)로 내려올 거고

 

 

 

 

 

 

 

 

 

 

사근산성 면적이 116,909km²라는데,

둘레가 자그마치 1,218km?

1,218m가 아닐까?

 

 

 

 

 

 

170계단이던가?

 

 

 

 

 

 

 

 

 

 

 

 

 

 

 

송전탑,

 154,000KVA라던가?

 

 

 

 

 

 

 

 

 

 

 

 

 

 

등산로가 둘로 나뉘는데,

1분 뒤 다시 만나자마자 또다시 둘로 나뉘고

 

 

 

 

 

 

둘로 나뉜 등산로가 만나 다시 하나가 되고

 

 

 

 

 

 

 

 

 

 

 

 

 

 

 

 

 

 

 

성터가 보이고 그 사이로 난 길로 능선으로 올라서자 삼거리이고,

왼쪽에서 합류하는 뚜렷한 길과 만나 20m 가까이 가자 또 삼거리,

어디로 가든 이따가 사근산성 바로 위에서 만나게 되지만,

바로 앞에 있는 우물터인 자그마한 웅덩이인 각시못으로 가고

 

 

 

 

 

 

 

 

 

 

 

 

 

 

 

 

 

 

 

 

 

 

눈 아랜 수동면 일대요,

그 뒤엔 화장산과 법화산이고

 

 

필봉산과 왕산

 

 

 

 

 

 

 

 

 

 

 

 

 

 

 

사근산성(沙斤山城)

함양군 수동면 화산리 사근장터 뒤 연화산에 있는 돌로 쌓은 산성으로,   

조선시대 경상도 지방 14개의 역로(驛路)를 총괄하던 중심역인 사근역이 있었으며,

성을 쌓은 시기는 확실히 알 수 없으나,

산성의 규모와 이곳이 신라와 백제 사이의 분쟁지역이었다는 점으로 볼 때 

삼국시대에 쌓은 것으로 추측된다.

성은 부분적으로 무너졌으나 비교적 잘 남아 있는 편인데,

둘레는 1,218이고,

연화산의 지형에 따라 쌓은 <ㅏ>자형의 테뫼식 산성이다.

성벽은 네모난 가공석과 자연석을 약 5높이로

정연하게 어긋쌓기를 하였는데 밑바닥의 넓이가 5나 되며,

  1966년 9월 8일 사적 제152호로 지정되었다. 

 

 

사근산성 안부,

비포장임도가 끝나는 종점이요,

사평마을과 미륵골 갈림길이기도 한데,

이제부턴 2000년대 들어 복원한 사근산성이 쭉 이어지고

 

 

연화산 산불지기 아저씨의 트럭인 듯?

 

 

 

 

 

 

 

 

 

 

 

 

 

 

 

 

 

 

 

 

 

 

 

 

 

 

 

사근산성 복원공사(자료사진)

 

 

 

 

 

 

 

 

 

 

 

 

 

 

 

 

 

 

 

 

 

 

 

 

 

 

 

 

 

 

 

 

 

 

 

 

 

 

 

 

 

 

 

 

 

 

 

 

 

 

 

 

 

 

 

연화산 정상부,

아담한 정상석이 서 있고,

삼각점(거창 26)과 산불감시초소가 자리 잡고 있으며,

막힘없이 조망이 활짝 열리는 멋진 전망대이기도 한데,

그놈의 반갑잖은 미세먼지 때문에 선명하지 않아 아쉽긴 해도, 

 이곳저곳 돌아가며 눈요기를 하면서 한동안 머무를 수밖에는,

하기야 그러려고 일부러 여기까지 올라오지 않았던가?

 

 

 

 

 

 

 

 

 

 

 

 

 

 

 

 

 

 

함양읍

 

 

 

지곡면과 대봉산 일대

 

 

 

황석산과 기백산

 

 

 

기백산

 

 

 

월봉산과 황석산

 

 

 

 

 

 

 

 

 

 

 

 

 

 

 

 

 

 

 

 

 

 

 

 

 

 

 

황매산,

눈을 뒤집어쓰고 있고

 

 

 

 

 

 

웅석봉, 필봉산, 왕산

 

 

 

 

 

 

 

 

 

 

 

 

 

 

 

 

 

 

 

 

 

 

 

연화산을 뒤로하고

 

 

 

 

 

 

 

나무 사이로 보이는 함양수동농공단지

 

 

 

교항마을 갈림길 안부,

수동면 하교리 교항마을이고

 

 

미륵골 갈림길,

교항마을 갈림길 안부에서 올라선 봉우리로,

쉬었다 가라며 의자 2개가 놓여 있으며, 

미륵골로 뻗어 내린 지능선을 따라 내려가도 되긴 하지만,

2코스 들머리로 내려가자면 봉우리를 넘어가야 하고 

 

 

 

 

 

 

 

 

 

 

 

 

 

 

 

 

 

 

낙엽송 조림지대

 

 

 

분덕마을 갈림길,

수동면 화산리 분덕마을로 이어지는 길인데,

묵은 걸로 봐선 오가는 이가 거의 없는 듯하고

 

 

염불지 갈림길,

미륵골 하류 쪽으로 이어지는 듯?

 

 

 

 

 

 

 

 

 

 

송전탑

 

 

 

 

 

 

 

 

 

 

 

 

 

 

 

 

 

 

 

 

 

 

 

연화산 등산로 2코스 입구,

산줄기에서 벗어나 포장도로를 따라 국도 3호선 쪽으로 내려가고

 

 

 

 

 

 

 

 

 

 

 

 

 

 

 

 

 

 

 

 

 

 

 

 

 

 

 

 

 

 

 

 

 

 

 

 

 

 

 

 

 

 

 

 

 

 

 

 

 

 

수동면 화산리 미동마을회관

 

 

 

 

 

 

 

 

 

 

 

 

 

 

 

 

 

 

 

 

 

 

 

수동초등학교

 

 

 

 

 

 

 

 

 

 

 

 

 

 

 

수동교회

 

 

 

 

 

 

 

 

 

 

 

 

 

 

 

 

 

 

 

2시간 25분 만에 다시 돌아온 수동면사무소,

전혀 서두르지 않고 널널하게 가면서 즐기다 보니,

생각했던 것보다도 더 많은 시간이 걸리긴 했지만,

전혀 아깝단 생각이라곤 들지 않는 걸 보면,

나름대로는 만족한 산행이었을 듯,

차에 오른다.

그리곤 떠난다.

진양호 노을빛이 참 고운 내 사는 진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