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교정산악회 제87차 산행 남해바래길 제7코스(화전별곡길)
* 날 짜 : 2024년 4월 7일(일요일)
* 날 씨 : 구름 조금
* 산 행 지 : 남해바래길 제7코스(화전별곡길)
* 산행거리 : 17.0km
※ 물건마을 - 1.0km - 독일마을 - 1.5km - 봉화 - 3.0km - 내산 -
2.0km - 바람흔적미술관 - 0.5km - 나비생태공원 - 1.0km -
편백숲임도 - 8.0km - 천하마을
* 산행시간 : 5시간 54분(운행시간 4시간 26분 + 휴식시간 1시간 28분)
* 산행속도 : 보통 걸음
* 산행인원 : 5명(황의봉, 이영근, 이완희, 정현영, 조광래)
* 산행일정
09:18 남해군 삼동면 물건리 물건마을 버스정류소
09:35 남해군 삼동면 물건리 독일마을광장(독일마을관광안내소)
09:50 남해군 삼동면 봉화리 화암교
09:55 남해군 삼동면 봉화리 음지교
10:06 - 10:11 남해군 삼동면 봉화리 꽃내 화전별곡공원
10:26 남해군 삼동면 봉화리 금암교
10:37 남해군 삼동면 봉화리 잠수교
10:47 - 11:13 남해군 삼동면 봉화리 내산교(휴식)
11:26 남해군 삼동면 봉화리 중불교
11:34 남해군 삼동면 봉화리 내산서당터마을
11:40 남해군 삼동면 봉화리 내산저수지
11:46 남해군 삼동면 봉화리 바람흔적미술관 입구
11:54 남해군 삼동면 봉화리 나비생태공원
12:05 남해편백자연휴양림 갈림길 삼거리
12:30 산림유전자보호구역 안내판
12:46 2014년 작업임도 설치사업 표지석 삼거리(남해삼동 봉화지구)
12:50 - 13:40 전망대/남해편백자연휴양림 갈림길 삼거리(점심)
14:05 산악기상관측장비
14:18 - 14:25 전망대(한려정)
15:00 남해군 미조면 송정리 천하저수지
15:12 남해군 미조면 송정리 천하마을 버스정류소
* 코스개요
화전별곡길은 이국적인 독일마을을 지나며,
대한민국 근현대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한 파독 광부와
파독 간호사 이야기를 현장감 있게 담아내며 시작된다.
화천변을 따라가면 나오는 내산저수지 옆 바람흔적미술관에서
현대적인 예술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다.
나비생태공원 일대는 아직 외부에 알려지지 않은 숨은 단풍 명소다.
청량감을 선사하는 편백숲 임도를 거닐 수 있어 이곳만 따로 찾는 이들이 적지 않다.
길의 종점은 ‘내 아래’란 우리말 지명을 한자로 표기한 천하마을이다.
남해군 삼동면 물건리 물건마을 버스정류소,
국도 3호선 동부대로가 지나는 곳이요,
남해바래길은 6코스(죽방멸치길), 7코스(화전별곡길), 8코스(섬노래길),
남파랑길은 남해 40코스를 안내하고 있는데,
오늘은 남해바래길 7코스(화전별곡길)와 함께하는 남파랑길 40코스를 따라,
남해군 미조면 송정리 천하마을 버스정류소까지 이어갈 예정이고
돌아본 물건마을
독일마을 방문을 환영합니다,
지나자마자 갈림길에서 왼쪽의 샛길로 올라가고
독일마을광장은 공사 중이라 진입금지이고
독일마을관광안내소 앞 사거리에서 남해바래길은 좌회전하는데,
직진 방향에는 원예예술촌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제 행정구역이 삼동면 물건리에서 삼동면 봉화리로 바뀌게 되고
화암교,
남해바래길 6코스 시 동천마을로 들어서면서 헤어졌던 화천을 다시 만나는데,
화암교 앞에서 좌회전하여 화천 둑길을 따라 진행하고
음지교를 건너고
화천
화천 둑길을 따라 길게 진행하다,
금암로에 합류하여 잠깐이나마 함께하고
꽃내 화전별곡공원,
꽃내 화전별곡은 화천을 따라가며 웃음별곡과 배움별곡으로 나뉘는데,
웃음별곡은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지역의 전설과 이야기,
시를 읊고 즐겼던 선비들의 풍류를 느낄 수 있는 친수공간이며,
배움별곡은 자연을 벗 삼아 다양한 것들을 보고 배우던 선비들의
모습과 마음가짐을 느낄 수 있는 생태학습공간이라 설명하고 있다.
