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까치봉 - 용문산 - 닭지봉 - 닭지만당산 - 황룡산 - 삼필봉 - 대곡봉 이어가기
* 날 짜 : 2014년 4월 1일(화)
* 날 씨 : 맑음
* 산 행 지 : 119화원안전센터 - 까치봉 - 닭지봉 - 닭지만당산 - 황룡산 - 삼필봉 -
대곡봉 -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 - 119화원안전센터
* 산행시간 : 6시간 15분(운행시간 5시간 17분 + 휴식시간 58분)
* 산행속도 : 약간 빠른 걸음
* 산행인원 : 1명(나 홀로)
* 산행일정
08:20 대구 화원읍 명곡리 달성소방서 119화원안전센터
08:21 - 08:25 명곡미래빌 4단지 후문
08:34 제1쉼터
08:39 함박골 갈림길
08:43 제2쉼터
08:50 제3쉼터
08:52 원당지 갈림길
08:53 인흥서원 갈림길
09:05 제4쉼터
09:10 - 09:13 까치봉(299m, 제5쉼터)
09:17 제6쉼터(297m)
09:20 비포장임도(달성보 녹색길)
09:34 418m봉(지형도상 까치봉)
09:49 - 09:53 까치봉능선 첫 번째 전망대
10:03 - 10:08 까치봉능선 두 번째 전망대(최고 전망대)
10:10 - 10:13 화원자연휴양림 갈림길(전망대)
10:16 - 10:22 용문산(602m)
10:25 화원자연휴양림 주차장 - 기내미재 갈림길 사거리
10:32 용문 삼거리(기내미재 갈림길)
10:36 - 10:43 닭지봉(671m)
10:59 - 11:04 닭지만당산(687m)
11:14 골재 사거리(550m)
11:26 675m봉
11:37 - 11:40 옹달샘
11:50 장단이재 삼거리(555m)
12:06 - 12:13 황룡산(673m)
12:28 - 12:33 삼필산 전망대
12:43 도원공원 갈림길
12:45 - 12:48 삼필봉(468m)
12:52 도원공원 갈림길
12:53 대곡초등학교 - 마비정 갈림길
13:01 - 13:04 이필봉(421m)
13:12 윗한실못 갈림길
13:22 대곡봉(273.1m, △ 대구 480)
13:40 대구수목원 뒤쪽 쪽문 사거리
14:02 대진초등학교 뒤
14:13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
14:35 달성소방서 119화원안전센터
야근하는 날 낮시간을 이용하여 화원읍 명곡리 소재 달성소방서 화원119안전센터에서,
까치봉 - 닭지봉 - 황룡산 - 삼필봉 - 대곡봉 -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를 거쳐 제자리로 돌아오는,
첫길도 많은지라 어쩌면 좀은 무모한 것 같은 산행에 나서는데,
앞으로도 야근이나 또 비번일 때는 대구 부근의 산을 종종 찾을 것이고(08:20)
명곡 미래빌 4단지 후문에서 돌아본 달성소방서 화원119안전센터
명곡 미래빌 4단지 후문에 이르러,
이런저런 모습들을 담고선 본격적인 산행에 들어가고(08:21 - 08:25)
제1쉼터인 첫 봉우리로 올라서고(08:34)
첫 봉우리에서부턴 걷기 좋은 밋밋한 길이 이어지고
함박골 갈림길(08:39)
제2쉼터(08:43)
제2쉼터를 뒤로 하고
제3쉼터(08:50)
제3쉼터를 뒤로 하고
원당지 갈림길(08:52)
인흥서원 갈림길(08:53)
돌탑인지 돌무더기인지 둘을 지나고(08:59)
