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권 산행기

지석골과 웅성이골로 오른 웅석봉

큰집사람 2020. 1. 3. 20:57

 

* 날    짜 : 2020년 1월 3일(금요일)

* 날    씨 : 구름 조금

* 산 행 지 : 지석골 - 웅성이골 - 상투봉 - 웅석봉 - 1033.3m봉 - 큰등날봉 - 990.9m봉 - 사방댐

* 산행시간 : 7시간 30분(운행시간 6시간 21분 + 휴식시간 1시간 09분)

* 산행속도 : 보통 걸음

* 산행인원 : 1명(나 홀로)

 

   

 

 

 

* 산행일정

10:35          공무원 근로복지시설 및 산청공무원휴양시설

10:40          지석골 들머리

10:55          지석골 + 지심골 합수지점

11:38          숯가마터

11:50 - 12:05  통천문

12:42 - 12:48     지석골 + 웅성이골 합수지점

13:05                웅성이골 + 우 지계곡 합수지점

13:12          웅석이골 + 우 지계곡 합수지점

13:16          웅성이골 + 좌 지계곡 합수지점

13:35 - 13:39  호불능선 접속

13:43 - 13:58  웅석봉 등산로 접속(왕재 - 상투봉)

14:02          곰골 우능 갈림길

14:05 - 14:09  상투봉(980m)

14:12          웅석봉 1 - 6지점

14:23          웅석봉 1 - 7지점

14:26          1066m봉

14:33          밭등

14:42 - 14:52  웅석봉(산청 25, 1099.3m)

15:00          밭등 

15:35 - 15:41  1033.3m봉

15:51 - 15:54  큰등날봉(999m)

16:05 - 16:11  1005m봉

16:18          990.9m봉

16:24          990.9m봉 - 960.6m봉 안부

16:43          딱바실계곡(딱밭실골) 갈림길(안테나)

17:53          사방댐 위 큰등날봉 등산로 입구

17:56          딱밭실골 사방댐

18:05          공무원 근로복지시설 및 산청공무원휴양시설

 

 

 

 

 

 

 

산청군 삼장면 홍계리에 위치한 공무원 근로복지시설 및 산청공무원휴양시설,

앞에서 볼 때 왼쪽은 공무원 근로복지시설이요,

오른쪽은 산청공무원휴양시설이라고 하는데,

제1잠수교에서 딱밭실골로 내려서서 악대실골 아래 지석골로 스며들어,

지석골과 웅성이골이 만나는 합수지점에서 지난해 7월 31일엔 지석골로 올라갔지만,

웅성이골로 들어가 호불능선으로 빠져나가 왕재와 상투봉 사이의 웅석봉 등산로에 접속하여, 

웅석봉을 찍고 돌아서서 다시 만나는 밭등에서 달뜨기능선을 따라가다,

1034m봉을 거쳐 큰등날봉에서 상황에 따라 큰등을 타고 사방댐으로 내려서거나,

아니면 1005m봉과 991m봉을 지나 안테나가 서 있는 곳에서 사방댐으로 내려서기로,

2020년이자 경자년(庚子年) 들어선 처음인 신년산행이기도 한데,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릴 거란 일기예보가 있긴 하지만,

아무리 그래 봤자 산으로 가는 발걸음을 멈출 수야,

기다려라 웅석봉아,

그 누구랑도 아닌 나 홀로 간다.

 

동부능선과 도토리봉

 

 

 

 

 

 

 

 

 

 

 

 

 

 

공무원 근로복지시설 및 산청공무원휴양시설

 

 

제1잠수교에서 딱밭실골로 내려서서 지석골 들머리로 올라가는데,

딱밭실골 사방댐 아랜 4개의 잠수교와 악대실골 끄트머리에 걸친 이름 없는 다리가 있고  

 

돌아본 제1잠수교

 

 

 

 

 

 

 

 

 

 

지석골과 딱밭실골이 만나는 합수지점, 

왼쪽으로 틀어 지석골로 스며들어 가기로 하는데,

일부 산꾼들이 지시골이라 소개하고 있지만,

지형도상으론 지석골로 되어 있으며,

지석골 우능과 악대실골 좌능 사이에서 지석골로 흘러드는 지심골,

지심골과 지석골이 엇비슷하다 보니 헷갈려서 지시골이라 하지 않았을까?

