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권 산행기

악대실골로 오른 웅석봉

큰집사람 2019. 4. 25. 21:05

 

* 날    짜 : 2019년 4월 25일(목요일)

* 날    씨 : 비

* 산 행 지 : 악대실골 - 1066m봉 - 웅석봉 - 1034m봉 - 큰등날봉 - 딱밭실골 사방댐

* 산행시간 : 6시간 45분(운행시간 5시간 41분 + 휴식시간 1시간 04분)

* 산행속도 : 보통 걸음

* 산행인원 : 1명(나 홀로)

 

   

 

 

* 산행일정

11:00          공무원근로복지시설 및 산청공무원휴양시설

11:04          지석골 들머리

11:10 - 11:15  악대실골 콘크리트다리(사방댐 아래, 250m)

11:25          첫 번째 폭포

11:33          악대실골 최고의 폭포

11:40 - 11:43  세 번째 비포장도로(미끄러지는 폭포와 물웅덩이) 

11:47          쌍폭

11:58          첫 번째 합수지점(390m)

12:18          두 번째 합수지점(440m)   

12:36          세 번째 합수지점(500m)

12:56 - 13:18  네 번째 합수지점(숯가마터, 570m)

13:38          다섯 번째 합수지점(640m)  

14:56 - 15:04  웅석봉 등산로 접속(1066m봉)

15:11          밭등

15:13          웅석봉 헬기장

15:20 - 15:30  웅석봉(산청 25, 1099.3m)

15:34          웅석봉 헬기장  

15:37          밭등 

16:12 - 16:15  1034m봉

16:26 - 16:29  큰등날봉(999m)

16:48 - 16:51  장군바위

16:52          1420m지점

17:02          1120m지점

17:09          840m지점

17:16          500m지점

17:24          사방댐 위 큰등날봉 등산로 입구

16:26 - 16:33  딱밭실골 사방댐

17:37          악대실골 들머리

17:45          공무원근로복지시설 및 산청공무원휴양시설

 

 

 

 

 

 

공무원근로복지시설 및 산청공무원휴양시설,

산청군 삼장면 홍계리 151 - 3에 위치하고 있으며, 

앞에서 볼 때 왼쪽은 공무원근로복지시설이요,

오른쪽은 산청공무원휴양시설이라고 하는데,

딱밭실골과 악대실골이 만나는 사방댐 아래 합수지점에서 악대실골로 들어가,

왕재와 밭등을 잇는 등산로가 지나는 1066m봉으로 빠져나가,

웅석봉을 찍고 돌아선 밭등에서 달뜨기능선을 따라가다,

1034m봉을 거쳐 큰등날봉에서 큰등을 타고 사방댐으로 내려서서 돌아오기로,

비다운 비도 오지 않으면지 며칠째 이어지는 시원찮은 날씨,

오늘은 좀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진주를 떠났건만,

아니나다를까 아미랑재를 넘어서자 기대를 접게 하는데,

쏟아지는 건 아닐지라도 달리는 차창을 적시는 빗줄기,

이 어찌 돌아설까 말까 갈등이 생기지 않을 수가,

언제 그칠지도 알 수 없는 비를 맞으면서 산행을 해야 하나?

어떻게 해서 나온 집인데 그냥 돌아갈 수야?

비가 온다고 밥을 안 먹는 것도 아닌데,

 비가 온다고 산행을 못하는 건 아니지.

에라 모르겠다.

가는 데까지 가 보자.

그러다 보면 어쩌면 끝이 보이지 않을까?(11:00) 

 

 

 

 

 

 

 

 

 

병꽃이라던가?