제4쉼터(09:05)
제4쉼터를 뒤로 하고
제5쉼터이기도한 까치봉(299m)에 이르고(09:10 - 09:13)
제6쉼터(09:17)
제6쉼터
달성보 녹색길인 비포장임도,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와 기내미재로 이어지고(09:20)
달성보는 15.9km를 가리키고
돌아본 비포장임도
지형도상 까치봉이라는 418m봉은 무덤이 차지하고 있으며,
희미한 갈림길은 마비정마을 입구 삼거리 부근으로 이어지는 것 같고(09:34)
(09:45)
조망이 살짝 열리는 까치봉능선 첫 번째 전망대에서,
목을 축이면서 눈요기를 하고(09:49 - 09:53)
첫 번째 전망대에서 돌아본 지나온 산줄기
얹힌바위(09:55)
까치봉능선에선 최고로 멋진 전망대,
이곳저곳 돌아가면서 둘러보자 눈이 즐겁고(10:03 - 10:08)
지나온 산줄기가 한눈에 들어오고
금계산과 함박산도 날 좀 보라 하고
앞산과 청룡산이 살짝 보이고
화원자연휴양림으로의 갈림길에 이르자,
그만 내려갈까 하는 마음이 들기도 했지만,
여태까지 온 것과 남은 것을 짐작하니 별스레 무리가 없을 것도 같기에,
처음에 마음먹은 대로 끝까지 밀어붙이기로 하고(10:10 - 10:13)
화원자연휴양림 갈림길 위 전망대
삼필봉과 황룡산 뒤엔 앞산과 청룡산이 들어오고
황룡산과 675m봉 뒤엔 최정산이 들어오고
아깐 소나무가 우거진 것 같던 용문산으로 올라가자 그게 아닌데,
크고 작은 각양각색의 바위들이 아름다움을 뽐내면서,
이곳저곳 조망이 활짝 열리는 멋진 전망대이고(10:16 - 10:22)
용문산을 뒤로 하고
안부 사거리,
화원자연휴양림 주차장과 기내미재 갈림길이고(10:25)
커다란 바위지대를 지나고(10:30)
커다란 바위지대에서 돌아본 용문산
기내미재 갈림길인 용문 삼거리(10:32)
우회하는 길이 더욱 뚜렷한 닭지봉으로 올라서서,
별스런 볼거리도 별스레 보이는 것도 없는 가운데,
목을 축이고 오렌지로 요기도 하고(10:36 - 10:43)
나무 표지기(김문암)에는 닭지봉 671m로 되어 있고
커다란 바위를 지나고(10:48)
이쪽에서 달리 보이고
비슬산 쪽으로 우회하는 길이 훨씬 더 뚜렷한 길을 마다하고,
산줄기를 따라 바로 치올라 닭지만당산에 이르는데,
이제야 비로소 앞산 - 청룡산 - 비슬산을 잇는 주능선에 합류한 셈이며,
가야 할 곳은 오른쪽의 비슬산이 아닌 왼쪽의 황룡산이고(10:59 - 11:04)
누군가 닭지만당산(670m)이라 해놨지만,
실제 높이는 687m라 하고
닭지만당산에선 가야 할 675m봉과 황룡산이 보이고
황룡산에서 내려갈 삼필봉이 보이고
675m봉 뒤엔 최정산이 보이고
(11:06)
(11:10)
골재 사거리,
이정표가 둘인 용문사(마비정)와 가창 정대 갈림길이고(11:14)
돌아본 골재 사거리
골재에서 쭉 이어지는 가풀막으로 펑퍼짐한 675m봉으로 올라서고(11:26)
(11:26)
(11:32)
깊은 산속 옹달샘,
목을 축이면서 물맛을 보고(11:37 - 11:40)
옹달샘 이정표
(11:42)
장단이재 삼거리,
정표가 둘이요 마비정 벽화마을 갈림길이고(11:50)
장단이재를 뒤로 하고
(11:53)
마비정 벽화마을 3.0km 이정표가 서 있는 곳에서,
오른쪽으로 돌아가는 길이 훨씬 더 뚜렷한데 비해 ,
산줄기를 따라 올라가는 건 좀은 희미한 편이지만,
황룡산을 우회하거나 직등하는 길이고(11:57)