 

딱밭실골,

제2잠수교가 보이고

 

지석골

 

 

 

 

 

 

 

 

 

 

 

 

 

 

 

 

 

 

 

 

 

 

 

 

 

 

 

 

 

 

 

 

 

 

 오른쪽에서 꽤 큰 계곡이 흘러드는데,

지형도상에 나오는 지심골이라던가?

 

축대가 보이고

 

 

 

 

 

 

 

 

 

 

 

 

 

 

 

 

 

 

 

 

 

 

 

 

 

 

 

 

 

 

 

 

 

 

 

 

 

 

 

 

 

 

 

 

 

 

 

 

 

 

 

 

 

 

 

 

 

 

 

 

 

 

 

 

 

 

 

 

 

 

 

 

 

 

 

 

 

 

 

 

 

 

 

 

 

 

 

 

 

 

 

 

 

 

 

 

 

 

 

 

 

 

 

 

 

 

 

 

 

 

 

 

 

 

 

 

 

 

 

 

 

 

 

 

 

 

 

 

 

 

 

 

 

 

 

 

 

 

 

 

 

 

 

 

 

 

숯가마터

 

 

 

 

 

 

 

 

 

 

 

 

 

 

 

 

 

 

 

 

 

 

 

 

 

 

 

 

 

 

 

 

 

 

 

 

 

 

 

 

 

 

 

 

 

 

 

 

 

 

 

 

 

 

 

 

 

 

 

 

 

 

 

 

 

 

통천문,

눈요기와 더불어 입요기를 하면서 쉬었다 가는데,

왕시루봉 아래 나무골 통천문보단 좀 못한 편이지만,

이 정도만 해도 눈요깃거리론 훌륭한 편이라고나?

 

 

 

 

 

 

 

 

 

 

 

 

 

 

 

 

 

 

 

 

 

 

 

 

 

 

 

 

 

 

 

 

 

 

 

 

 

 

 

 

 

 

 

 

 

 

 

 

 

 

 

 

 

 

 

 

 

 

 

 

 

 

 

 

 

 

 

 

 

 

 

 

 

 

 

 

 

 

 

 

 

 

 

 

 

 

 

 

 

 

 

 

 

<산수와 의상봉> 표지기에다 내 것도 걸어 두고

 

 

 

 

 

 

 

 

 

 

 

 

 

 

 

 

 

 

 

 

 

 

 

 

 

 

 

웅성이골과 지석골이 만나는 합수지점,

그전에 지석골로 갔으므로 웅성이골로 올라가기로 하는데,

왼쪽의 웅성이골이 더 커 보여 본류처럼 느껴지기도 하지만,

웅성이골은 처음부터 마른 계곡이요 갈수록 옹색해지는데 비해,

물줄기가 비치는데다 조금만 올라가면 통바위지대와 줄줄이 폭포가 이어지는 지석골,

웅성이골은 지석골로 흘러드는 지계곡이라고나 할까?

 

지석골

 

 

웅성이골

 

 

 

 

 

 

 

 

 

 

 

 

 

 

 

 

 

 

 

 

 

 

 

 

 

 

 

 

 

 

 

 

 

 

 

 

 

 

마른 계곡에다 볼품이라곤 없는 웅성이골,

널브러진 잡목이 훼방을 놓기도 하고

 

 

 

 

 

 

 

 

 

 

 

 

 

 

 

 

 

 

 

 

 

 

 

 

 

웅성이골이 좌골과 우골로 나뉘는 합수지점,

엇비슷하지만 조금 더 커 보이는 좌골로 올라가는데,

 7분 남짓 뒤 또다시 엇비슷한 좌골과 우골 합수지점에서도 좌골로,

 <산수와의상봉> 및 <의령산친구들> 표지기가 안내하고

 

 

 

 

 

 

 

 

 

깨진 사기그릇 조각,

왜 여기에 있는 걸까?