화천은 봄이 되면 피었던 꽃이 물에 떨어져 흘렀다고 하여 꽃내라고 불리던 곳이다.
화전별곡(花田別曲)은 조선 중종 때의 문신 자암 김구(自菴 金絿, 1488~1534)가
남해현(南海縣)의 풍경과 감회를 읊은 6장의 경기체가(景幾體歌)이다.
안평대군, 한호, 양사언과 함께 조선 전기 4대 서예가의 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는
김구는 조선 중종 때 기묘사화로 조광조 등과 함께 제거되어
10여 년 동안 남해에서 귀양살이를 하였는데,
이때 경기체가 「화전별곡」을 지어 남해의 뛰어난 풍광과 향촌(鄕村)의 인물들과
어울려 풍류를 즐기던 정서와 감회를 노래하였다.
남해를 일점선도(一點仙島: 신선의 섬)라 표현한 것도 「화전별곡」에서인데,
화전은 남해섬의 옛 이름이다.
작자는 서사(序詞)에 해당하는 제1장에서
산천이 수려하고 뛰어난 인물을 많이 배출한 남해섬을 찬탄하고,
그곳 사람들과 어울려 풍류를 즐기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어 본사(本詞)인 제2장~제4장에서 각각 벼슬아치, 기생, 향촌 사람들이 흥겹게 노는 모습을,
제5장에서 술에 취해 낙천적으로 살아가는 모습을 묘사하고 찬탄하고 있다.
결사(結詞)인 제6장에서 서울의 번화로움과 높은 집의 주지육림(酒池肉林)보다
시골에서 소박하게 사는 것이 더 좋다고 하였다.
남해 별천지 프롬나드 안내도,
프롬나드(promenade)란 프랑스어로 산책, 산보란 뜻이라던가?
남해양떼목장 양마르뜨언덕,
양떼들이 몇 마리 보이고
무등산(430.8m)
금암교
돌아본 금암교
남해바래길은 화천을 가로지르는 잠수교를 지나 이어지고
천하까지 9.5km로 표시하고 있지만,
지금까지 4.8km 진행해 왔으며,
이제 실제로 남은 거리는 12.2km라 하고
삼동내산친환경농업단지
내산교 바로 밑에서 좀 쉬면서 목을 축이고 가고
내산교
돌아본 내산교
내산저수지와 내산서당터마을
배움별곡 소공원
내산마을
중불교
내산서당터마을
내산서당터 버스정류소 앞으로 올라,
금암로와 다시 만나 좌회전하여 내산저수지 쪽으로 올라가고
내산저수지
바람흔적미술관 버스정류소
바람흔적미술관,
합천군 가회면 중촌리 황매산 자락에 바람흔적미술관을 열었던 설치미술가 최영호,
남해군 삼동면 내산리 내산저수지 부근에 두 번째로 세운 동명(同名)의 사립미술관이라 하고
바람흔적미술관 입구,
갈 길이 바빠 들르지 않고 그냥 지나치기로 하고
나비생태공원 버스정류소,
남해군이 사업비 약 51억 5,000만 원을 들여 조성한 나비생태공원으로,
나비생태관과 나비사육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나비생태관은 2001년 착공하여 2006년 10월 24일 준공되었으며,
부지면적은 약 9만 4,000㎡, 생태관의 건축 총면적은 1,965㎡이다.
나비생태관은 제1전시실·제2전시실·나비온실·표본전시실·체험학습실로 이루어져 있다.
