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날 짜 : 2011년 10월 15일(토)
* 날 씨 : 구름 조금 또는 많음
* 산 행 지 : 영각사 - 덕유계곡 - 남덕유산 - 칼날봉 - 월봉산 - 수망령 - 장수사 일주문
* 산행시간 : 10시간 25분(운행시간 7시간 41분 + 휴식시간 2시간 44분)
* 산행거리 : 22.5km(기맥거리 10.6km)
* 산행속도 : 약간 빠른 걸음
* 산행인원 : 2명(진주산적, 선함)
* 산행일정
07:40 함양 서상면 상남리 조산마을 버스정류소
08:00 - 08:05 영각사 입구
08:16 경상남도 덕유교육원
09:56 - 10:09 서봉 - 남덕유산 사이 안부 사거리
10:20 - 10:25 거창군 극서점
10:28 - 10:48 남덕유산(1507.4m, △ 무주 319)
10:55 - 11:00 남덕유산 중봉(1440m)
11:08 참샘 갈림길
11:11 - 12:11 참샘
12:14 참샘 갈림길
12:16 - 12:19 영각재(1290m)
12:26 - 12:29 하봉(1363m)
12:36 1320m봉(묵은 헬기장)
12:41 - 12:44 1270m봉
12:59 1210m봉
13:18 - 13:25 1014.7m봉(헬기장, △ 함양 421)
13:32 - 13:37 남령(900m)
14:04 수리덤
14:18 - 14:28 칼날봉(수리봉, 1167m) 갈림길
15:29 1234m봉
15:40 - 15:52 월봉산(1279.2m, △ 함양 305)
15:56 1275m봉(헬기장)
16:16 - 16:19 큰목재 사거리(1050m)
16:27 - 16:32 1155m봉
16:47 - 16:52 수망령(900m)
17:21 은신골 입구
17:28 사평1교
17:39 사평교
17:46 태장골 입구
17:54 지장골 입구
18:05 함양 안의면 상원리 용추계곡 장수사 일주문
* 기맥거리(10.6km)
남덕유산 - 4.0km - 남령 - 1.0km - 칼날봉 - 2.6km - 월봉산 - 3.0km - 수망령
(조산마을 - 1.4km - 영각사 - 4.5km - 덕유계곡 경유 남덕유산, 수망령 - 6.0km - 장수사 일주문)
* 진양기맥(晋陽岐脈)
백두대간의 남덕유산에서 남동쪽으로 분기하여
월봉산(1279.2m) - 금원산(1352.5m) - 기백산(1330.8m) - 망실봉(681.2m) -
덕갈산(668m) - 갈전산(764.3m) - 철마산(744m) - 바랑산(796.4m) -
소룡산(760.9m) - 황매산(1113m) - 성현산(562m) -
자굴산(897.1m) - 망룡산(441.6m) - 천황산(341m) - 집현산(577m) -
광제산(420m) 등을 지나, 남강 유역인 진주 진양호 남강댐에서
그 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159.1km에 이르는 산줄기를 말한다.
진양기맥의 산줄기는 진양호까지 이어지면서
남강과 황강을 가르는 분수령 노릇을 하는데,
서쪽과 남쪽의 물은 남강으로 흐르고
동쪽의 물은 황강으로 흘러서 낙동강으로 흘러든다.
남강과 황강을 가르는 산줄기로만 따진다면
한우산에서 자굴산 - 집현산 - 광제산으로 가지 말고,
한우산에서 응봉산- 우봉산- 돌문재를 지나 두물머리로 가야 하지만,
25km 남짓 더 길고 산세도 수려한데다 진양호에서 맥을 다한다는
이유로 남강댐으로 이어가고 있다.
진양기맥은 함양군·거창군·합천군·산청군·의령군·진주시 등
경상남도의 6개 시군을 지난다.