 

 

 

 

 

 

 

 

 

 

 

 

 

 

 

 

 

 

 

 

 

 

 

 

 

 

 

 

 

 

 

 

 

 

 

 

 

표지기가 안내하는 대로 올라선 호불능선,

<산수와의상봉>과 <의령산친구들> 표지기가 걸려 있으며, 

호불능선을 따라 내려가면 공무원 근로복지시설 및 산청공무원휴양시설주차장에 이르지만,

웅석봉 등산로에 접속하여 웅석봉을 찍고 달뜨기능선을 따라 내려가기로 하는데,

어차피 애초부터 하루해를 채우려고 나서지 않았던가? 

 

4분 남짓 올라갔을까,

왕재와 상투봉 사이의 웅석봉 등산로에 접속하자마자,

부근에 떨어진 <119조난위치번호 산청군 9 - 나> 표지판을 옮겨 고정시키지만,

이 또한 임시방편일 뿐이요 오래가지는 못할 것 같은데,

 언젠가 기회가 되면 좀 더 높은 곳에다 튼튼하게 이사를 시켜야 할 듯,

그러다 보니 15분이란 금쪽같은 시간이 훌쩍 지나갔지만,

허투루 흘려보낸 게 아닌데 뭐가 아까우랴? 

 

 

 

 

 

곰골 우능 갈림길

 

 

상투봉,

웅석봉과 밤머리재 사이에선 최고를 자랑하는 전망대요,

미세먼지란 놈이 심술을 부리는 바람에 그다지 선명하진 않지만,

이 정도나마 보이는 것만 해도 천만다행이 아닌가?

 

 

 

 

 

주산과 구곡산

 

 

천왕봉과 중봉

 

 

천왕봉과 중봉으로 이어지는 동부능선 산줄기

 

 

산청 독바위와 도토리봉을 잇는 동부능선

 

 

도토리봉과 밤머리재 뒤엔 왕산과 필봉산이고

 

 

왕산과 필봉산,

밤머리재엔 권사장 버스가 보이고

 

내리저수지와 산청읍

 

 

십자봉,

그 뒤엔 정수산과 둔철산이고

 

정수산,

그 뒤 황매산은 미세먼지가 삼켜 버렸는 걸.

 

 

 

 

 

웅석봉 1 - 6지점,

웅석봉 1.3km · 밤머리재 4.0km를 가리키고

 

웅석봉 1 - 7지점,

곰골로 내리뻗은 지능선 갈림길이기도 하며, 

웅석봉 0.6km · 밤머리재 4.7km를 가리키고

 

1066m봉 바로 아래,

악대실골 날머리이고

 

 

 

 

 

 

 

 

 

 

 

 

 

 

 

 

 

밭등 삼거리,

웅석봉을 찍고 다시 돌아와 달뜨기능선을 타고 가야 하는데,

홍계 9.5km · 다물평생교육원 8.1km · 웅석봉 0.4km · 밤머리재 4.9km를 가리키고

 

웅석봉 헬기장, 

곰골과 청계 갈림길이기도 하며,

웅석봉 0.3km · 밤머리재 5.0km · 내리 5.0km · 청계 8.1km · 우물 50m를 가리키고

 

 

 

 

 

남강 지리태극이 지나는 석대산이 살짝 들어오고

 

 

 

 

 

 

웅석봉 삼거리,

내리 5.3km · 어천 2.5km · 청계 8.4km · 밤머리재 5.3km를 가리키고

 

 

 

 

 

 

 

 

 

 

 

 

 

 

 

 

 

웅석봉,

지난해 10월 4일에 이어 3달 만이요,

올해 들어선 나완 첫 번째 만남인 셈인가?

