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권 산행기

눈으로 실컷 눈구경을 하면서 즐긴 남덕유산(2)

큰집사람 2016. 1. 15. 19:49

* 날    짜 : 2016년 1월 15일(금요일)

* 날    씨 : 흐리고 눈발

* 산 행 지 : 영각교 - 영각탐방지원센터 - 영각재 - 중봉 - 남덕유산 - 서봉 - 삼자봉 - 영각교

* 산행시간 : 5시간 32분(운행시간 4시간 41분 + 휴식시간 51분)

* 산행속도 : 보통 걸음

* 산행인원 : 1명(나 홀로)

 

 

 

 

 

 

 

이윽고 남덕유산 정상석이 날 반기는데,

지지난해 1월 12일과 1월 25일 연속으로 오르고선,

거의 2년이 다 되어서야 다시 찾은 셈이요,

지난해 12월 31일 북덕유산 향적봉에 이어,

1월이 가기에 앞서 남덕유산마저 오르게 됐으니,

 올 겨울엔 제법 덕유산과 인연이 많다고나 할까?

향적봉대피소 15.0km · 영각탐방지원센터 3.4km를 가리키고(12:28 - 12:35)

 

 

 

 

 

 

 

 

 

 

남덕유산을 뒤로 하고 서봉으로

 

 

 

 

 

 

 

 

 

 

 

 

 

 

 

 

 

남덕유산 - 서봉 - 월성재 갈림길인 거창군 극서점 공터,

삿갓재대피소 4.2km · 남덕유산 0.1km를 가리키는데,

이정표엔 없지만 가야 할 서봉은 1.4km가 아닐는지?

잠깐 머물며 간식으로 요기를 하고(12:39 - 12:46)

 

남덕유산으로 이어지고  

 

 

월성재로 이어지고

 

 

서봉으로 이어지고

 

 

 

 

 

 

 

 

 

 

 

남덕유산을 경유하지 않는,

서봉 - 월성재 지름길 삼거리에서 서봉으로(12:52)

 

 

 

 

 

 

 

덕유계곡 갈림길,

못 본 척한 채 그냥 지나치고(12:54)

 

 

 

 

 

 

 

 

 

 

덕유 11 - 16지점(13:03, 1352m)

 

 

 

 

 

 

 

 

 

 

 

 

 

 

 

 

 

 

 

 

 

 

 

 

 

 

 

 

 

 

 

 

 

 

 

 

 

 

 

 

 

 

 

 

 

 

 

 

 

 

 

 

 

 

 

 

 

 

 

 

 

 

 

 

 

 

 

 

 

 

 

 

 

 

 

 

 

 

 

 

 

 

 

 

 

 

45개의 쇠계단이 먼저 나오고

 

 

 

 

 

 

 

 

 

 

 

 

 

 

 

 

 

 

 

 

 

 

 

 

 

 

서봉 헬기장으로 이어지는 71개 쇠계단,

오늘따라 좀은 천천히 걸어서 인지,

 아직은 별스레 힘든 줄을 모르겠고

 

 

 

 

 

 

 

 

 

 

 

 

 

 

 

 

 

 

 

쇠계단을 따라 서봉 헬기장으로 올라서지만,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걸 어떡하랴?(13:21)

 

 

 

 

 

 

 

 

 

 

서봉 정상이 희미하게나마 그 모습을 드러내고  

 

 

 

 

 

 

 

 

 

 

 

시시때때로 변하면서 조화를 부리긴 하지만,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건 서봉 정상도 마찬가지,

휘몰아치는 칼바람만이 날 맞을 뿐인데,

어차피 먼 곳을 본다는 건 이미 포기하지 않았던가?

가까운 것만 해도 이게 어딘가?

장수 덕유산이라고도 부르는 서봉,

덕유 11 - 15지점이기도 하고(13:23 - 13:31, 1492m)

 

 

 

 

 

 

 

돌아본 서봉 헬기장

 

 

 

 

 

 

 

 

 

 

 

 

 

 

 

 

 

 

 

 

 

 

 

 

 

 

 

 

 

 

 

 

 

 

 

 

 

 

샘터 갈림길이기도 한 서봉 바로 아래 공터,

육십령 7.3km · 남덕유산 1.5km를 가리키고(13:32)

 

 

 

 

 

 

 

 

 

 

 

 

 

 

 

 

 

 

 

 

 

 

 

 

 

 

 

 

 

 

 

 

 

 

 

 

 

 

 

 

 

 

 

 

 

 

 

 

 

 

 

 

 

 

 

