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권 산행기

백수 첫날 오락가락하는 장맛비와 함께한 진주 광제산

큰집사람 2016. 7. 1. 14:29

* 날      짜 : 2012년 7월 1일(금)

* 날      씨 : 흐리고 비

* 산  행 지 : 홍지주차장 - 광제서원 갈림길 - 덕곡 갈림길 - 광제산 - 약샘 - 홍지주차장

* 산행거리 : 4.1km

* 산행시간 : 2시간 00분(운행시간 1시간 28분 + 휴식시간 32분)

* 산행속도 : 보통 걸음

* 산행인원 : 1명(나 홀로)

 

 

 

 

 

 

 

* 산행일정 

10:05          진주 명석면 계원리 홍지주차장  

10:22          광제서원 갈림길(광제산 11지점) 

10:45          덕곡마을 갈림길(광제산 10지점) 

10:55 - 11:22  광제산(420m, 광제산 9지점)  

11:24          약샘 갈림길 안부 

11:32 - 11:37  약샘(광제산 7지점) 

12:04          지방도 1006호선(광제산로) 

12:05          홍지주차장 

 

 

 

 

 

 

 

 

 

* 2016년도 딱 반이 흘러가고 하반기로 들어서는 7월 1일,

34년 7개월 보름 동안 재직한 국가공무원에서 물러나,

  진짜배기 백수 생활이 시작되는 날이기도 한데,

그 역사적인 첫날부터 집에만 처박혀 있기엔,

아무래도 억울하고 또 따분하지 않을는지?

 

어디로 갈까?

많은 비가 내릴 거라는 지리산은 무리이고 보면,

장맛비가 오락가락하는 진주 부근에서나 놀 수밖에는,

그러다 또 설사 많은 비가 쏟아진다 한들,

  비에 젖으나 땀에 젖으나 어차피 그게 그거 아니던가?

 

일단 나서기만 하면 답은 나오기 마련,

홍지주차장을 축으로 광제산 원점산행은 어때서?

늘 바라보면서도 언제 갔는지 그 기억조차 가물가물한,

토종 소나무 숲길로 유명한 광제산으로 가는 거다.

 

 

 

 

 



* 백두대간 남덕유산(1507.4m)에서 흘러내린 진양기맥,

금원산(1352.5m)과 황매산(1113m)을 거쳐 자굴산(897.1m)과 집현산(577m)을 일구고,

진양호로 스러지기에 앞서 다시 한 번 솟구친 산이 광제산(420m)이다.

광제산은 진주 시내에서 자동차로 15분 남짓이면 닿는 곳으로,

조선시대 통신수단이던 봉수대가 복원되어 있다.

광제산 등산로는 바위가 거의 없는 부드러운 흙길인데다,

한국산 토종 소나무가 숲을 이루며 길을 덮고 있다.

광제산을 중심으로 남으로 명석면사무소까지가 10㎞요, 

북으로 집현산까지의 10㎞를 더하면 그 길이만도 20㎞에 이르는,

전국 최고의 토종 소나무 웰빙 등산로라며 자랑이 대단하다.

게다가 산행코스도 4㎞ ~ 20㎞로 다양한 편이라,

체력에 맞춰 산행거리를 골라잡을 수 있어 더욱 좋은 곳이다.

 

 

 

 

 

 

* 구간거리(4.1km) 

 

* 홍지주차장 - 1.0km - 광제서원 갈림길 - 1.0km - 광제산 - 0.4km - 약샘 - 1.7km - 홍지주차장

 

 

 

 

 

 

 

 

 

 

진주시 명석면 계원리 홍지주차장,

장맛비가 오락가락하는 가운데 광제산으로,

어차피 비를 맞을 각오를 하고선,

피할 수 없으면 즐겨라고 하지 않았던가?(10:05)

 

 

홍지주차장에서 바라본 광제산 일대,

비구름과 안개에 싸여 드러나지도 않고

 

 

 

 

 

 

 

 

 

 

 

 

 

 

 

 

 

 

 

 

 

 

 

 

 

 

 

 

 

 

 

 

 

 

 

 

 

 

 

 

 

 

 

 

 

 

 

 

토종 소나무 숲길이 이어지고

 

 

 

 

 

 

 

광제산 11지점인 광제서원 갈림길 사거리,

 여태까지와는 달리 쭉 가풀막이 이어지고(10:22)

 

 

 

 

 

 

흙으로 돌아가는 나무,

인생 또한 그러하지 않을는지?