첫차(함양 06:30, 안의 07:00)는 서상면 상남까지 운행하고,
남덕유산 산행의 들머리인 영각사 입구까지는 20분 남짓 걸어야 하고
영각사 입구 이정표에서 영각탑방지원센터가 아닌 덕유교육원으로 가고(08;00 - 08:05)
덕유교육원 입구(08;06)
경상남도 덕유교육원(08;16)
이유 같지 않은 이유로 가지 말라지만 가야만 하고(08;18)
덕유교육원 구내를 벗어나자마자 만나는 덕유계곡을 건너지 않고,
덕유계곡으로 오르자 처음으로 만나는 자그마한 폭포가 반기고(08;35)
(08;42)
(08;44)
(08;47)
(08:51)
아기자기한 폭포와 물웅덩이가 이어지고(08:54)
(08:56)
위로 오를수록 물줄기는 가늘어지고(09:22)
석축(09:30)
석축에서 6분 남짓 오르자 물 마른 계곡은 둘로 나뉘며,
그 사이로 난 너덜길을 따르다 너덜길을 벗어나자 산죽이 이어받고
서봉과 남덕유산 사이의 안부 사거리로 올라서서,
간식으로 목을 축이면서 숨을 고르기도 하고(09:56 - 10:09)
백두대간길을 따라 거창군 극서점이 자리 잡은 공터로 올라서고 (10:20 - 10:25)
거창군 극서점 이정표
거창군 극서점에선 장수 덕유산이라고도 하는 서봉이 가깝기만 하고
거창군 극서점에서 본 덕유 주능선(삿갓봉, 무룡산, 향적봉)
백두대간에서 진양기맥이 나뉘는 남덕유산에 올라,
간식을 먹으면서 이곳저곳 둘러보며 구경도 보고(10:28 - 10:48)
남덕유산 삼각점(무주 319)
남덕유산에선 삿갓봉 - 무룡산 - 향적봉으로 이어지는 덕유 주능선이 한눈에 들어오고
서봉은 손에 잡힐 듯이 가깝고
안개가 휘도는 할미봉은 신비롭기조차 하고
남덕유산에서 내려다본 덕유교육원
가야 할 중봉과 하봉
단풍이 곱게 내려앉은 월성계곡
진주산적은 왕년엔 나름대로 산 좀 탔다고 하지만,
3달 만에 산을 탄다는데 상태가 그다지 좋은 편은 아닌 듯
안개 위로 금원산이 모습을 드러내지만,
오늘이 아닌 언제가 될지 모르지만 제2구간에서 만날 것이고
저 멀리 거망산도 보이지만,
진양기맥에서 벗어나 있으니 거긴 갈 일이 없고
진양기맥 무사 완주를 기원하는 술잔을 남덕유산 산신령께 올리고선,
진주 진양호에 이르는 머나먼 진양기맥 종주에 들어가는데,
오늘 제1구간은 남덕유산에서 수망령까지가 될 것이고
남덕유산 정상으로 이어지는 나무계단
남덕유산 중봉
남덕유산 정상보다도 뛰어난 산세를 자랑하는 중봉으로 올라서고(10:55 - 11:00)
중봉에서 돌아본 남덕유산
중봉에서 본 하봉 - 칼날봉 - 월봉산 - 금원산 - 기백산으로 이어지는 진양기맥 산줄기
중봉에서 본 덕유 주능선
중봉에서 내려다본 덕유교육원
중봉으로 이어지는 계단
중봉 아래 암봉에서 돌아본 아름다운 중봉(11:02)
중봉 아래 암봉 철계단 위에서 본 중봉(11:04)
하봉과 금원산, 월봉산, 거망산
참샘 갈림길 이정표에 해발 1440m라고 되어 있지만,
1440m는 여기가 아닌 중봉의 높이이며,
영각재가 1290m이니 여긴 1300m 가 조금 넘을 것 같고(11:08)
남강으로 흘러드는 경호강의 발원지인 참샘에서 점심을 먹는데,
지리산 천왕샘에서 발원하는 덕천강과는 진양호에서 만나 남강을 이루게 되고(11:11 - 12:11)
참샘
참샘을 뒤로 하고
다시 진양기맥 능선으로 돌아가,
참샘 갈림길 바로 아래에서 가야 할 하봉(12:15)
영각재에서 영각사 입구로 이어지는 등산로는 오른쪽으로 내려서지만,
진양기맥 산줄기는 가지 말란 하봉을 지나야만 하고 (12:16 - 12:19)
아니라고 하지만 가야만 하고
하봉 오름길에 돌아본 중봉(12:22)
하봉 전망대에서 중봉이 멋지게 들어오고(12:26 - 12:29)
덕유 주능선도 잘만 들어오고
하봉 삼거리에서 오른쪽은 영각사로 이어지며,
진양기맥은 왼쪽으로 내려서고
1270m봉 전망대에서 1320m봉 - 하봉 - 중봉 - 남덕유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12:41 - 12:44)
1270m봉 전망대에서 할미봉
1210m봉 전망대에서 하봉과 중봉, 남덕유산(12:59)
큰 바위 전망대에서 금원산과 칼날봉, 월봉산(13:08)
삼각점과 헬기장이 자리 잡은 1014.7m봉에서,
간식으로 기력을 보충하고 구경도 하면서 잠깐 머물고(13:18 - 13:25)
1014.7m봉 삼각점(함양 421)
1014.7m봉에서 바로 앞에 다가서는 칼날봉
1014.7m봉에서 돌아본 지나온 산줄기
1014.7m봉에서 덕유 주릉의 삿갓봉과 무룡산