돌아본 서봉,

사정은 조금도 나아지질 않았고

 

 

 

 

 

 

 

 

 

 

덕유 11 - 14지점(13:43, 1392m)

 

 

 

 

 

 

 

 

 

 

 

 

 

 

 

 

 

 

 

 

 

 

 

 

 

 

 

 

 

 

 

 

 

 

 

 

 

 

 

 

 

 

 

 

 

 

 

 

 

 

 

 

 

 

 

 

 

 

 

 

덕유 11 - 13지점(13:54, 1292m)

 

 

크지도 않고 별다른 특징도 없는 것 같기에,  

여태껏 관심도 두지 않은 채 무심코 그냥 지나쳤지만,

어느 순간 우연히 나도 모르게 눈길이 갔는데,

갈라진 틈을 사이에 두고 거의 똑같이 생겼으니,

 쌍둥이바위라고 해도 되지 않을는지?(14:00)

 

 

 

 

큼지막한 바위지대론 바로 갈 수 없기에,

오른쪽으로 돌아 오를 수밖에는

 

 

 

 

 

 

 

 

 

 

 

 

 

 

 

 

큼지막한 바위지대를 돌아, 

덕유 11 - 12지점인 암봉으로 올라서고(14:08, 1231m)  

 

 

 

 

 

 

 

 

 

 

 

 

 

 

 

 

 

 

 

 

 

 

 

 

 

 

 

 

덕유 11 - 11지점,

지리산 성삼재와 같은 높이인가?(14:23, 1090m)

 

헬기장을 지나(14:25)

 

 

덕유산국립공원 경계석,

그전에도 여기에 있었겠지만,

어쩐지 낯이 선 듯한 느낌이 왜 드는지?

지금의 국토교통부가 아닌 건설부라 되어 있고(14:30)

 

 

 

 

가지 말라며 막은 옛 덕유교육원 삼거리,

900m 더 간 삼자봉에서 내려가라 하는데,

어차피 그게 그거니 둘 다 열어놨으면 더욱 좋으련만,

제각기 입에 맞도록 골라잡을 수 있게,

육십령 5.2km · 남덕유산 3.6km를 가리키는데,

게다가 서봉 2.1km · 덕유교육원 1.6km이기도 하고(14:32)

 

 

 

 

 

 

 

덕유 11 - 10지점(14:34, 954m)  

 

 

새로운 덕유교육원 삼거리 노릇을 하는 삼자봉,

삼자봉이란 이름과 함께 할미봉 1.8km · 육십령 4.0km, 

또 덕유교육원 삼거리 0.9km · 서봉 3.0km를 가리키는 이정표가 있었건만,

지금은 붙었던 흔적으로 겨우 짐작만 할 수 있을 뿐이니,

그놈의 세월이 무엇인지?

새로운 이정표나 좀 세웠으면 좋으련만.(14:47 - 14:50)

 

 

 

 

옛 덕유교육원 삼거리에 있는 걸 재활용했을까,

덕유교육원 1.6km를 가리키는 초라한 이정표가 가리키는,

백두대간에서 벗어나 지능선을 따라 덕유교육원으로 내려가고

 

덕유교육원 옛길과 새길이 만나자마자,

계곡을 건너면서 덕유교육원 쪽으로(15:05)

 

1분 남짓 갔을까,

바로 이어지는 덕유교육원이 아닌,

꽤 널따란 비포장도로를 따라 영각교로 내려가고(15:06)

 

 

 

 

 

 

 

급수시설(15:12)

 

 

 

 

 

 

 

 

 

 

 

 

 

 

 

 

 

 

 

 

오미자 재배단지를 지나자 포장도로가 이어받고(15:17)

 

 

 

 

 

 

 

 

 

 

 

 

 

 

 

 

 

진양기맥이 지나는 칼날봉과 월봉산 일대가 드러나고

 

 

 

 

 

 

 

 

 

 

 

남덕유산 일대도 살짝 드러나고

 

 

 

 

 

 

 

 

 

 

 

 

 

 

마침내 영각교가 보이고

 

 

 

 

 

내려온 곳을 돌아보고

 

 

 

 

 

 

 

 

5시간 32분 만에 다시 돌아온 영각교,

안개와 구름에 덮인 먼 곳은 어림도 없었지만,

눈으로 실컷 눈구경은 잘했다고나 할까,

어쩌면 그것만으로도 충분하지 않았을까?

더 이상은 부질없는 욕심일지도,

차에 오른다.

그리곤 떠난다.

진양호 노을빛이 참 고운 내 사는 진주로(15:32)

 

차로 가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