남해바래길 이정표,
그 옆에 1km 전방의 남해편백자연휴양림 입장 시 입장료를 받는다는 안내판이 세워져 있고
내산저수지,
규모가 꽤 큰 걸 알 수가 있고
95국유임도시설 표지석
내산저수지 바로 위 남해편백자연휴양림 갈림길 삼거리,
남해편백자연휴양림 입구에서 직진하여 들어가지 않고,
남해바래길은 좌측으로 방향을 바꿔 개울을 건너 임도로 올라가는데,
그전에는 직진 방향의 남해편백자연휴양림으로 진행하였으나,
입장료 문제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불편한 점이 발생하여
좌측으로 우회하여 지나는 길로 바뀌었다고 하고
개울을 건너 올라가고
이곳부터 약 8km 구간은 중간탈출로 없는 임도입니다.
(일몰시간 전후 진입을 삼가세요)
임도로 올라서서 좌회전하여 진행하는데,
우회전하면 남해편백자연휴양림으로 이어지고
국가지점번호 라라 4718 4029,
0.5km를 가리키는 건,
남해자연휴양림 임도 초입에서 0.5km가 되는 지점이 아닐는지?
두릅 꺾는 아저씨
국가지점번호 라라 4757 4049,
1.0km 지점이라 하고
2015년도 임도 1.38km와 2014년도 임도 1.08km를 가리키는 이정표
No. 50 기점/1.0km 지점
산림유전자보호구역 안내판
No.25 기점/ 0.5km 지점
2014년 작업임도 설치사업 표지석(남해삼동 봉화지구),
임도 삼거리 고갯마루에서 직진하여 내려가고
전망대/남해편백자연휴양림 갈림길 삼거리(국가지점번호 라라 4811 4012),
좌측의 전망대 2.4km 방향으로 진행해야 하지만,
전망대까지 가자면 너무 늦을 것 같아 점심을 먹고 가기로 하는데,
그전의 남해바래길은 남해편백자연휴양림을 지나 이리로 이어지지 않았을까?
남해편백자연휴양림 산림복합체험센터에서 올라오는 길과 만나는데,
가야 할 고갯마루 전망대까지 1Km가 남은 지점이고
산악기상관측장비
남해지맥이 지나는 전망대가 살짝 들어오고
임도 삼거리,
0.4km를 가리키는 직진의 전망대 방향으로 진행하고
남해지맥이 지나가는 전망대 고갯마루(국가지점번호 라라 4747 3898),
2022 간선임도 시설사업 표지석이 있으며,
2층 전망대인 한려정(閑麗亭)에 올라 눈요기를 하면서 쉬었다 가고
남해지맥이 이어지는 가마봉(502.8m) 쪽이고
천하저수지와 천하마을
내산저수지
전망대를 뒤로하고 천하마을로 내려가는데,
이제부턴 삼동면 봉화리에서 미조면 송정리로 행정구역이 바뀌는 걸,
남해바래길 7코스 종점인 천하마을까진 3.5km를 가리키고
국유 임도 안내문
천하저수지
남해휴양림펜션 입구
뒤돌아보자 전망대가 들어오고
금산(704.9m) 상단부가 살짝 그 모습을 드러내고
천하마을
남해군 미조면 송정리 천하마을(내아래마을),
국도 19호선 남해대로가 지나며 상주면과 미조면의 경계에 자리 잡은 마을로,
송정솔바람해변과 상주해수욕장 사이에 위치한 몽돌해수욕장으로 유명하고,
KBS 2TV 드라마 <상두야 학교 가자>의 촬영지로 잘 알려져 있으며,
지금도 '내아래'라고 불리고 있는 마을의 유래는,
명산 금산(錦山)에서 발원하는 쇳개골(金浦)과 내래골(川下)에서 흘러내린 물이
하천을 이루어 사시사철 풍부한 두 개의 수원지를 만든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이들 수원지는 일제강점기 때부터 미조면의 식수원이었다.
남해바래길 7코스(화전별곡길), 8코스(섬노래길), 9코스(구운몽길) 안내판이 있으며,
7코스 종점이요 8코스 시점과 종점이자 9코스 시점이기도 한데,
남해바래길 8코스는 5월 12일(일) 진행할 예정이라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