웅석봉은 1983년 12월 23일 산청군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지리산 천왕봉에서 흘러내린 산줄기가 중봉과 하봉으로 이어져,

쑥밭재 ~ 새봉 ~ 새재 ~ 외고개 ~ 왕등재 ~ 깃대봉 ~ 도토리봉을 거쳐,

국도 59호선이 지나는 밤머리재를 건너 경호강으로 스러지기에 앞서 우뚝 치솟은,

그 옛날 곰이 떨어져 죽었다는 전설을 간직한 봉우리라던가?

미세먼지가 물러가지 않고 그대로인지라 눈요기가 별로인데,

왜 이다지도 심술을 부리며 애를 먹이는 걸까?

 

천왕봉과 중봉에서 흘러내린 산줄기들

 

 

동부능선

 

 

 

 

 

 

왕산과 필봉산

 

 

산청읍

 

 

정수산과 둔철산

 

 

 

 

 

 

 

 

 

 

 

 

 

 

 

 

 

 

웅석봉 삼각점(산청 25)

 

 

 

 

 

 

 

 

 

 

다시 돌아온 밭등 삼거리,

달뜨기능선을 따라 1033.3m봉 그리고 큰등날봉으로,

홍계 9.5km · 다물평생교육원 8.1km · 웅석봉 0.4km · 밤머리재 4.9km를 가리키고

 

1033.3m봉 삼거리에서 1분 정도 갔을까,

거의 다 외면하고 지나치는 1033.3m봉 정상부로 올라서자,

답답하던 그전과는 달리 제법 훤해졌다는 걸 알 수 있는데,

달뜨기능선에 전망대가 하나 더 늘었다고나 할까?

 

상투봉(상투바위)과 석대산을 잇는산줄기

 

 

상투봉,

그 뒤엔 집현산이 이어받고

 

정수산과 둔철산

 

 

달뜨기능선과 웅석봉

 

 

 

 

 

 

도토리봉 및 왕산과 필봉산

 

 

소나무 사이로 보이는 천왕봉과 중봉

 

 

 

 

 

 

큰등날봉 경유 또는 우회하는 길로 나뉘는 삼거리,

웅석봉 1.1km라 되어 있던 건 엉터리로 2.6km 정도 된다는데,

마루금을 따라 큰등날봉으로 길이 나면서 우회로는 죽은 길이 되어 버렸으며,

일부 산꾼들은 이정표만 보고선 민족다물학교 갈림길이라 잘못 소개하기도,

민족다물학교는 다물평생교육원으로 명칭이 바뀌었는 걸로,

 큰등날봉 또한 40m 아닌 100m는 되지 않을까?

 

큰등날봉 정상부,

산청군 삼장면 홍계리로 흘러내린 큰등날로 갈림길이 있는데, 

16시가 다된 걸로 봐선 큰등날을 타고 사방댐으로 내려서는 게 맞지만,

그렇게 하기엔 좀은 억울하단(?) 생각이 슬슬 드는 게 아닌가?

어떻게 할까?

잠깐의 망설임 끝에 결론을 내리길,

1005m봉과 990.9m봉을 지나 안테나가 서 있는 곳에서 딱밭실골로 내려가기로,

어쩌면 무리한 선택일지도 모르지만, 

억지로라도 가면 또 가게 되는 게 아니던가?

삼장면 홍계 3.3km를 가리키고

 

 

 

 

 

 

 

 

 

나무 사이로 천왕봉과 중봉이 보이고

 

 

간벌작업을 하고선 치우지 않아 등산로가 어지러운 곳도 없지 않고

 

 

1005m봉,

달뜨기능선에선 가장 멋진 소나무와 전망대가 자리 잡았으며,

이제부터 1,000m대 봉우리가 사라지는 곳이기도 한데,

 웅석봉에 이르는 달뜨기능선은 말할 것도 없고,

천왕봉과 중봉을 비롯한 지리산 일대가 잘도 들어오는 곳으로,

제아무리 바쁘기로소니 어찌 그냥 칠 수 있으랴?

