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바래길 4코스(고사리밭길)
* 날 짜 : 2023년 12월 10일(일요일)
* 날 씨 : 맑음
* 산 행 지 : 남해바래길 제4코스(고사리밭길)
* 산행거리 : 14.9km
※ 창선면행정복지센터 - 4.8km - 식포 - 4.1km -
가인 - 1.6km - 천포 - 4.4km - 적량마을
* 산행시간 : 5시간 10분(운행시간 4시간 15분 + 휴식시간 55분)
* 산행속도 : 보통 걸음
* 산행인원 : 7명(황의봉, 이영근, 유달수, 이완희, 정현영, 강동섭, 조광래)
* 산행일정
09:22 남해군 창선면 상죽리 창선면행정복지센터(창선파출소)
09:45 창선면면민동산
09:56 오룡천
10:32 남해군 창선면 식포리 식포마을 삼거리
10:52 - 11:20 포토전힌트 안내판 산마루 삼거리
11:35 별해로쉼터소공원
12:19 남해군 창선면 가인리 가인리마을회관
12:45 - 13:12 휴식
13:54 송암사
14:32 남해군 창선면 진동리 적량마을버스정류소
* 코스개요
고사리밭길은 창선면행정복지센터에서 출발해
우리나라 고사리 최대 산지인 창선면 가인리로 향한다.
가인리 일대의 구릉지대가 만들어 낸
매우 이국적인 정취의 고사리밭 작업로가 걷는 이들을 맞는다.
감탄에 감탄을 얹어도 모자란 국보급 경관에 걸음걸이가 자꾸 느려지는 길이다.
남해군 창선면 창선로 97번길 6(상죽리 137-1) 창선면행정복지센터(창선면사무소),
바로 옆 창선로 99(상죽리 122)에 자리 잡은 창선파출소,
남해바래길 제3코스(동대만길)와 남파랑길 제36코스가 끝나는 종점이요,
남해바래길 제4코스(고사리밭길)와 남파랑길 제37코스가 시작되는 시점이기도 한데,
창선로를 따라 남해축협 - 새마을금고 - 창선농협 쪽으로 나아가고
창선파출소
창선농협,
창선농협을 지나자마자 수산 버스정류소가 있는 옥천로와
창선로66번길이 갈리는 사거리에서 좌화전하여 창선로66번길을 따라가고
국도 3호선이 지나는 당저교,
수산마을 표지석이 세워져 있으며,
창선로66번길에서 지방도 1024호선 흥선로로 바뀌게 되고
수산마을 표지석
부윤1리 버스정류소
부윤1리(물뫼마을) 표지석
창선면 면민동산
감목관선정비(監牧官善政碑)
오룡마을 표지석과 버스정류소
오룡마을
지방도 1024호선 흥선로에서 진동로가 나뉘는 삼거리,
장포와 적포 아닌 세심사와 가인으로 이어지는 흥선로를 따라가고
오룡천
창선면 오용리 노전마을
고갯마루 삼거리,
지방도 1024호선 흥선로에서 벗어나 오른쪽으로 난 포장도로로 올라가는데,
'황토토취장 진입로 정비공사' 안내문이 서 있는 곳이고
유자
널따란 공터 삼거리,
포장도로에서 벗어나 왼쪽의 황톳길로 올라가고
능선마루 삼거리,
고사리밭 사이로 난 길을 따라 오른쪽으로 나아가고
여봉산(213.8m)
모노레일
창선면 가인리 식포마을
식포마을 삼거리,
흥선로410번길에 합류하여 우회전하여 올라가고
돌아본 식포마을
포토존 힌트 안내판 산마루 삼거리,
눈요기와 더불어 입요기도 하면서 좀 쉬었다 가기로 하고
포토존
여기예요 여기!
삼천호항 일대,
희뿌연 미세먼지가 훼방을 놓은 바람에 선명하지 못해 아쉽다고나?
