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과 풍경
장마가 끝난 첫날에 둘러본 진주 천전동 남강변(2020.8.13. 목요일)
큰집사람
2020. 8. 13. 20:46
유등의 유래
남강에 유등을 띄우는 풍습은
1592년 10월 충무공 김시민 장군이 3,800명의 적은 군사로
2만의 왜군을 맞아 싸울 때 성 밖의 지원군과 군사 신호로
풍등(風燈)을 올리고 횃불과 함께 남강에 등불을 띄운 데서 비롯되었으며,
남강을 건너려는 왜군을 막는 군사전술과 진주성의 병사들이
성 밖의 가족에게 안부를 전하는 통신수단으로 쓰였다는데 기원을 두고 있다.
이듬해 전투 때 순절한 7만 명의 민 · 관 · 군의 애국혼을 기리고
전통 유등놀이를 계승 보전하기 위해 오랜 세월 이어져 오던 유등 풍습을
1949년 우리나라 지방종합예술제의 효시인 개천예술제부터 유등놀이로 정착시켰고,
2000년부터 특화하여 진주남강유등축제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다.
촉석루
천년광장
진주교
중앙광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