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권 산행기

거림에서 도장골과 삼신봉골로 삼신봉 올라 촛대봉 거쳐 제자리로

큰집사람 2011. 10. 23. 22:43

* 날    짜 : 2011년 10월 23일(일)

* 날    씨 : 구름 많음

* 산 행 지 : 거림 - 도장골 - 삼신봉 - 촛대봉 - 청학연못 - 시루봉 - 북해도골 - 거림

* 산행시간 : 8시간 45분(운행시간 5시간 58분 + 휴식시간 2시간 47분)

* 산행속도 : 약간 빠른 걸음

* 산행인원 : 36명(진주비경마운틴 회원들과)

 

 

 

 

 

 

* 산행일정

09:00          거림마을주차장

09:05          거림공원지킴터 - 길상선사 갈림길

09:09          길상암

09:25 - 09:28  아랫용소

09:36          이영회부대아지트

09:42 - 09:45  너럭바위 비스듬한 폭포(870m)

10:39 - 10:48  와룡폭포(1085m)

10:51          촛대봉골 - 연하봉골 합수지점(1120m)

11:28          왼쪽 지계곡 합류지점

11:30 - 12:53  점심

13:00          연하봉골에서 왼쪽 능선으로

13:10          삼신봉능선으로 올라서고

13:50 - 14:05  삼신봉 아래 전망대

14:25 - 14:40  삼신봉(1700m)

15:00 - 15:10  촛대봉(1703.4m)

15:25          촛대봉 - 시루봉 - 청학연못 갈림길

15:29 - 15:44  청학연못(1560m)

15:49          촛대봉 - 시루봉 - 청학연못 갈림길

15:57 - 16:03  시루봉(장군봉, 1579m)

16:36          북해도골 - 청학연못골 합수지점

16:50 - 16:53  북해도교

16:57          천팔교(1008m)

17:04          이정표(세석대피소 3.6km·거림 2.4km)

17:21          거림골 이정표(세석대피소 4.7km·거림 1.3km) 

17:38          거림공원지킴터

17:41          거림공원지킴터 - 길상선사 갈림길

17:45          거림마을주차장

 


 

 

 

 

 

산청 단성면 소재 문익점 목화 시배지

 


 

 

 

 


 

산청군 시천면 내대리 거림마을주차장에서 산행에 나서는데,

사모교는 태풍 무이파가 휩쓸던 2011년 8월 7일 밤과 8일

새벽에 내린 폭우로 주저앉아 버렸고(09:00)   

 

거림공원지킴터 - 길상선사 갈림길,

왼쪽은 거림공원지킴터와 세석대피소요,

오른쪽은 길상선사와 도장골로 이어지고(09:05)

 

 

 

 

 

  

 

길상암 바로 앞에서 도장골로 들어서는데,

인적이 드문 지리산의 계곡 중에서 경관으로 첫 손가락을 꼽는 곳이 도장골이니,

지리산 최다의 폭포골인 한신골,

소(沼)와 담(潭)의 뱀사골,

원시적 경관을 자랑하는 칠선골이라면,

도장골은 이 세 곳의 특징을 모아 놓았다고 하는 곳이다.

촛대봉과 연하봉 사이에서 거림으로 흐르는 계곡이 바로 숨겨진 보물인 도장골로,

최후의 빨치산인 정순덕(鄭順德)이 남편을 찾아 지리산으로 들어간 곳이라고 한다.

국토지리정보원 지형도에는 도장골이 아닌 시천천(矢川川)이며,

거림골은 내대천(內大川)으로 되어 있다.(09:09)

 

들어서자마자 새하얀 물줄기가 반기고

 

 


 

 


 

 

 

 

 

아랫용소,

지리에서도 흔히 볼 수 없는 깊고 넓은 시퍼런 물웅덩이(소)는,

용이 금세라도 튀어올라 승천할 것만 같은 느낌이고(09:25 - 09:28) 

 

 

 

 

 

 

 

이영회부대아지트,

이영회는 1951년 5월 인민유격대가 남부군으로 재편될 때 부사령관을 맡은 인물인데, 

이영회가 직접 지휘한 부대는 여순사건 당시에 입산했던 구 빨치산을 주축으로  

산청군인민유격대, 진양군인민유격대를 통합하여 재편성한 빨치산부대이며,  

지리산의 빨치산 투쟁은 1948년 10월 여순사건 관련자들이

산악지대로 들어가 무장투쟁을 전개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하고(09:36)

 

 

 

 

아랫용소에서 돌과 산죽이 어우러진 뚜렷한 등산로를 따르다,

너럭바위에서 다시 도장골로 들어서고(09:42 - 09:46)

 

 

 

 

 

 

 

위에서 본 너럭바위

 

 


 

 

윗용소라 부르기도 하는 모양이고(09:50)

 

 

 

 

 

 

 

 


 

 



 


 

 

 

 

 


 

 


 

 

 

 

 


 

 

 

 

 

 

 

 

(10:18)

 

 


 

 


 

 


 

 


 

 



 

 

 

 

 

 

 

 

 

 

 

 

 

 

 

 

 

 

 


 

 


 

 

와룡폭포가 보이고

 