 

 

딱밭실골로 흘러드는 지석골,

일부 산꾼들이 지시골이라 소개하고 있는데,

언젠가 가는 날이 있겠지?(11:04)

 

 

 

 

 

 

 

 

 

 

 

 

 

 

 

 

 

 

 

 

 

 

 

 

 

딱밭실골 사방댐,

바로 아랜 딱밭실골과 악대실골이 만나는 합수지점이요,

딱밭실골은 달뜨기능선과 연계하여 더러 다닌 편이지만,

악대실골은 힐끔거리기만 했을 뿐 간 적은 없는데,

 드디어 해묵은 숙제를 해결하러 들어간다고나,

악대실골,

어떤 모습으로 날 맞으려나?(11:10 - 11:15)

 

악대실골을 가로지르는 이름 없는 콘크리트다리,

다리 밑으로 들어가 처음부터 악대실골을 치올라 가고

 

 

 

 

 

 

 

 

 

 

 

 

 

10분쯤 지났을까,

그럴싸한 물웅덩이를 갖춘 첫 번째 폭포가 반기는데,

앞으로도 줄줄이 폭포가 이어지면서 눈을 즐겁게 하고(11:25)

 

쓰러진 움막?

 

 

 

 

 

 

곰바우산약초농장

 

 

 

 

 

 

악대실골을 건너는 비포장도로,

곰바우산약초농장 정문으로 이어지는 길이고(11:32)

 

협곡을 이루며 떨어지는 폭포,

생김새가 중봉골의 용추폭포와 비스무리한 느낌인데,

악대실골에선 제일가는 최고로 멋진 폭포가 아닐까?(11:33)

 

 

 

 

 

 

 

 

 

 

 

 

 

 

 

 

 

세 번째로 비포장도로를 만나는 곳인데,

미끄러지듯 흘러내리는 물줄기와 물웅덩이가 볼거리를 선사하는가 하면,

산괴불주머니와 금낭화가 한데 어우러지고(11:40 - 11:43)

 

 

 

 

 

 

 

 

 

 

 

 

 

 

 

 

 

 

 

 

 

 

 

 

 

쌍폭(11:47)

 

 

 

 

 

 

 

 

 

 

 

 

 

 

 

 

 

 

 

 

 

 

 

 

 

 

첫 번째 합수지점,

악대실골이 처음으로 좌골과 우골로 나뉘는 곳으로,

악대실골에선 모두 다섯 차례에 걸쳐 좌골과 우골로 나뉘는데,

마지막 다섯 번째를 제외하곤 우골 아닌 좌골이 본류이며,

첫 번째 합수지점의 우골을 악대실골 우골이라 부르기도 하는 듯

달뜨기능선의 1034m봉과 큰등날봉 사이로 이어진다는 악대실골 우골,

언젠간 가야 할 또 하나의 숙제가 생겼다고나?(11:58, 390m)

 

 

 

 

 

악대실골 우골

 

 

 

 

 

 

 

 

 

 

 

 

 

 

 

 

 

 

 

 

 

 

 

 

 

 

 

 

 

 

 

 

 

 

 

 

 

 

 

 

 

 

두 번째 합수지점,

악대실골이 두 번째로 좌골과 우골로 나뉘는 곳으로,

첫 번째와 마찬가지로 우골 아닌 좌골이 본류이며,

달뜨기능선 어딘가로 이어지는 우골도 꽤 큰 듯하고(12:18, 440m)

 

 

 

 

 

우골

 

 

 

 

 

 

 

 

 

 

 

 

 

 

 

 

 

 

 

 

 

 

 

 

 

 

왼쪽에서 자그마한 물줄기가 합류하는데,

평소에는 마른 계곡이나 다름없을 것 같으며,

본류에선 훌륭한 폭포가 눈요기를 시키고(12:28)

 

 

 

 

 

 

 

 

 

 

 

 

 

 

 

 

 

 

 

 

 

 

 

 

 

 

 

 

 

 

 

 

 

 

또다시 왼쪽에서 자그마한 물줄기가 합류하지만,

이 또한 평소에는 마른 계곡일 게 틀림없을 것 같으며,

본류엔 미끄러지듯 흘러내리는 폭포가 눈요기를 선사하는데,

이제부턴 한동안 통바위지대가 쭉 이어지게 되는 걸,

바로 위엔 악대실골이 세 번째로 좌골과 우골로 나뉘는 곳으로,

본류인 좌골에 비해 우골은 지계곡 수준이라고나?(12:36, 500m)

