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성저수지 탐방로와 연계한 여항산 둘레길
* 날 짜 : 2013년 2월 9일(토)
* 날 씨 : 구름 많음
* 산 행 지 : 좌촌마을 - 봉성저수지 - 둘레길 입구 - 감재고개 - 상별내 - 대촌마을 - 좌촌마을
* 산행거리 : 16.9km(봉성저수지 탐방로 2.9km + 여항산 둘레길 14.0km)
* 산행시간 : 4시간 30분(운행시간 4시간 05분 + 휴식시간 25분)
* 산행속도 : 약간 빠른 걸음
* 산행인원 : 1명(나 홀로)
* 산행일정
13:05 함안군 여항면 주서리 좌촌주차장
13:14 봉성저수지 탐방로 및 여항산 둘레길 이정표(봉성저수지)
13:30 - 13:35 봉성저수지 수위조절장치 앞 공터
14:00 - 14:07 여항산 둘레길 1구간 입구(단풍길 7.7km)
14:27 봉화산 · 서북산 등산로 갈림길
14:46 제1폭포
14:50 - 15:00 나무데크 전망대 쉼터
15:05 제2폭포
15:22 제3폭포
15:50 별천(버드내) · 감재고개 갈림길
15:51 감재고개
15:57 여항산 둘레길 2구간 입구(소나무숲길 3.2km)
16:10 보갑사 갈림길
16:14 - 16:17 약수터산장
16:23 서북산 등산로 갈림길 고갯마루
16:30 법륜사 갈림길
16:43 여항산 둘레길 3구간 입구(별내길 1.0km)
16:55 여항산 등산로 갈림길 고갯마루
17:08 여항산 둘레길 4구간 입구(치유의 길 2.1km)
17:15 사방댐
17:19 대촌마을
17:35 좌촌주차장
함안군 여항면 주서리 좌촌주차장,
설을 맞아 고향으로 간 김에 어정쩡한 시간을 이용하여,
지난해 개통한 여항산 둘레길과 봉성저수지 탐방로를 한꺼번에 걸어 보기로,
여항산이 내려다보는 좌촌주차장에서 봉성저수지로 내려서는데,
주어진 시간이 많지 않으니 어쩌면 무리일지도 모르지만,
부지런히 간다면 불가능한 것도 아닐 걸?(13:05)
좌촌주차장,
대촌마을 1.2km · 둘레길 입구 1.0km를 가리키고
봉성저수지 방면으로,
주차장 0.2km · 둘레길 입구 0.8km를 가리키고(13:08)
봉성저수지로 내려서자마자 갈림길이 나오는데,
여항산 둘레길은 봉화산 방면의 오른쪽이지만,
봉성저수지 탐방로를 따라 왼쪽으로,
주차장 0.5km · 둘레길 입구 0.5km를 가리키고(13:14)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322m봉
봉성저수지와 내 고향 함안면 강명리 강지골 앞산인 쇠덤산(420m)
봉성저수지와 봉화산
데크전망대(13:27)
꼭대기만 살짝 들어오는 서북산
수문 쪽으로 내려서고
수위조절장치 앞 공터(13:30 - 13:35)
퇴수로 위를 지나 저수지 둑으로(13:36)
함안면 강명리 일대(굴바대, 장명, 강지)
여항산
저수지둑에서 2차선 도로가의 둔덕으로 올라서고(13:46)
4차선 국도 79호선과 봉화산 등산로 부근의 미륵정사
도로가 아닌 그 아래로 붙어서 가고
물에 잠기지 않은 그전의 도로로 들어서고(13:50)
모퉁이를 돌아 봉화산이 보이는 곳에서 계단을 따라 도로로 올라가고(13:55)
2차선 도로로 올라서자 모퉁이를 돌면서 곡선을 그리고
가야 할 봉화산 방면과 주서교가 들어오고
좌촌마을과 여항산이 손짓이고
여항산 둘레길 1구간 입구,
주차장 1.0km를 가리키고(14:00 - 14:07)
여항산 둘레길 1구간 단풍길,
단풍길은 여항산 둘레길의 4구간 중 첫 번째 구간으로
7.7km의 임도길로 이루어져 있으며,
좌촌에서 시작되어 감재고개 입구까지 이어집니다.