 

 

 

 

 

웅석봉으로 이어지는 달뜨기능선

 

 

 

 

 

 

웅석봉

 

 

 

 

 

 

밤머리재 뒤로 보이는 왕산과 필봉산

 

 

홍계리 일대와 동부능선  

 

 

 

 

 

 

 

 

 

 

990.9m봉에서 돌아본 1005m봉

 

 

정수산과 둔철산

 

 

청계저수지,

그 뒤엔 상투봉이고

 

석대산,

그 뒤엔 산청군 신안면 원지가 보이고

 

홍계리와 동부능선

 

 

990.9m봉 - 960.6m봉 안부,

웅석봉에서 달뜨기능선을 함께하던 진양호와 덕산 지리태극이 나뉘는 곳으로,

웅석봉 4.0km · 홍계(딱바실계곡) 5.9km · 다물평생교육원 4.5km를 가리키고

 

 

 

 

 

공터 오거리,

백운계곡과 딱바실계곡(딱밭실골, 험로)으로 나뉘는 곳으로,

바로 위엔 960.6m봉 바로 아래로 이어지는 갈림길도 있으며,

 딱바실계곡 4.8km · 웅석봉 5.1km를 가리키고

 

안테나인지 풍향 및 풍속 측정장치인지가 서 있는 딱바실계곡(딱밭실골) 갈림길,

꽤나 부지런히 왔건만 어느새 16시 43분이나 됐는데,

제법 서두르지 않으면 어두워져서야 끝이 날 듯,

기울기가 장난 아닌 내리막길이라 그 또한 쉽지 않지만,

마음만 바쁘다 뿐이지 몸이 따라 줄지?

 

 

 

 

 

마침내 가파른 산줄기를 벗어나 딱밭실골로 내려서고

 

 

 

 

 

 

 

 

 

 

 

 

 

 

 

 

 

 

 

 

 

 

 

 

 

 

 

 

 

 

 

 

 

 

딱밭실골 사방댐,

그 뒤엔 도토리봉이 보이는데,

땅거미 아니 경상도에선 어둑살이라 하는 게 내려앉는 걸,

헤드랜턴을 가져 왔기에 어두워져도 상관없지만,

아직도 제 나와바리(nawabar)i를 벗어나지 않은 나그네를 위협하는 고라니 울음소리,

덕산 지리태극이란 것도 나 홀로 했는데,

고라니 아닌 반달가슴곰이 울부짖은들 기가 죽을 내가 아니지!

그 연놈들은 이미 겨울잠에 빠져 있을 테지만.

반달가슴곰은 여간해선 소리를 내지 않는다던가?

 

큰등날봉 등산 안내도,

엄청 낡아 버려 뭐가 뭔지도 알 수 없게 됐는데,

사방댐과 큰등날봉을 잇는 큰등 등산로 입구이고

 

사방댐

 

 

 

 

 

 

 

 

 

 

 

 

 

 

 

 

 

 

 

 

 

 

 

 

 

 

 

7시간 30분 만에 다시 돌아온 공무원 근로복지시설 및 산청공무원휴양시설,

순간의 선택이 평생을 좌우한다던가,

큰등날봉에서 큰등을 타고 내려갔더라면 벌써 끝났을 것을,

쓰잘머리 없는 욕심을 부리는 바람에 난감할 수밖에 없었다고나,

어쨌거나 무사히 끝맺음을 할 수 있어 다행이긴 하고,

아는 길이 아니었더라면 언감생심(焉敢生心)일 수밖에 없었겠지만,

차에 오른다.

그리곤 떠난다.

진양호 노을빛이 참 고운 내 사는 진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