 

 

 

 

 

 

 

 

 

 

 

 

 

 

 

 

 

 

우골

 

 

 

 

 

 

 

 

 

 

 

 

 

 

 

 

 

 

 

왼쪽에서 흘러드는 아주 자그마한 지계곡,

비가 그치지마자 마른 계곡으로 바뀔 듯,

본류엔 계속해서 통바위지대가 이어지고(12:46)

 

 

 

 

 

 

 

 

 

 

 

 

 

 

 

 

 

 

 

 

 

 

 

 

 

악대실골이 네 번째로 좌골과 우골로 나뉘는데,

세 번째와 마찬가지로 좌골에 비해 우골은 지계곡이라고나?

본류인 좌골 바로 위엔 멋들어진 폭포가 자리하고 있으며,

합수지점 왼쪽으론 숯가마터 흔적이 보이기도,

떡으로 요기를 하느라 좀 머무르고(12:56 - 13:18, 570m)

 

 

 

 

 

우골

 

 

숯가마터

 

 

 

 

 

 

 

 

 

 

 

 

 

 

 

 

 

 

왼쪽에서 흘러드는 아주 작은 실계곡,

협곡을 이루는 본류로는 올라갈 수 없어 실계곡을 건너 우회하는데,

두 동강이가 난 바위가 눈길을 끌기도 하고(13:23)

 

 

 

 

 

 

 

 

 

 

 

 

 

 

 

 

 

 

 

 

 

 

 

 

 

악대실골이 다섯 번째이자 마지막으로 좌골과 우골로 나뉘는데,

여태까지 네 번 다 우골 아닌 좌골이 본류였지만,

엇비슷해 보이긴 해도 좌골 아닌 우골이 본류인 듯,

우골은 1066m봉 부근으로 빠져나간다고 하는데,

좌골은 어디로 빠져나가는 걸까?

상투봉 좀 아래가 아닐까?

이 또한 숙제로 남길 수밖에는,

한꺼번에 모든 걸 해결할 수는 없지 아니한가?(13:38, 640m)

 

좌골

 

 

 

 

 

 

 

 

 

 

 

 

 

 

오른쪽으로 우회하여 올라가고

 

 

 

 

 

 

 

 

 

 

 

 

 

 

 

 

 

 

 

 

 

 

 

 

 

 

 

 

 

 

 

 

 

 

 

 

 

 

 

 

 

 

 

 

 

 

 

 

 

 

 

 

 

 

 

 

 

 

왼쪽 사면으로 너덜지대가 펼쳐지기도 하고

 

 

 

 

 

 

 

 

 

 

 

 

 

 

 

 

 

 

 

 

 

 

 

 

 

 

 

 

 

 

 

 

 

 

 

 

 

 

 

 

 

 

 

 

 

 

 

 

 

 

 

 

 

 

 

 

 

 

 

 

 

 

 

 

 

 

 

 

 

 

 

현호색

 

 

 

 

 

 

 

 

 

 

 

 

 

 

 

 

 

 

 

 

 

 

 

 

 

 

 

 

 

 

 

 

 

 

 

 

 

 

골짝의 형태를 완전히 잃어버린 악대실골,

오가는 이들이 그다지 많지 않은지 별스레 뚜렷하진 않지만,

그늘사초가 깔린 양탄자와도 같은 길이 이어받아 문제가 되진 않고(14:48)

 

 

 

 

 

 

 

 

 

 

 

 

 

 

 

 

 

 

 

 

 