실컷 먹고 마시고선 다시 남해바래길을 이어가고
동대만
동대만
별해로쉼터소공원,
고사리별, 바다해, 길로,
고사리언덕과 바다를 경험하는 길이란 뜻이라 하고
창선면 가인리 고두마을
조금 전 내려왔던 바로 왼쪽으로 이번엔 올라가고
굽이치는 지방도 1024호선 흥선로에 합류하여 우회전하여 내려가고
잠깐 동안 함께하던 지방도 1024호선 흥선로에서 벗어나,
오른쪽으로 이어지는 포장도로를 따라 올라가고
가인리 가인마을로 들어서고
가인마을회관
끈질긴 생명력
우물
가인버스정류소에서 또다시 지방도 1024호선 흥선로에 접속하여 우회전하여 나아가는데,
바다 너머론 세심사와 남해가인리화석산지가 보이고
남해가인리화석산지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가인리 북쪽 해안의 함안층(중생대 백악기의 퇴적층)
최상부에서 발견된 공룡발자국 화석산지로, 천연기념물 제499호이다.
이 지역에서 발견된 공룡발자국은 모두 약 1,500여 점으로 대규모이다.
한 지층면에서 용각류·조각류·수각류 공룡 화석이 함께 발견되었다.
그런데 초식공룡(용각류, 조각류)과 육식공룡의 발자국이 같은 곳에서
발견되었을 뿐 아니라 대형과 중형의 육식공룡 발자국이 함께 발견되었다.
특히 날카로운 발톱 구조를 잘 보여주는 육식공룡(수각류)의 발자국 약 57점이
매우 긴 보행렬(최대 52m)을 이루고 있어 특징적이다.
이 공룡 화석은 1998년 이 마을 출신인 동명정보대 장우진 학생이 암석층에 있는
범상치 않은 발자국을 발견하고 남해신문에 이를 제보, 진주교대 서승조 교수팀이
답사를 한 결과 1억 1,000만 년 전 공룡발자국임을 확인하게 되었다.
인근 해안에는 규화목, 식물화석, 생흔화석과 건열, 연흔 등 대규모의
퇴적구조가 발견되고, 수평적 퇴적층리가 발달되어 있다.
당시 공룡의 형태·크기·생활습관 등을 연구하는 데 있어 귀중한 학술적·
교육적 가치가 큰 화석산지이다.
세심사
양식업을 하는'해림영어조합법인과 수산물 가공업체인 믿음수산영어조합법인을 지나자마자,
지방도 1024호선 흥선로에서 벗어나 오른쪽으로 난 옛길을 따라 올라가는데,
남해바래길 4코스 종점 적량은 4.43km를 가리키고
천포항
가인천포마을(여튼계) 표지석과 천포 버스정류소,
마을과 바다 아닌 직진하여 올라가고
두 번째 휴식,
푹 쉬면서 막걸리와 간식으로 목을 축이고 가고
천포마을과 천포항,
그 뒤엔 신수도 대왕기산(82.6m)과 왕가산(93.4m)이고
능선마루에 올라 우회전하는데,
남해바래길 이정표(적량 3.5km→)가 세워져 있다.
거리가 서로 다른 남해바래길 이정표(적량 3.2km)와 남파랑길 이정표(종점 3.77km),
과연 어느 게 맞는 걸까?
쉼터,
삼천포 일대가 보이는 전망대이고
송암사
적량방파제가 보이고
남해바래길 4코스(고사리밭길) 종착지인 창선면 진동리 적량마을
적량보건진료소
우물
적량보건진료소 50m 전방 안내판
적량노인정
적량항
남해군 창선면 진동리 적량마을버스정류소,
우측 담장에 남해바래길 및 남파랑길 남해 38코스 안내판이 있으며,
남해바래길 제4코스(고사리밭길)가 끝나는 종점이요,
제5코스(말발굽길)가 시작되는 시점이기도 한데,
제5코스는 2024년 1월에 진행할 예정이라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