봉성저수지와 조망데크 등 작은 쉼터들을 만날 수 있으며,
가을길이 더욱 아름다운 구간입니다.
여항산
봉화산
등산로,
봉화산 2.5km · 서북산 6.0km를 가리키고(14:12)
여항산 둘레길,
주차장 1.4km · 법륜사 8.6km를 가리키고(14:12)
봉화산
봉성저수지와 322m봉
큰너덜지대(14:20)
봉화산 · 서북산 갈림길,
봉화산 1.5km · 서북산 5.0km를 가리키고(14:27)
여항산 둘레길,
주차장 2.5km · 법륜사 7.5km를 가리키고(14:27)
봉화산 · 서북산 등산로 갈림길에서 1분쯤 갔을까,
콘크리트 포장임도가 비포장임도로 바뀌는데,
두세 군데 고갯마루에서 잠깐씩 포장된 곳이 나오긴 하지만,
감재고개까지 쭉 비포장임도가 이어지고
봉화산에서 발원되는 것으로 보이는 계곡의 제1폭포(14:46)
주차장 4.0km · 감재고개 3.7km · 법륜사 6.0km를 가리키고(14:47)
봉화산 아래 나무데크 전망대 쉼터,
주차장 4.1km · 감재고개 3.6km · 법륜사 5.9km를 가리키고(14:50 - 15:00)
봉화산
여항산
제2폭포(15:05)
잔너덜지대(15:13)
주차장 5.5km · 감재고개 2.2km · 법륜사 4.5km를 가리키고(15:18)
제3폭포,
그런대로 볼거리를 선사하지만 나무에 가려 좀은 아쉬운데,
몇 그루만 베어내더라도 결과는 달라질 것 같기도(15:22)
주차장 6.9km · 감재고개 0.8km · 법륜사 3.1km를 가리키고(15:35)
서북산과 여항산이 한눈에 들어오고
뾰족하게 솟은 여항산 갓바위
임도 삼거리,
봉화산과 서북산으로 이어지는 등산로 갈림길이며,
법륜사 2.8km · 주차장(봉화산방면) 7.2km를 가리키고(15:45)
봉화산과 대부산이 멋지게 들어오고
또 다른 임도 삼거리,
봉화산과 서북산으로 이어지는 등산로 갈림길이며,
법륜사 2.5km · 주차장(봉화산방면) 7.5km를 가리키고(15:50)
대부산과 603m봉
별천(버드내) · 감재고개 갈림길,
여항산 둘레길은 바로 이어지지만,
바로 위 감재고개를 그냥 지나칠 수 없어 갔다 오기로,
법륜사 2.3km · 주차장(봉화산방면) 7.7km를 가리키고(15:50)
낙남정맥이 지나는 감재고개 사거리,
비포장임도를 따라 여항산 둘레길로 비스듬히 내려가는데,
서북산 0.9km · 봉화산 2.6km · 버드내 1.5km · 미천 5.3km를 가리키고(15:51)
다시 만난 여항산 둘레길,
법륜사 2.25km · 주차장(봉화산방면) 7.75km를 가리키고(15:52)
여항산 둘레길 제2구간 소나무숲길,
소나무숲길은 여항산 둘레길의 4구간 중 두 번째 구간으로
3.2km의 산길로 이루어져 있으며,
감재고개 입구에서 시작되어 상별내까지 이어집니다.
법륜사와 작은 쉼터들을 만날 수 있으며,
특히 소나무숲길은 즐겁게 걸으면서
산림욕을 즐길 수 있는 건강한 구간입니다.(15:57)
쉼터가 자리 잡은 임도 끝지점으로 내려서자,
법륜사 1.3km · 상별내 2.2km · 보갑사 5.3km를 가리키는데,
보갑사 5.3km라는 건 아무래도 엉터리가 아닐까 하는,
보갑사 갈림길 이정표로 봐선 0.8km인 듯?(16:07)
중계탑이 서 있는 보갑사 갈림길,
법륜사 1.1km · 상별내 2.0km · 주차장 5.1km · 보갑사 0.6km를 가리키고(16:10)
중계탑 뒤로 들어오는 봉화산
약수터산장,
법륜사 0.7km · 상별내 1.6km · 주차장 4.7km를 가리키고(16:14 - 16:17)
봉화산과 대부산
약수터산장에서 올라선 고갯마루,
서북산 방면으로 이어지는 등산로가 있으며,
법륜사 0.3km · 상별내 1.2km · 주차장 4.3km를 가리키고(16:23)
약수터
법륜사 갈림길,
갈 길이 바빠 법륜사는 들르지 않은 채 내려서는데,
상별내 0.9km · 주차장 4.0km를 가리키고(16:30)
상별내 0.3km · 법륜사 0.6km · 주차장 3.4km를 가리키고(16:37)
여항산 둘레길 3구간 입구,
법륜사 0.9km · 주차장 3.1km를 가리키고(16:43)
여항산 둘레길 3구간 별내길,
별내길은 여항산 둘레길 4구간 중 세 번째 구간으로
1km의 산길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별내에서 시작하여 사방댐 입구(임도)까지 이어집니다.
