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권 산행기

진주와 함안에 걸친 방어산 돌고 초전공원으로

큰집사람 2011. 10. 29. 22:43

* 날    짜 : 2011년 10월 28일(금)

* 날    씨 : 구름 조금

* 산 행 지 : 방어산주차장 - 관음사 - 486m봉 - 방어산 - 불당골 임도 삼거리 - 방어산주차장

* 산행시간 : 2시간 00분(운행시간 1시간 10분 + 휴식시간 50분)

* 산행속도 : 약간 빠른 걸음

* 산행인원 : 24명(진주교도소 보안내근 직원들과)

 

 

 

 

 

* 산행일정

14:00          진주시 지수면 청담리 토실마을 방어산주차장

14:05          관음사

14:10          안부 사거리

14:19 119      119 방어산 5지점

14:33 - 14:38  486m봉

14:45          마당바위

14:47 - 15:27  방어산

15:30          방어산 헬기장

15:35          119 방어산 2지점

15:53 - 15:58  사방댐

16:00          방어산주차장

 

 

 

 

 

토실마을 관음사 아래 방어산주차장

 

 

 

 

 

 

 

 

방어산주차장에서 바라본 방어산

 

 

 

 

 

 

 

 

 

 

 

 

 

 

 

 

 

불당골  

 

 

 계적등(475m)  

 

 

방어산주차장과 맞닿은 삼거리에서 관음사 쪽으로 올라가고(14:00)

 

 

관음사 앞은 울창한 소나무가 숲을 이루고

 

 

콘크리트 포장도로로 5분쯤 올라 관음사주차장에 이르고(14:05) 

 

 

 

 

 

 

 

 

관음사

 

 

 

 

 

 

관음사 산신각

 

 

관음사 샘터로 많은 사랑을 받았지만 지금은 발길이 뜸한 듯?

 

 

산신각 - 샘터 이정표에서 관음사를 벗어나 본격적인 산행에 들어가고(14:10) 

 

 

5분 남짓 치올라 안부 사거리에서 우회전(14:15) 

* 직진은 옛 남강휴게소 부근의 가덕마을, 좌회전은 매봉들(296m)과 토실마을

 

매봉들(갈미봉) 가는 곳을 가리키는 장승(14:15)

 

 

가마봉 가는 곳을 가리키는 장승(14:15)

 

 

 

 

 

119 방어산 5지점 관음사 위 마당바위(14:19)

 

 

넓고 비스듬한 바위가 있긴 하지만,

이정표에 나오는 마당바위는 아니고

 

가마봉으로 짐작되는 486m봉(14:33 - 14:38) 

* 좌회전은 옛 남강휴게소 부근의 가덕마을, 직진은 방어산

 

 

 

 

 

 

 

 

 

486m봉 너럭바위

 

 

 

 

 

 

 

 

486m봉에서 바라본 방어산 정상

 

 

 작은 방어산(503m)과 계적등

 

 

방어산 정상 아래 마당바위에서 바라본 작은 방어산과 계적등(14:45)

 

 

밧줄을 잡고 방어산 정상으로 올라서고(14:47 - 15:27)

 

 

 진주망경산악회에서 세운 방어산 정상석(532m)

 

 

 

 

 

 

 

 

 

 

 

 

 

 

 희뿌옇긴 해도 의령 자굴산(897.1m)이 들어오고

 

 

 

 

 

 

벽화산

 

 

진주 월아산(483.2m)과 국사봉(469m)도 날 좀 보라 하고

 

 

월아산과 국사봉

 

 

함안 가야읍

 

 

내 고향 함안 여항산(770m)이 손짓하고

 

 

여항산

 

 

사천 와룡산(801.4m)이 어렴풋하고 

 

 

 내려갈 임도와 사방댐

 

 

구경을 하면서 목도 축이고 

 

 

방어산 정상부

 

 

정상은 성채마냥 큰 바위덩어리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를 장군대라 부른다. 

 

 

방어산 헬기장(15:30)

 

 

119 방어산 2지점 안부 삼거리(15:35)

* 직진은 마애사 - 계적등 - 작은 방어산 - 괘방산

 

 

 

 

 

 

 

119 방어산 2지점 방어산고개는 잘못된 것으로,

방어산고개는 계적등과 작은 방어산 사이 고개를 가리킴.

그전엔 계적등 아래 마애사 갈림길이 있는 희망이고개로 표기된 곳을 방어산고개라 했으며,

지형도에는 아직도 그렇게 되어 있음.

 

불당골을 가리키는 장승(15:50)

 

 

불당골(물이 흐르는 둥 마는 둥)

 

 

불당골 임도 삼거리 이정표 

 

 

임도에서 바라본 방어산(15:53) 

 

 

 

 

 

 

 

 

 

 

 

 

 

 

사방댐에서 바라본 방어산(15:53 - 15:58) 

 

 

 

 

 

 

 

 

사방댐

 

 

 

 

 

 

 

 

방어산주차장으로 돌아와 바라본 방어산(16:00) 

 

 

 

 

 

 

 

 

 

 

 

 

초전체육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