오랜만에 조망이 살짝 열리는 자그마한 전망대,
내려갈 삼필봉이 보이고(12:02)
지난 3월 18일 청룡산에 앞서 밟았던 황룡산으로 올라서는데,
이제부턴 삼필봉능선을 따라 내려가는 비교적 수월한 길이 이어지니,
목을 축이고 요기를 하면서 떨어진 기력을 보충하고(12:06 - 12:13)
황룡산을 뒤로 하고
(12:27)
(12:27)
삼필산 전망대(12:28 - 12:33)
삼필산 전망대에서 바라본 대덕산과 앞산
삼필산 전망대에서 바라본 청룡산
삼필산 전망대에서 바라본 도원지와 상인동 일대
청룡산 53지점의 비스듬한 전망대(12:42)
비스듬한 전망대에서의 대덕산과 앞산
비스듬한 전망대에서의 청룡산
도원공원 갈림길(12:43)
삼필봉(12:45 - 12:48)
가야 할 산줄기와 화원읍 일대
대곡동 일대
생강나무
삼필봉을 뒤로 하고
바위 위에 쌓은 돌탑(12:49)
도원공원 갈림길(12:52)
대곡초등학교와 마비정 갈림길 안부를 지나고(12:53)
돌탑 둘이 잇달아 나타나고(13:00)
도원공원 갈림길인 이필봉,
일필봉(대곡봉)과 삼필봉 사이에 자리 잡고 있고(13:01 - 13:04)
이필봉에서 돌아본 삼필봉과 황룡산
비슬산으로 이어지는 지나온 산줄기가 보이고
(13:10)
달서 16지점
윗한실못 갈림길(13:12)
대곡봉 바로 아래 이정표(13:21)
일필봉이라고도 부르는 대곡봉,
삼각점(대구 480)과 자그마한 돌탑이 나란하고(13:20)
대곡봉에서 바라본 화원읍과 대곡동 일대
낮은 무덤이 자리 잡은 청룡산 27지점(13:32)
청룡산 27지점에서 바라본 상인동과 앞산 일대
청룡산 27지점에서 돌아본 이필봉
청룡산 27지점에서 20m 정도 내려서면 Y자로 된 갈림길인데,
왼쪽은 우회하는 길이요 오른쪽으로 1분이면 파묘 흔적이 있는 봉우리에 이르고,
1분쯤 내려서자 대구수목원으로 내려가는 뚜렷한 길 왼쪽으로 희미한 갈림길이 보이는데,
대구수목원을 사이에 두고 왼쪽 산줄기로 천수봉과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로 가자면,
왼쪽으로 틀어 20m 남짓 뒤 우회하는 길과 만나는 사거리에서 바로 내려서면 되지만,
그쪽은 3월 18일 올라왔던 곳이기에 이번엔 대구수목원 오른쪽 산줄기로 내려가기로 하고선,
대구수목원 뒤쪽의 쪽문 사거리에서 임도 같은 널따란 길로 올라가고(13:40)
자두나무
나무받침계단을 따라 펑퍼짐한 공터봉으로 올라서고(13:53)
펑퍼짐한 공터봉보다 조금 더 높은 것 같은,
커다란 무덤이 자리 잡은 마지막 봉우리를 지나고(13:55)
대곡동 대진초등학교 뒤로 내려서고(14:02)
삼성래미안 2차아파트
대곡 트윈빌 한솔동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14:13)
화천교(14:28)
아침에 떠난 달성소방서 화원119안전센터로 다시 돌아와,
대구에서의 제대로 된 세 번째 산행에 마침표를 찍으니,
이제 씻고선 좀 쉬다 야근을 하러 들어가면 되는데,
그 기간이 얼마가 될진 알 수 없지만 야근을 하는 동안은,
앞으로도 종종 아니 자주 이런 산행을 하게 될 것이니,
야근일은 말할 것도 없고 비번일의 반까지도.
내게 있어 야근이란 어쩌면 좋은 기회인지도 모른다.
피할 수 없으면 즐겨라고 하지 않았던가?(1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