수리봉이 바로 앞에 보이는 무덤이 자리 잡은 곳을 지나,
꽤나 가파른 절개지를 따라 어렵사리 남령으로 내려가고(13:29)
함양 서상면과 거창 북상면을 잇는 37번 군도가 지나는 남령으로 내려서고(13:32 - 13:37)
남령에서 수리덤과 칼날봉으로 오르고
수리덤 대가리가 가장 잘 보이는,
건너편 바로 아래 큰 전망대에 이르고(13:47)
수리덤 전망대에서 올려본 수리덤의 대가리
수리덤 전망대에서 돌아본 지나온 진양기맥 산줄기인데,
하봉까진 제대로 보이지만 중봉과 남덕유산은 보이는 둥 마는 둥이고
수리덤 아래 이정표(14:00)
영각사와 남령을 잇는 37번 군도인 덕유월성로
남령 절개지와 그 위 무덤이 보이고
지나온 산줄기는 여전히 희뿌옇고
위에서 본 수리덤 대가리의 모습(14:04)
울산산적의 산행 실력은 아직 알 수 없지만,
오늘의 진주 산적은 그야말로 별로인 듯
왼쪽으로 크게 돌아가기에 앞서 쳐다본 칼날봉(14:07)
칼날봉(수리봉) 갈림길의 이정표에서,
오른쪽으로 1분 남짓이면 칼날봉 정상부에 이르고(14:18 - 14:28)
바람이 세차게 불어 바위 위엔 올라가지도 못한 채 앉아서 흔적을 남기고
암봉을 우회하면서 돌아본 밧줄구간(14:45)
암봉을 우회하고 올라선 전망대에서 돌아본 칼날봉(14:46)
억새와 싸리밭을 지나면서 쳐다본 월봉산(14:54)
밧줄을 잡고 오르기고 하고(15:06)
조망이 열리는 전망대 봉우리에서 돌아본 칼날봉과 남덕유산(15:22)
전망대 봉우리에서 가야 할 1234m봉
1234m봉 이정표(15:29)
대로마을 갈림길 이정표(15:30)
(15:30)
깨어진 정상석이 그대로 있는 월봉산으로 올라서고(15:40 - 15:52)
월봉산은 정상석이 둘이나 되지만,
하나도 제대로 된 건 없어 아쉽고
월봉산 삼각점(함양 305)
월봉산에서 진양기맥 제2구간에서 만나게 될 금원산
금원산에 이어 제2구간에서 만나게 될 기백산
날씨가 시원찮아 무룡산은 흐릿하게 보이고
삿갓봉도 무룡산과 별스레 다를 것도 없고
진양기맥이 시작되는 남덕유산이 위용을 뽐내지만,
똑똑하게 보이질 않아 좀은 아쉽고
북덕유산 일대는 희미하게 윤곽만 그릴 뿐이고
진양기맥에선 벗어나 있지만,
거망산과 황석산이 보이니 반갑고
진주산적은 완전 맛이 간 듯
월봉산에서 큰목재 내림길 전망대에서 본 금원산(16:04)
월봉산에서 큰목재 내림길 전망대에서 본 기백산
월봉산에서 큰목재 내림길 전망대에서 본 거망산과 황석산
월봉산에서 큰목재 내림길 전망대에서 본 큰목재와 1155m봉, 1178m봉
억새가 물결을 이루는 큰목재 사거리로 내려서고(16:16 - 16:19)
큰목재 사거리를 뒤로 하고 1155m봉으로 오르고
큰목재에서 1155m봉 삼거리로 올라서는데,
오른쪽은 은신치를 지나 거망산과 황석산이요,
수망령을 지나 금원산과 기백산으로 이어지는 진양기맥은 왼쪽이고(16:27 - 16:32)
1155m봉은 나무에 가려 조망이 거의 열리지 않는데,
금원산 정상과 동봉이 모습을 드러내니 그나마 다행이고
1155m봉을 뒤로 하고선 수망령으로 내려가고
마침내 제1구간을 마무리하는 수망령으로 내려서는데,
수망령에는 대중교통이 없어 장수사 일주문 주차장까지 가야만 하고(16:47 - 16:52)
수망령으로 내려오면서 제1구간 산행을 마무리한 계단
금원산으로 올라가면서 제2구간 산행을 이어갈 계단
팔각정을 뒤로 하고선 수망령을 내려서고
수망령에서 진양기맥 제1구간 종주를 일단은 마무리하고선,
용추폭포를 지나 장수사 일주문 앞 주차장에 닿으면서 걸음을 멈추는데,
낙남정맥과는 달리 나 홀로가 아닌 둘이라서 좋긴 하지만,
둘이서 일정을 맞춰가며 종주를 하자면 좀은 길어질 것도 같단 생각인데,
되도록이면 서둘러 빨리 끝냈으면 하는 바람이고(18:05)
'진양기맥 산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남덕유산에서 진양호까지 진양기맥 이어가기(제6구간 밀치에서 정지골재까지) (0) | 2013.03.16 |
|---|---|
| 남덕유산에서 진양호까지 진양기맥 이어가기(제5구간 춘전치에서 밀치까지) (0) | 2013.03.02 |
| 남덕유산에서 진양호까지 진양기맥 이어가기(제4구간 개목고개에서 춘전치까지) (0) | 2013.02.24 |
| 남덕유산에서 진양호까지 진양기맥 이어가기(제3구간 기백산에서 개목고개까지) (0) | 2013.01.26 |
| 남덕유산에서 진양호까지 진양기맥 이어가기(제2구간 수망령에서 기백산까지) (0) | 2012.12.16 |