가장 짧은 구간이지만
둘레길에서 등산로로 접어들 수 있는 가파른 구간입니다.
상별내
그늘이 지는 봉화산과 대부산
상별내 위에서 가파른 산길이 시작되는데,
상별내 0.3km · 법륜사 1.2km · 주차장 2.8km를 가리키고(16:47)
대부산과 603m봉
상별내에서 올라선 고갯마루,
여항산으로 이어지는 등산로가 있으며,
상별내 0.6km · 법륜사 1.5km · 주차장 2.5km를 가리키고(16:55)
임도로 내려서서 오른쪽으로 트는데,
왼쪽으론 차단시설이 되어 있고 닫혀 있으며,
상별내 1.0km · 법륜사 1.9km · 주차장 2.1km를 가리키고(17:01)
조망안내도,
여항산과 봉성저수지가 보이는 곳이고(17:06)
좌촌마을과 봉성저수지
여항산 둘레길 4구간 입구,
임도에서 벗어나 소나무숲길을 따라 사방댐으로 내려서며,
상별내 1.6km · 법륜사 2.5km · 약수터 1.0km · 주차장 1.5km를 가리키고(17:08)
여항산 둘레길 4구간 치유의 길,
여항산 둘레길의 4구간 중 마지막 구간으로
2.1km의 산길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방댐 입구(임도)에서 좌촌주차장에 이어집니다.
사방댐을 접하고 있어 색다른 볼거리가 있으며
명상하듯 느리게 걷다 보면 몸도 마음도
가볍게 치유가 되는 평온한 구간입니다.
사방댐(17:15)
사방댐에서 포장도로로 올라서자,
주차장 1.25km · 상별내 1.85km · 법륜사 2.75km를 가리키고(17:18)
대촌마을,
주차장 1.2km · 상별내 1.9km · 법륜사 2.8km를 가리키고(17:19)
대촌마을에서 2분 남짓 오르자 삼거리가 나오는데,
내려서는 산길 아닌 포장도로를 따라 여항산 쪽으로 올라가다,
여항산 1코스로 이어지는 포장도로에서 벗어나 편백나무숲으로,
주차장 0.9km · 상별내 2.2km · 법륜사 3.1km 를 가리키고(17:23)
편백나무숲이 길게 이어지고
좌촌마을,
여항산 등산로 1코스 입구에서 30m 남짓 아래이며,
주차장 0.3km · 대촌마을 0.9km를 가리키고(18:30)
여항산 등산로 1코스 입구
좌촌마을회관
서북산 전적지 안내문,
6.25동란 시 한국군과 UN군은 서북산(738.5m)을 중심으로
남강과 낙동강의 최후의 방어선으로 구축하였으며,
1950.8.1 - 9.15(45일) 간 서북산은 피아 치열한 공방으로
열아홉 번의 주인이 바뀌는 혈전(血戰)지역이었다.
서북산에서 美25사단 제5연대 중대장 티몬스 대위 외 100여 명이 전사하였으며,
티몬스 2세(美육군 중장)가 전적비를 세워 당시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고 있다.
좌촌마을회관과 서북산 전적지 안내문을 지나 돌아온 좌촌주차장,
얼마 되지도 않은 시간을 이용하여 봉성저수지와 여항산 둘레길을 한꺼번에 탐방한,
오늘이야말로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뜻깊은 작은 설날이란 생각으로 차에 오른다.
그리곤 떠난다.
진양호 노을빛이 참 고운 내 사는 진주가 아닌,
내 고향 함안 강지골 큰집으로(17: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