8분쯤 지났을까,

상투봉과 1079m봉 사이의 웅석봉 등산로로 올라서자,

왼쪽은 조금 낮은 봉우리요 오른쪽은 조금 더 높은 1066m봉인데,

두 봉우리의 중간쯤 되는 지점이라고나 할까,

 숨을 고르고 목을 축이면서 표지기를 남기고선 웅석봉으로,

가 봤자 아무것도 보이지 않을 게 뻔하지만,

그렇다고 안 간다는 건 웅석봉에 대한 예의가 아니라고나?(14:56 - 13:04)

 

 

 

 

 

 

 

 

 

 

 

 

 

1066m봉보다 조금 낮은 봉우리

 

 

곰골 쪽으론 최고의 낭떠러지이고(15:05)

 

 

 

 

 

 

히어리

 

 

 

 

 

 

밭등이라 부르는 1079m봉 아래 삼거리,

웅석봉을 찍고 다시 돌아와 달뜨기능선을 타고 가야 하는데,

홍계 9.5km · 다물평생교육원 8.1km · 웅석봉 0.4km · 밤머리재 4.9km를 가리키고(15:11)

 

 

 

 

 

 

 

 

 

웅석봉 헬기장,

곰골과 청계 갈림길이기도 하며,

웅석봉 0.3km · 밤머리재 5.0km · 내리 5.0km · 청계 8.1km · 우물 50m를 가리키고(15:13)

 

 

 

 

 

웅석봉 삼거리,

내리 5.3km · 어천 2.5km · 청계 8.4km · 밤머리재 5.3km를 가리키고

 

 

 

 

 

 

 

 

 

 

 

 

 

 

 

 

 

웅석봉,

지난 4월 17일에 이어 8일 만이요,

올해 들어선 나랑은 다섯 번째 만남인 셈인가?

웅석봉은 1983년 12월 23일 산청군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지리산 천왕봉에서 흘러내린 산줄기가 중봉과 하봉으로 이어져,

쑥밭재 ~ 새봉 ~ 새재 ~ 외고개 ~ 왕등재 ~ 깃대봉 ~ 도토리봉을 거쳐,

국도 59호선이 지나는 밤머리재에서 경호강으로 스러지기에 앞서 우뚝 치솟은,

그 옛날 곰이 떨어져 죽었다는 전설을 간직한 봉우리라던가?

 이럴 줄 모르고 찾은 건 아니건만,

진달래가 살짝 한물간 느낌이 들어 아쉽기도 한데,

자욱한 안개 때문에 아무것도 보이지 않으니 더더욱 그럴 수밖에,

활짝 핀 진달래와 더불어 지리산 천왕봉을 우러러보자면,

또다시 1년이란 기나긴 세월을 기다려야 할 듯,

세상만사 제 맘대로 되는 게 그 어디 있다던가?(15:20 - 15:30 1099.3m)

 

 

 

 

 

 

 

 

 

 

 

 

 

 

 

 

 

 

 

 

 

 

 

 

 

웅석봉 삼각점(산청 25)

 

 

 

 

 

 

 

 

 

 

 

 

 

 

 

 

 

 

 

 

 

 

웅석봉 헬기장,

웅석봉 0.3km · 밤머리재 5.0km · 내리 5.0km · 청계 8.1km · 우물 50m를 가리키고(15:34)

 

 

 

 

 

다시 돌아온 밭등 삼거리,

달뜨기능선을 따라 1034m봉 그리고 큰등날봉으로,

홍계 9.5km · 다물평생교육원 8.1km · 웅석봉 0.4km · 밤머리재 4.9km를 가리키고(15:37)

 

 

 

 

 

 

 

 

 

 

 

 

 

 

 

 

 

1034m봉 삼거리에서 1분 정도 갔을까,

거의 다 외면하고 지나치는 1034m봉 정상부 올라서자,

답답하던 그전과는 달리 제법 훤해졌다는 걸 알 수 있는데,

이름 모를 독지가(篤志家)가 작정을 하고 거치적거리는 나무를 제거한 듯,

이 정도 가지고는 자연훼손이랄 것도 없고 좋지 아니한가?(16:12 - 16:15)