 

 

 

 

 

 

 

도장골의 얼굴마담인 와룡폭포(10:39 - 10:48)

 

 

 

 

 

 

 

 

 

 

 

 

 

 

 

 

 

 

 

 

 

 

 

 

 

 

 

 

 

 

 

 

 

 

 

 

 

 

 

 

 


 

 


 

 

도장골이 둘로 나뉘는 합수지점에서,

바로는 촛대봉골이고(10:51)

 

도장골이 둘로 나뉘는 합수지점에서,

오른쪽은 연하봉골이고

 

 

 

 


 

 

 

 

 


 

 

 

 

 


 

 


 

 


 

 


 

 

왼쪽에서 작은 지계곡이 흘러들고(11:28)

 

 

 

 

 

 

 

 

 

 

 

민생고를 해결하고(11:30 - 12:53)

 

 

삼신봉 아래 전망대에서 바라본 구곡산과 주산(13:50 - 14:05)

 

 

구곡산과 주산

 

 

멀리 하동 금오산

 

 

 

  

 

  

 주산과 멀리 사천 와룡산

 

 

시루봉

 

 

주산

 

 

주산과 양수발전소 하부저수지

 

 

멀리 진주 월아산

 

 

촛대봉

 

 

천왕봉

 

 

삼신봉에서 바라본 반야봉(14:25 - 14:40)

 

 

시루봉

 

 

주산과 양수발전소 하부저수지

 

 

중산리

 

 

 

 

 

진주 월아산

 

 

연하 남봉, 연하봉, 제석봉, 천왕봉

 

 

 

 

제석봉과 천왕봉

 

 

천왕봉과 일출봉

 

 

 

 

 

천왕봉

 

 

연하봉, 제석봉, 천왕봉

 

 

두지터괴뢰군

 

 

 

  

 

  선함

  

 

 

 

 

 

  

 

삼신봉 아래 지리 주릉 등산로로 내려서고(14:41)

 

 

촛대봉(15:00 - 15:10)

 

 

 

 

 

 

 

 

촛대봉에서 바라본 천왕봉

 

 

반야봉과 영신봉

 

 

노고단과 반야봉

 

 

청학연못 가는 길에서의 연하봉과 제석봉, 천왕봉

 

 

반야봉과 영신봉

 

 

 

 

 

노고단과 반야봉

 

 

반야봉

 

 

돌아본 촛대봉

 

 

 

 

 

돌아본 촛대봉

 

 

촛대봉 - 시루봉 - 청학연못 갈림길 삼거리(15:25) 

 

 

청학연못,

청학(靑鶴)은 날개가 여덟이고 다리가 하나이며,

얼굴이 사람같이 생긴 신선이 타고 다녔다는 전설의 새라고 하며,

이 새가 울면 천하가 태평해진다고 하여,  

청학이 사는 청학동을 신선의 고장으로 여겼다고 하는데,

촛대봉과 시루봉(장군봉)능선 중간 서쪽 아래

해발 고도가 1500m도 넘는 세석고원에 신비한 연못이 있으니, 

자연히 형성된 게 아닌 옛 사람들이 청학동의 이상향을

완성시키고자 조성한 것이라고,  

청학연못은 길이 10 - 15m, 넓이 6 - 7m, 

깊이 1m 안팎의 타원형 연못이라 하고(15:29 - 15:44)

 

 

 

 

 

 

 

 

 

 

 

 

 

 

 

 

 

 

 

 

 

 

 

 

 

 

 

 

 

 

 

 

 

 

 

 

 

 

 

 

 

 

 

 

 

 

 

 

 

 

 

 

 

 

 

 

 

 

 

 

 

 

 

 

 

 

 

시루봉으로 가면서 바라본 시루봉

 

 

촛대봉

 

 

천왕봉

 

 

시루봉 맞은편 암봉에서의 촛대봉(15:55)

 

 

노고단과 반야봉

 

 

연하봉과 천왕봉

 

 

천왕봉

 

 

시루봉에서 바라본 촛대봉(15:57 - 16:03)

 

 

연하봉

 

 

천왕봉

 

 

노고단과 반야봉

 

 

불무장등

 

 

구곡산과 멀리 진주 월아산

 

 

주산과 멀리 사천 와룡산

 

 

북해도골의 작은 돌탑(16:26)

 

 

북해도골과 청학연못골이 나뉘는 합수지점(16:36)

 

 

표지기 하날 걸어두고

 

 

북해도교(16:50 - 16:53)

 

 

 

 

 

 

 

 

 

 

 

거림골 최고의 폭포(16:55)

 

 

천팔교(16:57)

 

 

 

 

 

이정표(17:04)

 

 

 

 

 

 

 

 

 

 

 

거림골 이정표(17:21)

 

 

거림골 지킴이 소나무(17:37)

 

 

거림공원지킴터(17:38)

 

 

 

 

 

태풍 무이파는 도장골에 걸친 다리마저 삼켜버렸고(17:40)

 

 

거림공원지킴터와 길상선사 갈림길을 지나,(17:41)

어느새 어둑어둑해진 길을 따라 거림 주차장으로 돌아가 마침표를 찍고(17: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