 

 

늦둥이 산딸기라고나 할까?

 

 

 

 

 

 

 

 

 

 

 

오랜만에 두꺼비를 만나는 행운(?)을,

아무래도 비가 좀 오지 않을는지?

 

 

 

 

 

 

 

 

 

 

 

 

 

 

쭉 이어지는 가풀막으로 올라선 덕곡마을 갈림길,

이제 광제산 정상이 멀지 않은 듯,

광제산 10지점이도 하고(10:45)

 

 

 

 

 

 

 

 

 

 

 

 

 

 

 

 

 

 

 

 

 

 

 

 

 

 

 

 

 

 

 

 

 

 

 

 

 

 

마침내 산불감시시설이 그 모습을 드러내는가 싶더니,

봉수대가 자리 잡은 광제산 정상으로 올라서는데,

남덕유산에서 흘러내린 진양기맥이 지나는 광제산,

2013년 봄 진양기맥을 종주할 때의 기억이 되살아나기도,

 안개가 자욱하여 아무것도 보이는 게 없어 아쉽기도 하지만,

광제산 정상부만 둘러본들 뭐가 또 어때서?

광제산 9지점이기도 하고(10:55 - 11:22)

 

 

 

 

 

 

 

 

 

 

 

 

 

 

 

 

 

 

 

 

 

 

 

 

 

 

 

 

 

 

 

 

 

 

 

 

 

 

 

 

 

 

 

 

 

 

 

 

 

 

 

 

 

 

 

 

 

 

 

 

 

 

 

 

 

 

 

 

 

 

 

 

 

 

 

 

 

 

 

 

 

 

 

 

 

 

 

 

 

 

 

 

 

 

 

 

 

 

 

 

 

 

 

 

 

 

 

 

 

 

 

 

 

 

 

 

 

 

 

 

 

 

 

 

 

 

 

 

 

 

 

 

 

 

 

 

 

 

 약샘 갈림길 안부,

415m봉 아닌 약샘을 거쳐 홍지주차장으로 내려가기로,

짧게나마 함께한 진양기맥 산줄기와도 헤어지는데,

약샘까지 0.2km라지만 실제론 0.3km는 되고(11:24)

 

 

 

 

 

 

 

 

 

 

 

 

 

 

 

 

 

 

 

 

 

 

 

 

 

 

 

 

 

 

 

 

 

 

광제산 7지점인 약샘,

 10m 남짓 들어가자 물이 졸졸 나오는데,

장마철치곤 그 양이 어찌나 적은지,

이건 뭐 병아리 눈물이라고나 할까?(11:32 - 11:37) 

 

 

 

 

 

 

질경이

 

 

 

 

 

 

 

 

 

 

 

 

 

 

 

 

 

 

 

 

 

 

 

 

 

 

 

 

 

 

 

 

 

 

 

 

 

 

 

 

 

 

 

또 다른 두꺼비란 놈을 만나고

 

 

 

 

 

 

 

멧돼지 목욕탕이 아닐는지?

 

 

 

 동전마을과 홍지마을을 잇는 포장임도가 지나는 안부 오거리,

이제 홍지주차장이 얼마 남지 않은 듯하고(11:55)

 

 

 

 

 

 

홍지주차장이 코앞에 보이는 광제산로라 부르는 지방도 1006호선으로 내려서는데,

 이제 30m 정도만 더 가면 광제산 원점산행은 끝이 나고(12:04)

 

 

 

 

 

 

 

 

 

 

 

 

 

 

 

 

 

 

 

 

 

 

 

 

 

 

 

 

 

 

 

 

 

 

 

 

 

 

꼭 2시간 만에 다시 돌아온 홍지주차장,

홍지주차장을 축으로 한 광제산 원점산행이 완성된 셈이요,

마치 참았기라도 한듯이 때를 같이하여 빗줄기가 쏟아지는데,

이만하면 백수가 된 첫날의 기념산행으로선 괜찮지 않을는지?

 굳이 지리산 어딘가는 아닐지라도(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