 

 

 

 

 

다시 1034m봉 삼거리로 돌아가지 않고 산줄기를 따라 나아가다,

바위지대가 막아서는 곳에서 오른쪽으로 내려서자 우회하는 길과 만나고(16:18)

 

 

 

 

 

 

 

 

 

큰등날봉 경유 또는 우회하는 길로 나뉘는 삼거리,

웅석봉 1.1km라 되어 있던 건 엉터리로 2.6km 정도 된다는데,

마루금을 따라 큰등날봉으로 길이 나면서 우회로는 죽은 길이 되어 버렸으며,

일부 산꾼들은 이정표만 보고선 민족다물학교 갈림길이라 잘못 소개하기도,

민족다물학교는 다물평생교육원으로 명칭이 바뀌었는 걸로,

 큰등날봉 또한 40m 아닌 100m는 되지 않을까?(16:23)

 

큰등날봉,

산청군 삼장면 홍계리 쪽으로 갈림길이 있는데, 

이제 달뜨기능선에서 벗어나 큰등을 따라 사방댐으로 내려서기로,

삼장면 홍계 3.3km를 가리키고(16:26 - 16:29, 999m)

 

 

 

 

 

 

 

 

 

 

 

 

 

 

 

 

 

 

 

 

 

장군바위,

부근에선 엄청난 위용을 자랑한다고나?(16:48 - 16:51)

 

1420m지점,

딱밭실골 사방댐 들머리로부터 1420m란 뜻이며,

곧장 내려서던 등산로가 왼쪽으로 팍 꺾이면서 이어지는데,

바위지대를 넘어서면 사방댐 아래 곰바우산약초산장으로 떨어지게 되더란,

그전에 그리로 내려간 적이 있는 걸.(16:52)

 

 

 

 

 

1120m지점(17:02)

 

 

840m지점(17:09)

 

 

500m지점(17:16)

 

 

 

 

 

 

사방댐 위 큰등날봉 등산로 입구,

홍계리에서 올라가면 딱밭실골과 큰등날봉으로 나뉘는 곳으로,

세월이 흐르면서 큰등날봉 등산안내도도 많이 낡아 버렸는데,

애당초부터 큰등날봉 아닌 큰들날봉으로 잘못 되어 있었으며,

<여기서 큰등날봉까지 2040m>란 것도 사라지고 없는 걸.(17:24)

 

낡은 큰등날봉 등산 안내도

 

 

자료사진

 

 

이건 어디로 갔는지,

곰이 물고 갔을까?

 

 

 

 

 

 

 

 

 

딱밭실골 사방댐,

꽤 오랜만에 왔는데 구경을 하고 가기로,

안 그래도 어차피 그냥 갈 순 없을 테지만(16:26 - 16:33)

 

 

 

 

 

 

 

 

 

 

 

 

 

 

 

 

 

 

 

 

 

 

 

 

 

 

 

 

 

곰바우산약초농장,

큰등날봉 등산로 입구 160m를 가리키고

 

 

 

 

 

 

 

 

 

 

 

 

 

아까 올라간 악대실골 들머리(17:37)

 

 

 

 

 

 

6시간 45분 만에 다시 돌아온 공무원근로복지시설 및 산청공무원휴양시설,

악대실골로 웅석봉으로 올라 1034m봉과 큰등날봉을 거쳐 오는, 

오랫동안 가슴속에 묻어 둔 해묵은 숙제 하날 해결한 셈이며,

온종일 가랑비가 내리는 궂은 날씨와 짙은 안개로 눈요기는 시원찮았지만,  

산을 다니다 보면 이런 날 또 저런 날이 있기 마련인 것을,

그 누구랑도 아닌 나 홀로요,

내내 사람이라곤 그림자조차도 만나지 못했는데,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진행한 것만 해도 장하다고나?

차에 오른다.그리곤 떠난다.

진양호 노을빛이 참 고운 내 사는 진주로(17: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